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11월 2024 >>
     12
3456789
10111213141516
17181920212223
242526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世界 색점선

중국 근대 미술의 피카소 제백석
2017년 06월 24일 23시 26분  조회:2683  추천:0  작성자: 죽림
중국의 피카소 齐白石
 
齐白石90岁画的虾,专家鉴定价150万元。


제백석(齊白石, 1864년 11~1957년 9월 16), 후난(湖南창사푸(長沙府샹탄(湘潭출생(出生). 원명(原名)은 순지(純芝), ()는 위청(渭青), ()는 란정(蘭亭)이다후에 백석(白石), 백석산옹(白石山翁), 삼백석인부옹(三百石印富翁등으로 호()를 바꾸었다.

 제백석(齊白石)은 근현대(近現代중국(中國회화(繪畵화가(畫家)로 유명(有名)한 세계적(世界的)인 인물(人物)이다일찍이 목공(木工)일에 종사(從事)했으며 후에 그림을 그려 팔아 생계(生計)를 유지(維持)하고 50세 이후 베이징에 정착(定着)했다꽃과 새곤충(昆蟲)과 물고기산수(山水), 인물(人物그리기에 능했으며 필묵(筆墨)에 힘이 있고 색채(色彩)가 농후(濃厚)하고 그림 전체는 경쾌(輕快)하며 간결(簡潔)하고 생동감(生動感)이 넘치며 예술성(藝術性)이 소박(素朴)하고 인정(人情넘친다물고기새우곤충(昆蟲)을 소재(素材)로 삼아 자연(自然)의 정취(情趣)를 끊임없이 그렸다제백석(齊白石)은 전서(篆書)와 예서(隸書)를 필사(筆寫)하고 진한(秦漢)의 비문(碑文)을 모방(模倣)했으며 소박(素朴)한 행서(行書), 전각(篆刻), 시문(詩文쓰기에 능했다중앙미술학원(中央美術學院명예교수(名譽敎授), 중국미술가협회(中國美術家協會주석(主席등을 역임(歷任)했다.대표작품(代表作品)으로는 와성십리출산천(蛙聲十裏出山泉)’ ‘묵하(墨蝦)’ 등이 있다저작(著作)으로는 백석시초(白石詩草)’ ‘백석노인자술(白石老人自述)’ 등이 있다. 1963년 세계 10대 문화(文化유명인물(有名人物)로 선정(選定)되었다.

제백석(齊白石)의 새우 그림은 화단(畫壇)의 꽃이라 불릴 정도(程度)로 새우는 제백석(齊白石)의 대표적(代表的)인 예술(藝術부호(富豪중 하나이다제백석(齊白石)은 평생(平生관찰(觀察)을 통해 새우의 특징(特徵)을 심도(深度있게 묘사(描寫)하려 애썼다. 

제백석(齊白石)의 새우 그림은 이미 경지(境地)에 이르렀다간결(簡潔)하면서도 과감(果敢)한 필묵(筆墨)은 물속에서 노니는 새우들을 생동감(生動感있게 표현(表現)했다. 

제백석(齊白石)의 새우 그림은 활발(活潑)하고 영민(靈敏)하고 민첩(敏捷)함을 표현(表現)했으며 생명력(生命力)이 넘친다한 쌍의 짙은 눈머리 중간(中間)은 초묵(焦墨)좌우(左右)는 담묵(淡墨)을 사용(使用)해 그린 새우의 머리 부분(部分)을 보면 다양(多樣)한 변화(變化)를 느낄 수 있다딱딱한 껍질은 투명(透明)하게 표현(表現)하기 위해 먹 농도(濃度)의 강약(强弱)을 조절(調節)해 짙은 색에서 옅은 색으로 표현(表現)했다한 번 붓질에 한 마디를 표현(表現)한 새우의 허리부분은 연속(連續)으로 붓을 놀려 점점 가늘어지는 새우 허리의 리드미컬함을 부각(浮刻)시켰다.

齐白石(1864年1月1日─1957年9月16日),生于湖南长沙府湘潭(今湖南湘潭)人。原名纯芝,字渭青,号兰亭。后改名璜,字濒生,号白石、白石山翁、老萍、饿叟、借山吟馆主者、寄萍堂上老人、三百石印富翁。是近现代中国绘画大师,世界文化名人。早年曾为木工,后以卖画为生,五十七岁后定居北京。擅画花鸟、虫鱼、山水、人物,笔墨雄浑滋润,色彩浓艳明快,造型简练生动,意境淳厚朴实。所作鱼虾虫蟹,天趣横生。齐白石书工篆隶,取法于秦汉碑版,行书饶古拙之趣,篆刻自成一家,善写诗文。曾任中央美术学院名誉教授、中国美术家协会主席等职。代表作有《蛙声十里出山泉》《墨虾》等。著有《白石诗草》《白石老人自述》等。2011年5月22日,他的最大尺幅作品《松柏高立图·篆书四言联》被拍出4.255亿元人民币的天价。

 

 
 

제백석(齊白石)은 중국 근대 미술문화사상 유명한 화가이고 서예가이며 전각가입니다.

그는 베이징 국립예술전문학교의 교수, 중앙미술대학 명예교수, 베이징화원 명예원장, 중국미술협회주석으로 임명되었습니다. 일생동안 예술창작에 몸담아 온 제백석은 3만여폭의 그림과 3천여편의 시, 유수의 자필원고를 남겼습니다. 특히 산수화, 초상화에 능한 제백석의 대표작으로 "와성십리출산천(蛙聲十裏出山泉)", "묵하(墨蝦)" 등이 있으며, 저서로 "백석시초(白石詩草)", "백석노인자술(白石老人自述)" 등이 있습니다.

제백석의 "자술(自述)"에는 "1927년에 과차골목(跨車胡同)15번지 즉 지금의 13번지에 있는 집을 구매했다"고 적혀있습니다. 제백석은 바로 베이징시 서성구(西城區) 과차골목 13번지에 위치한 이 옛집에서 생의 최후 30년을 보냈습니다.

베이징 서단(西單)상업구 벽재골목(辟才胡同)에 이르면 고층빌딩의 수림속에 묻힌 자그마한 사합원이 보입니다. 청회색 벽돌담으로 둘러쌓인 이 사합원이 바로 제백석옛집입니다. 동서향의 이 사합원은 번잡한 현대도시의 분위기에 고풍적인 묘미를 가해줍니다.

지금의 제백석옛집은 기존의 모습과 많이 달라졌다고 합니다. 제백석 후손들이 기억하는 이 옛집은 시적정취가 다분하고 한폭의 그림과도 같은 정교한 정원이었습니다. 사합원은 3채 북방(北房)이 주체를 이루었는데 가운데 방은 객실 겸 식사 공간이고 동쪽 방은 거실, 서쪽 방은 화실(画室)이었습니다. 전반 사합원의 구조는 간단하고 내부도 소박하게 장식되었습니다. 화실의 서쪽켠에 놓인 회화용 책상 남단에는 넓이가 각기 다른 선지(宣紙)들이 쌓여있고 북단에는 문방사우와 염료를 담았던 크고작은 그릇들이 즐비하게 놓여있습니다. 등받이가 있는 원형의자 우에는 방석이 놓여있었는데 이는 제백석이 서예 혹은 회화 창작할 때 앉았던 의자입니다. 회화용 책상 맞은켠에는 높다란 책상이 있고 그 우에는 유리케이스가 달린 시계가 놓여있습니다.

백석화실의 거실에는 원형과 네모의 두가지 형태로 사용할 수 있는 책상이 있고 긴 등받이 의자가 북쪽 벽에 놓여져 있습니다. 추운 날에 제백석은 의자에 이불을 깔고 식후 잠간 여기에 앉아 휴식을 취하군 했습니다. 제백석의 생활은 화려함과 거리가 먼 소박함 그 자체였습니다. 그의 응접실에는 소파도 없이 그저 걸상만 몇 개 놓았을 뿐입니다. 제백석 후손들의 소개에 의하면 제백석은 안전을 고려해 1935년 북쪽 방앞의 복도를 철사슬로 묶어 난간을 만들었습니다. 나중에 그는 그림에 글씨나 시문을 쓸 때 "철옥(鐵屋)"이라는 글자를 적어 이곳에 대한 깊은 정을 표현했습니다. 1953년 제백석은 이 철옥을 "백석화옥(白石畫屋)"으로 수정하고 전서체로 쓴 편액을 만들어 걸었습니다.

제백석이 살던 이 정원에는 포도와 능소화(淩霄), 버드나무들이 자라나 여름이면 시원한 그늘이 졌습니다. 정원의 북쪽켠에는 지붕을 능가하는 높다란 대추나무가 있었고 북쪽과 남쪽 정원을 이어주는 원형문은 무늬를 새긴 벽돌로 지어 고풍적이면서도 우아한 분위기를 풍겼습니다.

제백석은 이 사합원에서 담담한 일상을 보내면서 2만여점의 작품 창작했습니다. 그가 간결하고 힘찬 붓을 휘둘러 그린 화초며 벌레, 새우, 산수, 인물은 정교함속에서도 독특함을 잃지 않았습니다. 제백석은 이런 화풍으로 현대중국화를 위해 소박하면서도 참신한 예술세계를 창조했습니다. 그는 오로지 필묵으로 중국화의 현대적인 예술정신을 표현했고 사람들의 심금을 울렸으며 삶의 지혜와 철학을 전했습니다. 제백석의 산수화는 예술창신에 대한 자부심과 통찰을 통한 깨달음을 표현했고 인물화는 표정에 담긴 내면의 정을 보여주었습니다. 제백서의 서예 또한 간결하면서도 대범하고 지어 웅건했습니다.

항일전쟁시기 특무 우두머리였던 북평 위경사령(偽警司令) 선철오(宣鐵吾)는 일찍 제백석의 명성을 듣고 생일잔치날 그를 초대했습니다. 연회장에 도착한 제백석은 주변을 살펴보고 잠간 사색에 잠기더니 종이를 펴고 붓을 휘두르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다 잠간 사이에 종이에는 게가 그려졌습니다. 현장에 있는 모든 사람들이 살아숨쉬는듯 생동한 이 회화작품에 감탄해마지 않았고 선철오도 얼굴에 웃음이 만개했습니다. 이때 제백석은 붓끝을 놀려 그림옆에 몇자를 적는 것이었습니다. 바로 옆으로 가는 게의 특성을 비유해 "네가 언제까지 횡행(橫行)할지 두고보자"였습니다. 그러고는 소매를 내리고 뒤도 돌아보지 않은채 돌아갔습니다. 이는 매국노에 대한 제백석의 풍자와 분노가 절실히 보여지는 대목이었습니다. 1937년 일본침략군이 북평을 점령한 뒤 제백석은 문을 닫고 일체 내방객을 사절했습니다. 그것은 위만주군의 두목들이 그림을 요구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였습니다. 그는 문에 "종래로 벼슬은 민가에 오지 않는 법이니 일체 접대를 사절한다"고 공지하고 옆에 비취새를 그린 그림도 덧붙였습니다. 그때 이 그림은 참으로 독특했는데요, 보통 비취새를 그리면 돌이나 강가에 서있는 비취새와 수면우로 올라오는 물고기를 함께 그리는데 제백색은 물고기를 그리지 않고 깊은 물속에 있는 새우를 그렸습니다. 그리고 옆에 "비취새의 그림에는 물고기가 반드시 등장하지만 특별히 새우를 그렸네, 새우가 뜨지 않으니 비취새인들 어찌하랴?"라는 내용의 문구를 적었습니다. 즉 제백석은 자신을 새우에 비유하고 한간들과 일본 침략자들을 비취새에 비유해 이자들이 호시탐탐 그림을 노린다해도 절대 그려줄 의향이 없다는 뜻을 전했습니다.

이렇게 숭고한 민족절개를 지닌 중국 근대 현대 미술사에서의 걸출한 화가, 서예가, 전각가 제백석은 이곳에서 20세기 중국 회화예술의 휘황한 업적을 쌓았고 후손들에게 소중한 예술자원을 남겨주었습니다.

오늘날 제백석옛집은 기존의 우아한 정취를 잃은채 세월의 흔적을 고스란히 담고 있었습니다. 1984년 5월 베이징시 정부는 이곳을 베이징시 문물보호단위로 지정했고 지금은 제백석 후손들의 저택으로 개관하지 않았습니다.

과차골목 13번지에 있는 사합원은 오늘도 제백석의 못다한 이야기를 담은채 자리를 지키고 있습니다.

==========================
==========================

중국 새우그림의 대가 제백석(齊白石)

 

인민망(人民網) 제공

글자풀이: 가지런할 제(흰 백(돌 석()

 

가지런할 제()는 갑골문(甲骨文)에는 창끝모양 세 개가 나란히 그려져 있는데대부분(大部分) 이것을 보리이삭과 같은 곡물(穀物)로 해석(解釋)하고 있다그러나 현재(現在)의 자형(字形)인 제()를 눈여겨보면 그 해석(解釋)이 매끄럽지 못하다()나 씨(), 그리고 중앙부(中央部)의 신(모양(模樣)은 모두가 도검류와 관련(關聯)이 깊으며 자형하부는 그것을 가지런히 꽂을 수 있는 대()라 할 수 있다즉 칼이나 창을 일정(一定)하게 짠 틀에 나란히 꽂아둔 모양(模樣)을 본떠 가지런하다는 뜻을 부여(附與)했다()자는 보리이삭의 알곡들 배열(配列)이 가지런하게 패어있는 꼴을 본뜬 상형자(象形字)로 '가지런하다()'라는 뜻인 글자이다()자는 본디 몇 개의 알곡 꼴이었던 것이 후에는 한 포기 꼴로 바뀌었다그런데 현재 '제(齊)꼴만큼 심오(深奧)한 연상력(聯想力)을 자극(刺戟)하는 글자도 드물 것이다즉 제()자는 다섯 가지 자형(字形)으로 나누어서 생각할 수 있다먼저 '亠'자는 알곡들 끝 부분에 난 뾰족한 가시들이 한군데 묶인 보리이삭 '모가지'를 나타낸다둘째, '(丫)'자는 낱알들이 모두 가지런하게 두 가닥으로 배열(配列)된 꼴이다셋째글자 왼쪽의 '()'자는 보리이삭 알곡의 끝 부분이 마치 칼처럼 뾰족한 꼴이다넷째글자 오른쪽 '()'자는 낱알이 다음 해에 '씨앗'이 되는 것을 상징(象徵)한다마지막으로 다섯째글자 아래쪽 '사다리(月)꼴은 이삭 모가지 하나의 전체적(全體的)인 '가지런함'뿐만 아니라 이삭 각각의 형상(形象)이 가지런하게 배열(配列)한 '반복성(反復性)'에 대한 의미(意味)들이 내포(內包)된 것으로 여겨진다이상의 의미(意米)들이 스며들기라도 하듯 제()자는 '가지런하다()'라는 뜻 외에도 '모두()'라는 뜻으로 쓰이면서 '()'로 발음(發音)한다또한 제()자는 제()를 지낼 사람이 몸과 마음을 깨끗이 하고 음식(飮食)과 언행(言行)을 삼가며 부정(否定)을 멀리하는 일이 마치 보리이삭처럼 가지런한 몸과 마음가짐을 해야 하므로 '재계(齋戒)하다·상복(喪服)'이라는 뜻으로 쓰이면서 '()'로 읽힌다. '()'자의 가지런함이 제단()에 스며있어야 한다는 '엄숙할 재()'자는 조상(祖上)에게 제(祭)를 올리는 후손(後孫)들인 '()'들이 기본적(基本的)으로 가져야 할 몸가짐과 마음가짐이다그리고 제()자는 일상생활(日常生活)에서 옷을 가지런하게 입는다는 의미(意味)에서 '옷자락()'의 뜻으로 쓰여 '()으로 소리 난다또한 제()자는 포함(包含)된 '칼 도()'자가 있어서 가지런하게 '자르다()'라는 뜻으로 쓰일 때는 '()으로 읽힌다따라서 제()자는 "칼로 자른 듯이 모두 가지런하다"라는 형상(形象)을 연상(聯想)하면서 스며든 글자들의 의미(意味)를 이해(理解)하면 쉽다.

 

흰 백(白)은 사람의 엄지손가락을 본뜬 것으로 손톱(爫)의 흰 부위(部位)를 나타낸 데서 ‘희다’라는 뜻을 지니게 되었다. 그러나 ‘엄지손가락’의 흰 부위(部位)를 본떴다는 설(說)외에도 ‘사람의 머리’를 상형(象形)하였다는 설(說)이 있는데, 갑골문(甲骨文)에서는 백(白)과 백(百)이 혼용(混用)되다가 금문(金文)에 이르러 백(百)이 숫자 100을 뜻하는 것으로 정착(定着)되어 희다는 뜻을 가진 백(白)과 구분(區分)하기 시작(始作)하였다. ‘희다’는 뜻으로 주(主)로 쓰이기는 하지만 사람의 머리를 상형(象形)하였다는 설(說)이 있어서인지 ‘아뢰다’는 뜻도 있다. 백(白)은 갑골문(甲骨文)에서부터 나타나지만 그 당시(當時) 이미 희(白)다는 추상적(抽象的) 의미(意味)로 쓰이고 있었기 때문에 이 글자의 자원(字源)에 대해서는 의견(意見)이 분분(紛紛)하다. 백(白)이 껍질을 벗긴 쌀을 그렸다거나 태양 일(日)이 뜰 때 비추는 햇빛을 그렸다는 등 여러 설(說)이 있으나, 엄지손가락을 그렸다는 곽말약(郭沫若)의 설(說)이 가장 통용(通用)되고 있다. 그의 해설(解說)에 의하면, 엄지손가락은 손가락 중에서 가장 크고 첫째 손가락이기 때문에 엄지손가락을 그린 백(白)은 ‘첫째’나 ‘맏이’가 원래 뜻이고, ‘희다’는 의미(意味)는 가차(假借)된 것이라고 해석(解釋)한다. 그것은 백(伯)이 사람 인(人)의 항렬(行列)에서 첫째(白)를 말하는 글자인 데서도 그 증거(證據)를 찾을 수 있다고 했다.

 

돌 석(石)의 구성(構成)은 산기슭 엄(厂)과 돌덩이를 뜻하는 구(口)모양으로 이루어졌다. 즉 언덕(丘)이나 산기슭(厂) 아래에 굴러다니는 돌덩이(口)의 모양(模樣)을 본떠 ‘돌’을 그려냈다. 석(石)자는 언덕(厂) 아래로 굴러 떨어진 덩어리(口) 꼴을 본뜬 상형자(象形字)로 '돌(石)'을 뜻하는 글자이다. 일반적(一般的)으로 석(石)자 부수로 쓰인 글자들은 "돌의 종류(種類), 재료(材料) 또는 성질(性質), 상태(狀態)"를 나타낸다. 그리고 이공학 분야(理工學分野)에서 접(接)하는 원소(元素) 중에 돌에서 채취(採取)한 물질(物質)이거나 상온(上溫)에서 고체 상태(固體狀態)인 "무기물질(無機物質)"의 명칭(名稱)은 대부분 석(石)부에 속하는 글자라는 것도 아울러 알아두면 원소명칭(元素名稱) 및 성질(性質)을 기억(記憶)하는 데 도움(幇助)이 된다.

 

 

설명제백석(齊白石, 1864년 11~1957년 9월 16), 후난(湖南창사푸(長沙府샹탄(湘潭출생(出生). 원명(原名)은 순지(純芝), ()는 위청(渭青), ()는 란정(蘭亭)이다후에 백석(白石), 백석산옹(白石山翁), 삼백석인부옹(三百石印富翁등으로 호()를 바꾸었다.

 

제백석(齊白石)은 근현대(近現代중국(中國회화(繪畵화가(畫家)로 유명(有名)한 세계적(世界的)인 인물(人物)이다일찍이 목공(木工)일에 종사(從事)했으며 후에 그림을 그려 팔아 생계(生計)를 유지(維持)하고 50세 이후 베이징에 정착(定着)했다꽃과 새곤충(昆蟲)과 물고기산수(山水), 인물(人物그리기에 능했으며 필묵(筆墨)에 힘이 있고 색채(色彩)가 농후(濃厚)하고 그림 전체는 경쾌(輕快)하며 간결(簡潔)하고 생동감(生動感)이 넘치며 예술성(藝術性)이 소박(素朴)하고 인정(人情넘친다물고기새우곤충(昆蟲)을 소재(素材)로 삼아 자연(自然)의 정취(情趣)를 끊임없이 그렸다제백석(齊白石)은 전서(篆書)와 예서(隸書)를 필사(筆寫)하고 진한(秦漢)의 비문(碑文)을 모방(模倣)했으며 소박(素朴)한 행서(行書), 전각(篆刻), 시문(詩文쓰기에 능했다중앙미술학원(中央美術學院명예교수(名譽敎授), 중국미술가협회(中國美術家協會주석(主席등을 역임(歷任)했다대표작품(代表作品)으로는 와성십리출산천(蛙聲十裏出山泉)’ ‘묵하(墨蝦)’ 등이 있다저작(著作)으로는 백석시초(白石詩草)’ ‘백석노인자술(白石老人自述)’ 등이 있다. 1963년 세계 10대 문화(文化유명인물(有名人物)로 선정(選定)되었다.

 

해설: 제백석(齊白石)의 그림의 특징(特徵)은 농후(濃厚)한 향토적(鄕土的숨결순박(淳朴)한 농민(農民의식(意識)과 순수(純粹)한 낭만(浪漫)이 살아 있는 동심(童心), 여유(餘裕넘치는 시적(詩的정취(情趣)는 제백석(齊白石예술(藝術)의 생명력(生命力)이라 할 수 있다제박석(齊白石)은 예술(藝術)을 오묘(奧妙)함은 그런 것 비슷함과 비슷하지 않음 사이에 있다(妙在似與不似之間).’라고 주장(主張)하며 독특(獨特)한 사의(寫意중국화의 전통 화법 중의 하나정교함을 추구하지 않고 간단한 선이나 묵색 또는 채색으로 사람의 표정이나 사물의 모양을 묘사하는 것국화(國畵스타일을 형성(形成)하여 홍화묵엽파(紅花墨葉一派)를 열었다그는 특히 과일(果實,) 채소(菜蔬), 곤충(昆蟲), 물고기 및 인물(人物), 산수(山水)를 그림의 주제(主題)로 했으며 한 때 오창석(吳昌碩)과 남오북제(南吳北齊)’라는 명예(名譽)를 누리기도 했다꽃과 새우 그림에 능했던 그는 먹 농도(濃度)의 강약(强弱)을 조절(調節)해 과감(果敢)하게 터치했으며 그의 그림 속 주제(主題)는 그의 붓 끝에서 생명력(生命力넘치는 주인공(主人公)으로 태어났다제백석(齊白石)은 순박(淳朴)한 민간예술(民間藝術스타일을 전통(傳統문인(文人화풍(畫風)과 서로 융합(融合)해 중국(中國현대(現代새 그림의 최고봉(最高峰)을 이루었다고 할 수 있다.

 

제백석(齊白石)의 새우 그림은 화단(畫壇)의 꽃이라 불릴 정도(程度)로 새우는 제백석(齊白石)의 대표적(代表的)인 예술(藝術부호(富豪중 하나이다제백석(齊白石)은 평생(平生관찰(觀察)을 통해 새우의 특징(特徵)을 심도(深度있게 묘사(描寫)하려 애썼다.

 

제백석(齊白石)의 새우 그림은 이미 경지(境地)에 이르렀다간결(簡潔)하면서도 과감(果敢)한 필묵(筆墨)은 물속에서 노니는 새우들을 생동감(生動感있게 표현(表現)했다.

 

제백석(齊白石)의 새우 그림은 활발(活潑)하고 영민(靈敏)하고 민첩(敏捷)함을 표현(表現)했으며 생명력(生命力)이 넘친다한 쌍의 짙은 눈머리 중간(中間)은 초묵(焦墨)좌우(左右)는 담묵(淡墨)을 사용(使用)해 그린 새우의 머리 부분(部分)을 보면 다양(多樣)한 변화(變化)를 느낄 수 있다딱딱한 껍질은 투명(透明)하게 표현(表現)하기 위해 먹 농도(濃度)의 강약(强弱)을 조절(調節)해 짙은 색에서 옅은 색으로 표현(表現)했다한 번 붓질에 한 마디를 표현(表現)한 새우의 허리부분은 연속(連續)으로 붓을 놀려 점점 가늘어지는 새우 허리의 리드미컬함을 부각(浮刻)시켰다.

 

제백석(齊白石)의 제자(弟子)는 매우 많다그 중 유명(有名)한 사람으로는 리쿠찬(李苦禅), 리커란(李可染), 왕쉐타오(王雪濤), 왕수스(王漱石), 왕주주(王鑄九), 쉬린루(許麟廬), 천다위(陳大羽), 리리(李立), 러우스바이(婁師白), 장더원(張德文), 샤오룽스(蕭龍士등이 있으며 중국(中國희극(戲劇)의 대가(大家)인 메이란팡(梅蘭芳), 평극(지방 전통극대가인 신펑샤(新鳳霞)도 있다.


자료 제공 : (중국국제방송)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53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373 [쉼터] - 오랜만에 만나는 조선족 민속그림... 2017-08-28 0 1732
372 [쉼터] - 한번이라도 상상의 이상으로 상상해보기... 2017-08-28 0 1556
371 세계 가장 아름다운 폭포들 2017-07-24 0 1587
370 뭇꽃들아, 너희들 세상이다... 2017-07-24 0 3710
369 [력사는 말한다] - 전쟁은 싫다 싫어... 2017-06-25 0 1801
368 [그것이 알고싶다] - 서예작품에서 낙관을 어떻게 찍어야?... 2017-06-25 0 1847
367 중국 근대 화단의 거장 서비홍 2017-06-24 0 5207
366 중국 근대 미술의 피카소 제백석 2017-06-24 0 2683
365 명나라 자수 "탕카" 중국 예술품의 최고 기록 경매... 2017-06-24 0 1649
364 [쉼터] - 연변 룡정 만무과수원에서... 2017-05-19 0 2225
363 [쉼터] - 흑백사진에 새 혼백 불어넣다... 2017-04-24 0 1931
362 피카소는 한마디로 규정하기가 너무 어렵다... 2017-04-18 0 2351
361 예술인은 정상성에 익숙해지것을 매우 혼란스러워 한다... 2017-04-11 0 2951
360 피카소는 녀인을 위해 기꺼이 양산을 들다... 2017-04-10 0 3049
359 毛澤東 초상화 아시아 경매 최고가 2017-04-04 0 2082
358 윤동주 시비 모음 2017-03-14 0 4436
357 구도상 맞는다 안맞는다 해도 명화는 명화 2017-03-04 0 6917
356 명화속에서 보는 500여년전 음식물?ㅡ... 2017-03-04 0 3453
355 천재의 화가 피카소도 녀인 옆에서 양산을 들다... 2017-03-04 0 2227
354 현대미술의 걸작을 보는것은 삶자체로 최고의 걸작을 보는것... 2017-03-01 0 2939
353 호주 사진작가, "위장술 아트" 녀류화가 - 오를리 파야 2017-02-28 0 2295
352 "전짠돌이" 그림 한화 24억짜리 "백두정기" 2017-02-28 0 1929
351 스웨덴 초현실주의 사진작가 - 에릭 요한슨 2017-02-27 0 7103
350 [쉼터] - 세계에서 제일 위험한 곳에 있는 산장 2017-02-27 0 1872
349 100 : 2026 2017-02-24 0 2567
348 중국 조선족 인민예술가, 중국의 "피카소" 한락연은 룡정사람 2017-02-22 0 1789
347 사과씨앗은 내 몸속에 살며 래일 돋아날 싹은 내 심장에서... 2017-02-19 1 2805
346 레바논-미국적 화가 - 칼릴 지브란 2017-02-19 0 3408
345 신비스러운 "투시" 화가 - 알렉스 그레이 2017-02-19 0 1695
344 "아테네 학당"에 "모인 유명인들" 그 당시에 "모일수 없었다"... 2017-02-18 1 2209
343 한폭의 그림과 고대 그리스 유명인들 2017-02-18 0 5066
342 그림속에 54명의 유명한 철학자, 천문학자, 수학자들이 있다... 2017-02-18 0 5698
341 르네상스시대의 3대 천재 거장 예술가들 2017-02-18 0 2653
340 진실을 모른다면 거짓말을 할수 없는 법... 2017-02-18 0 1817
339 이탈리아 르네상스시대 화가 - 라파엘로 2017-02-18 0 7535
338 일그러져가는 인간과 또한 망가져가는 세상을 그리다... 2017-02-15 0 5885
337 화가, 그림그리기, 거울, 그리고 고가그림 2017-02-15 1 2798
336 "어떤 상대도 내가 원하면 하루밤을 자고자고..." 2017-02-14 0 2526
335 [이런저런] 기괴스러운 작품모음(심장 약한 사람은 보지말기) 2017-02-14 0 3550
334 [쉼터] - 퓰리처상 수상작 사진모음(4) 2017-02-14 0 2549
‹처음  이전 1 2 3 4 5 6 7 8 9 10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