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1월 2025 >>
   1234
567891011
12131415161718
19202122232425
262728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밤
2018년 08월 09일 00시 42분  조회:3447  추천:0  작성자: 죽림

밤    /윤동주 

 

 

 

 

 

외양간 당나귀

아앙 앙 외마디 울음 울고,

 

당나귀 소리에

으-아 아 애기 소스라쳐 깨고

 

등잔에 불을 다오.

 

아버지는 당나귀에게

짚을 한 키 담아주고,

 

어머니는 애기에게

젖을 한 모금 먹이고,

 

밤은 다시 고요히 잠드오. 

 

 

 

 

 

 

------------------------------

 

 

 

 * 목연 생각 : 일제 강점기 때 태어나셔서 해방 공간의 여명에

불우하게 세상을 떠난 윤동주 시인의 작품입니다.

 

시골 농가의 어느 날 밤풍경이 떠오르네요..

당나귀가 배가 고팠나 보지요.

아니면 팔려가 새끼가 보고 싶어서

울음을 울었는 지도 모르고요.

그 소리에 아기도 함께 깨어나서 울고요.

 

아버지는 불을 밝히고 외양깐에 가서 나귀를 달래고

엄마는 애기에 젖을 먹이며 달래고 있습니다.

 

당나귀는 집안의 현재 재산이고,

아기는 집안의 미래 희망입니다.

 

정겨우면서도 왠지 안쓰러움이 느껴져서 가슴이 뭉클합니다.

이 아이가 자라서

지금의 우리 부모님과 할아버지 세대가 되셨습니다.

이 시속의 아버지와 어머니 마음으로

집안을 보살피며 우리를 키우고 계시고요.

 

우리도 자라면 그렇게

우리 아이들을 키울 테고,

그 때도 밤은 다시 고요히 잠들겠지요.

 

그러면서 때로는

어두운 세상을 만나면 윤동주 시인같이 채 피지 못하고

슬프게 시들 수도 있을 것이고요. 

 

 

  

 

 

윤동주(1902~1934)  : 시인. 만주 북간도 명동에서 태어남.

  연희전문학교 문과를 졸업하고 일본 도시샤(同志社) 대학 영문과 재학 중

  항일 운동을 했다는 혐으로 체포되어 1945년 2월 후쿠오카 형무소에서 옥사함.

  그의 시는 식민지 치하의 괴로운 시대를 살아아가면서

  양심에 출실하고자 끊임없이 번민하는 젊은이의

  순결한 내면을 투명하게 보여 줌.

  유고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


 
출생 1917년
사망 1945년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의 시인

시를 쓰는 것은 어찌 보면 시대의 어둠 속에 작은 ‘등불’ 하나를 밝혀 거는 일이다. 창씨 개명과 국어 사용 금지, 강제 공출과 징병제 등으로 식민지 피지배의 ‘어둠’이 깊어갈 무렵 “등불을 밝혀 어둠을 조금 내몰고, / 시대처럼 올 아침을 기다리는”1) 시인이 있었다. 나아갈 길을 가늠할 수 없을 만큼 깊은 어둠 속에서 언젠가 홀연히 닥칠 ‘아침’을 기다리던 그가 바로 윤동주(尹東柱, 1917~1945)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그는 “이 지나친 시련, 이 지나친 피로”2) 의 어둠 속에서 끝내 ‘아침’을 맞지 못하고 삶을 마감한다.

맑은 영혼으로 자아를 응시한 시인 윤동주
맑은 영혼으로 자아를 응시한 시인 윤동주

ⓒ 시공사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윤동주는 불같이 행동하는 실천적인 인간형이 아니라 고요히 자아를 응시하는 내면적인 인간형에 속한 사람이다. 밤하늘의 별을 헤며 패 · 경 · 옥과 같은 예전에 알던 이국 소녀들, 비둘기 · 강아지 · 토끼 · 노새 · 노루와 같은 순한 동물들, 그리고 프랑시스 잠 · 라이너 마리아 릴케와 같은 시인들의 이름을 불러보던 다정 다감한 젊은이. “죽는 날까지 하늘을 우러러 / 한 점 부끄러움이 없기를 / 잎새에 이는 바람에도 괴로워했”3) 던 시인 윤동주. 그는 사람들이 호구지책과 안락한 생활, 사유 재산에 집착할 때 고요한 내면에 병균처럼 파고든 시대의 어둠을 조용히 응시하며 “인생은 살기 어렵다는데 / 시가 이렇게 씌어지는 것”4) 조차 몹시 부끄러워한다. 순결한 영혼의 소유자이던 그는 해방을 불과 여섯 달 앞둔 1945년 2월 16일, 차디찬 이국의 감옥에서 숨을 거둔다.

윤동주의 육필 원고
윤동주의 육필 원고

ⓒ 시공사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윤동주는 1917년 12월 30일 만주 간도의 명동촌에서 아버지 윤영석과 독립 운동가이자 교육가로 이름이 높던 김약연의 누이 김용 사이의 장남으로 태어난다. 명동은 조선인들이 모여 살던 전형적인 농촌으로, 1899년 바로 윤동주의 외숙부인 김약연 등에 의해 개척된 마을이다. 이 마을은 기독교와 교육, 독립 운동의 중심지로 문화 운동이 활발하게 일던 곳이다. 윤동주의 할아버지는 기독교 장로였고, 아버지는 명동학원 교사를 지낸다.

윤동주는 명동촌의 큰 기와집에서 자란다. 마당에는 자두나무들이 있고, 대문을 나서면 텃밭과 타작마당, 북쪽 울 밖에는 서른 그루쯤 되는 살구나무와 자두나무가 있는 과원, 동쪽 쪽대문 밖에는 깊은 우물이 있는 풍경을 그는 나중까지 잊지 않는다. 쪽대문 밖의 우물은 “산모퉁이를 돌아 논가 외딴 우물을 홀로 찾아가선 가만히 들여다”보면 “달이 밝고 구름이 흐르고 하늘이 펼치고 파아란 바람이 불고 가을이 있고 추억처럼 사나이”5) 가 비치던 바로 그 우물이다.

그 사나이는 오똑하고 곧은 콧날, 부리부리한 눈방울, 한 일자로 굳게 다문 입술, 투명한 살결, 단정한 매무새를 한 미남 청년의 모습이었으리라. 귀족적인 풍모에 깔끔하면서도 맵시있는 멋쟁이였던 윤동주는 조용하고 사색적인 성품을 지니고 있었다. 그는 일찍이 소학교 시절에 문학과 만난다. 소학교 4학년 때부터 그는 나중에 일본 유학과 죽음까지 함께 하는 송몽규와 『어린이』 · 『아이생활』 같은 소년 잡지를 구독하고 연극 활동을 하면서 문학적 소양을 닦는다. 5학년 때는 송몽규와 함께 월간 잡지 『새명동』을 직접 등사판으로 펴내기도 한다. 이 등사판 잡지에 윤동주는 제가 쓴 동시와 동요 등을 싣는다.

당시 윤동주를 비롯한 학생들의 문학에 대한 열기는 대단했는데, 김동환의 시집 『국경의 밤』을 졸업 선물로 주었다는 데서도 이런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윤동주는 명동소학교를 졸업하고 명동촌에서 20여 리 떨어진 중국인 마을에 있는 소학교에 편입한다. 이 곳의 학교에 1년쯤 다닌 추억은 이국 소녀들의 이름과 함께 시 「별 헤는 밤」을 낳는다. 다음해인 1932년 윤동주는 고향 명동을 떠나 용정에 있는 기독교계 학교 은진중학교에 입학한다. 용정 은진중학교 시절에 윤동주는 폭넓은 활동을 한다. 교내 잡지를 발간하느라 밤새 원고지와 씨름하는가 하면 축구와 농구, 웅변에도 소질을 보인다.

은진중학교 때의 그의 취미는 다방면이었다. 축구 선수로 뛰기도 하고 밤 늦게까지 교내 잡지를 내느라고 등사 글씨를 쓰기도 하였다. 기성복을 맵시있게 고쳐서 허리를 잘룩하게 한다든지 나팔바지를 만든다든지 하는 일을 어머니 손을 빌지 않고 혼자서 재봉틀로 하기도 하였다. 2학년 때이던가, 교내 웅변 대회에서 「땀 한 방울」이란 제목으로 1등 한 일이 있어서 상으로 탄 예수 사진의 액자가 우리 집에 늘 걸려 있었다. 절구통 위에 귤 궤짝을 올려놓고 웅변 연습을 하던 모습이 눈앞에 선하다.
윤일주, 「윤동주의 생애」, 『나라사랑』 23집(외솔회, 1976)

당시 간도 지방 학생들 사이에서는 고국으로 유학하는 것이 유행이었는데, 은진중학교에 다니던 윤동주도 부모를 설득해 1935년 9월에 평양 숭실중학교로 전학한다. 전학한 해에 그는 숭실중학 YMCA 문예부에서 발간한 『숭실활천』에 시 「공상」을 발표하고 여러 시집을 탐독한다. 1936년 1월에는 1백 부 한정판으로 출판된 백석의 시집 『사슴』을 미처 구하지 못해 학교 도서실에서 하루 내내 시집 전체를 베껴 쓰기도 한다. 1936년 신사 참배 거부로 숭실중학이 폐교를 당하자 용정으로 돌아온 그는 광명학원 중학부에 편입해 2년 동안 중학 과정을 더 밟는다.

윤동주가 다니던 용정의 은진중학교
윤동주가 다니던 용정의 은진중학교

나중에 대성중학교로 이름이 바뀐다.

ⓒ 시공사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고종 사촌인 송몽규와 함께 서울의 연희전문(연세대학교의 전신)에 입학한 것은 스물두 살 때인 1937년의 일이다. 송몽규는 『동아일보』 신춘 문예에 콩트 「숟가락」으로 당선된 바 있는 문인으로, 당시에는 꽤 알려진 이름이었다. 진학을 앞두고 윤동주는 문학 공부를 하길 원하지만 아버지 윤영석이 의학을 전공하라고 해서 한동안 갈등을 겪는다. 졸업반인 5학년 2학기부터 다음해인 1938년 초까지 몇 달 동안 부자 사이의 갈등은 심각한 양상으로 발전한다. 윤동주가 식음마저 전폐하며 자신의 뜻을 굽히지 않자 할아버지 윤하현과 외숙부 김약연이 나서 아버지를 설득, 마침내 윤동주의 문과반 진학이 이루어진다.

일본 유학 시절의 윤동주(뒷줄 오른쪽)와 송몽규(앞줄 가운데)
일본 유학 시절의 윤동주(뒷줄 오른쪽)와 송몽규(앞줄 가운데)

ⓒ 시공사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최현배의 조선어 시간을 비롯해 손진태의 역사 시간, 이양하의 영문학 강의 등을 통해 윤동주는 연희전문 시절 민족 의식과 우리말에 대한 자부심 그리고 문학에 대한 꿈을 키우게 된다. 강의가 없으면 주로 산책과 독서로 시간을 보내던 그는 정지용 · 김영랑 · 백석 · 이상 · 서정주 등의 시를 열심히 읽고, 외국 문인으로는 도스토예프스키 · 앙드레 지드 · 발레리 · 보들레르 · 라이너 마리아 릴케 · 프랑시스 잠 · 장 콕토 등에 빠져든다. 책을 읽다가 답답해지면 황량한 서강 들판과 인적 없는 창내벌(지금의 창천동)을 어둑어둑해질 때까지 혼자 걸으며 시를 구상한다. 윤동주를 알던 이들은 그가 선천적으로 걷기를 좋아하는 사람이었다고 기억한다. 연희전문 4학년 때 기숙사에서 나온 윤동주와 함께 누상동 김송의 집에서 하숙 생활을 한 연희전문 2년 후배 정병욱의 회고에서도 이것을 알 수 있다.

그 무렵 우리 일과는 대충 다음과 같았어. 아침 식사 전에는 누상동 뒷산인 인왕산 중턱까지 산책을 했어. 세수는 골짜기 아무 데서나 하고. 방으로 돌아와 청소를 하고 조반을 마친 다음에는 학교로 나갔지. 하학 후에는 소공동 한국은행 앞까지 전차를 타고 나가 충무로 일대의 책방들을 순례했어. 지성당, 일한서방, 마루젠(丸善), 군서당과 같은 신간 서점과 구서점들을 돌고 나서 음악 다방에 들러 차를 마시며 새로 산 책들을 펴보곤 했지. 가끔은 극장에 들러 영화를 보기도 하고. 다시 명동에서 도보로 을지로를 거쳐 청계천을 건너 관훈동 헌 책방을 순례하고 돌아오면 이미 어둑해져 거리에 전기불이 환하게 밝혀졌지.
정병욱, 「잊지 못할 윤동주의 일들」, 『나라사랑』 23집(외솔회, 1976)

1941년 일제의 혹독한 식량 정책으로 기숙사에서 나오게 된 윤동주는 넉 달쯤 소설가 김송의 집에서 하숙 생활을 한다. 일제의 요시찰 대상으로 감시를 받고 있던 김송의 집에서 윤동주는 「무서운 시간」 · 「태초의 아침」 · 「십자가」 · 「또다른 고향」 같은 작품을 완성한다.

1941년 연희전문 졸업을 앞두고 윤동주는 그 동안 쓴 시 19편을 묶어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라는 제목으로 자필 시고집(詩稿集) 세 부를 만든다. 그는 세 부 가운데 한 부는 자신이 갖고, 한 부는 연희전문의 영문과 교수인 이양하에게, 나머지 한 부는 후배 정병욱에게 준다.

「별 헤는 밤」을 완성한 다음 동주는 자선 시집을 만들어 졸업 기념으로 출판하기를 계획했었다. 「서시」까지 붙여서 친필로 쓴 원고를 손수 제본을 한 다음 그 한 부를 내게다 주면서 시집의 제목이 길어진 이유를 「서시」를 보이면서 설명해 주었다. 그리고 처음에는(「서시」가 완성되기 전) 시집 이름을 「병원」으로 붙일까 했다면서 표지에 연필로 ‘병원’이라고 써넣어 주었다. 그 이유는 지금 세상은 온통 환자투성이기 때문이라 하였다. 그리고 병원이란 앓는 사람을 고치는 곳이기 때문에 혹시 앓는 사람에게 도움이 될 수 있을지도 모르지 않겠느냐고 겸손하게 말했던 것을 기억한다.
정병욱, 「잊지 못할 윤동주의 일들」, 『나라사랑』 23집(외솔회, 1976)

그의 시고를 읽어본 이양하는 출판을 보류하도록 권한다. 「십자가」 · 「슬픈 족속」 · 「또다른 고향」 등 몇 편의 시가 일제의 검열을 통과하기 어려울 것이며, 일본 유학을 앞두고 있는 윤동주의 신변에도 적지 않은 위험이 따를 것이라는 판단이 섰기 때문이다. 윤동주는 이양하의 권유를 받아들여 당시에는 출판을 하지 않지만, 졸업 직후 용정으로 돌아와서도 아버지와 출판 문제를 의논하는 등 시집 출판에 미련을 버리지 않는다. 그러나 이번에는 돈 문제가 걸려서 출판 계획을 접게 된다. 결국 윤동주 생전에 시집 출판의 뜻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 뒤 윤동주와 이양하가 갖고 있던 시고는 행방을 알 길이 없게 된다. 나머지 정병욱에게 준 시고만 그의 어머니가 명주 보자기에 싸서 마루 밑 깊숙한 곳의 항아리에 감춰둔 덕분에 해방 뒤인 1948년 1월 30일, 드디어 윤동주의 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가 빛을 보게 된다.

〈서시〉를 비롯한 19편의 시가 실린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서시〉를 비롯한 19편의 시가 실린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윤동주의 육필 시고집을 그가 죽고 나서 해방 뒤에야 비로소 책으로 출간한 것이다. 1948년에 나온 판본(왼쪽)과 1955년에 나온 판본

ⓒ 시공사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윽고 윤동주는 일본으로 건너가 교토의 도시샤(同志社)대학 영문과에 입학한다. 1943년 7월, 여름 방학을 앞두고 그는 집에 전보를 치는 등 귀향 준비를 서두른다. 그러나 귀향은 끝내 이루어지지 못한다. 윤동주가 사상범으로 특고 경찰에게 검거된 것이다. 교토제국대학에 다니던 송몽규도 함께 잡혀 들어가는데, 이들의 죄명은 ‘치안 유지법’ 위반. 말하자면 독립 운동을 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들이 실제로 일본에서 독립 운동을 했다는 분명한 증거는 없다. 다만 송몽규는 한때 중국의 난징 쪽에서 독립 운동 단체에 가입해 활동한 적이 있고, 윤동주는 도시샤대학의 일본인 교수와 민족 문제로 말다툼을 벌인 적이 있긴 하다.

얼마 뒤 윤동주는 2년형, 송몽규는 2년 6개월형을 언도받고 후쿠오카형무소에 수감된다. 1945년 간도 명동촌의 집으로 윤동주의 사망 소식을 알리는 전보 통지서가 날아든다. “2월 16일 동주 사망, 시체 가지러 오라.” 아버지 윤영석이 당숙 윤영춘과 함께 시신을 넘겨받으러 일본으로 떠난 며칠 뒤 다시 “동주 위독함, 원한다면 보석할 수 있음, 만약 사망시에는 시체를 인수할 것, 아니면 규슈제국대학 해부용으로 제공할 것임.”이라는 내용의 때 늦은 우편물이 도착한다.

간도의 소학교 동창생들과 함께 한 윤동주(앞줄 왼쪽)
간도의 소학교 동창생들과 함께 한 윤동주(앞줄 왼쪽)

ⓒ 시공사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 얼마 전, 후쿠오카형무소에 들어간 윤영석은 푸른 죄수복을 입은 조선인 청년 50여 명이 주사를 맞기 위해 시약실 앞에 줄을 서 있는 것을 보게 된다. 윤영석은 그 속에서 피골이 상접한 송몽규를 발견한다.

“저놈들이 주사를 맞으라고 해서 맞았더니 이 모양이 되었고, 동주도 그 모양으로······.” 일제는 태평양전쟁 말엽에 살아 있는 사람들을 상대로 세균 실험을 했는데, 윤동주도 바로 그 실험에 이용되어 죽지 않았나 싶다. 말을 맺지 못하고 흐느끼던 송몽규도 그로부터 23일 뒤 윤동주의 뒤를 따른다. 방부 처리를 해놓아 윤동주의 주검은 말끔한 편이었고, 장례는 3월 어느 눈보라치던 날에 용정 동산에서 치러진다.

“시인이란 슬픈 천명”을 안고 산 시인 윤동주. 그의 시 세계를 지배하는 정서는 부끄러움과 죄 의식이다.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식민지 피지배 현실이라는 테두리와 내면 세계 사이에서 그는 심각한 자기 혐오와 수치심에 빠져 괴로워한다. 그의 시에 중요한 심상으로 등장하는 ‘우물’과 ‘거울’은 바로 개체를 둘러싸고 있는 사회와 종족과 역사라는 큰 틀에 비추어 스스로를 바라보는 자기 응시와 자기 성찰의 매개적 상징물이다.

파란 녹이 낀 구리거울 속에 / 내 얼굴이 남아 있는 것은 / 어느 왕조의 유물이기에 / 이다지도 욕될까.
「참회록」 일부,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정음사, 1948)

끊임없이 윤리적인 자기 완성을 꿈꾸며 내부에 도사리고 있는 한 점의 욕됨조차 용납하지 않으려 하던 청년 시인은 이렇게 “어느 운석 밑으로 홀로 걸어가는 / 슬픈 사람”처럼 떠나고 만다.

선언(宣言)

노동자(勞動者) 농민(農民) 제군(諸君)! 진보적(進步的) 지식 계급(知識階級) 제군(諸君)!

아세아(亞細亞) 십억만(十億萬)의 착취(搾取) 압박(壓迫) 침략자(侵略者)로서 군림(君臨)해 오든 일본 제국주의(日本帝國主義)의 최후(最後)의 심판(審判)의 날은 왓다. 36년간(三十六年間) 전세계(全世界)에 가혹(苛酷)하기 그 예(例)가 없엇든 제국주의(帝國主義) 일본(日本)의 강제적(强制的) 지배(支配)와 노예적(奴隸的) 압정(壓政)에 신음(呻吟)하든 우리 조선 민중(朝鮮民衆)도 드듸어 자유(自由)와 해방(解放)의 날은 왓다.

그러나 제군(諸君)! 오늘 우리는 이 환희(歡喜)의 날을 마지하면서 다시 우리 민족(民族)의 절대 다수(絶對多數)인 노동자(勞動者) 농민(農民)의 완전(完全)한 해방(解放)을 목표(目標)로 한 과감(果敢)한 투쟁(鬪爭)이 남어 잇다는 것을 알어야 한다.

1935년(一九三五年) 일본 제국주의(日本帝國主義)의 야만적(野蠻的)인 강압(强壓)으로 조선(朝鮮)프로레타리아예술동맹(藝術同盟)이 해산(解散)되자 혹(或)은 지하(地下)로 혹은 비협조적(非協調的) 태도(態度)로 우리들의 문학 활동(文學活動)은 일시(一時) 정돈(停頓)되고 오직 일부(一部) 개종(改宗)한 반동 분자(反動分子)만이 뿌르죠아 문학자(文學者)와 보조(步調)를 일치(一致)하여 왓다. 이리하야 과거(過去) 십년간(十年間) 조선(朝鮮) 프로레타리아 문학(文學)은 자연(自然) 침체(沈滯)의 비경(悲境)에 잇엇든 것이다.

그러나 8월 15일(八月十五日)을 계기(契機)로 일본 제국주의(日本帝國主義)의 살인적(殺人的)인 무거운 철쇄(鐵鎖)는 끈어젓다.

이에 조선(朝鮮)프로레타리아문학동맹(文學同盟)은 다시 결성(結成)되엇다.

우리는 일체(一切) 반동 문학 운동(反動文學運動)과의 투쟁(鬪爭)을 전개(展開)하며 비민주주의(非民主主義) 개량주의(改良主義) 봉건주의(封建主義) 국수주의(國粹主義) 예술 지상주의(藝術至上主義) 문학(文學)을 배격(排擊)하는 동시(同時)에 프로레타리아 예술(藝術) 확립(確立)에 매진(邁進)하려 한다.

강령(綱領)

1. 우리는 프로레타리아 문학(文學) 건설(建設)을 기(期)함
1. 우리는 파씨즘 문학(文學) 뿌르죠아 문학(文學) 사회 개량주의(社會改良主義) 문학(文學) 등(等) 일체(一切) 반동적(反動的) 문학(文學)을 배격(排擊)함
1. 우리는 국제(國際) 프로레타리아 문학 운동(文學運動)의 촉진(促進)을 기(期)함

1945년 9월 17일(一九四五年九月十七日) 조선(朝鮮)프로레타리아문학동맹(文學同盟)
중앙 집행 위원장(中央執行委員長) 이기영(李箕永)
서기장(書記長) 윤기정(尹基鼎)

중앙 집행 위원(中央執行委員)

이기영(李箕永), 한설야(韓雪野), 조중곤(趙重滾), 박승극(朴勝極), 권환(權煥), 김두용(金斗鎔), 이북명(李北鳴), 한효(韓曉), 박아지(朴芽枝), 홍구(洪九), 박세영(朴世永), 이동규(李東珪), 박석정(朴石丁), 송완순(宋完淳), 엄흥섭(嚴興燮), 안동수(安東洙), 조벽암(趙碧岩), 윤곤강(尹崑崗), 송영(宋影), 신고송(申鼓頌), 이주홍(李周洪), 정청산(鄭靑山), 김승구(金承久), 박팔양(朴八陽), 윤기정(尹基鼎)

외부 위원(外部委員)

소설(小說) = 이기영(李箕永), 한설야(韓雪野), 엄흥섭(嚴興燮), 이동규(李東珪), 안동수(安東洙), 홍구(洪九) 시(詩) = 권환(權煥), 윤곤강(尹崑崗), 박세영(朴世永), 박아지(朴芽枝), 조벽암(趙碧岩) 희곡(戱曲), 씨나리오 = 송영(宋影), 김승구(金承久), 신고송(申鼓頌), 박영호(朴英鎬) 아동 문학(兒童文學) = 송완순(宋完淳), 이주홍(李周洪), 정청산(鄭靑山) 외국 문학(外國文學) = 이홍종(李洪鐘), 권환(權煥), 김장환(金章煥), 이기영(李箕榮) 평론(評論), 수필(隨筆) = 김두용(金斗鎔), 윤기정(尹基鼎), 한효(韓曉), 박석정(朴石丁), 박승극(朴勝極)

동맹원(同盟員)

김태준(金台俊), 김두용(金斗鎔), 김오성(金午星), 김창술(金昌述), 김해강(金海剛), 김태진(金兌鎭), 김승구(金承久), 김장환(金章煥), 김람인(金嵐人), 김병호(金炳昊), 김우철(金友哲), 김단미(金丹美), 김성봉(金性奉), 김대균(金大均), 구직회(具直會), 권환(權煥), 박승극(朴勝極), 박세영(朴世永), 박아지(朴芽枝), 박석정(朴石丁), 박노춘(朴魯春), 박팔양(朴八陽), 박태양(朴太陽), 박완식(朴完植), 박영준(朴榮濬), 박영호(朴英鎬), 서인식(徐寅植), 손풍산(孫楓山), 송영(宋影), 송완순(宋完淳), 신고송(申鼓頌), 안동수(安東洙), 안함광(安含光), 안용만(安龍灣), 엄흥섭(嚴興燮), 윤기정(尹基鼎), 윤곤강(尹崑崗), 윤세중(尹世重), 이기영(李箕永), 이동규(李東珪), 이주홍(李周洪), 이북명(李北鳴), 이근영(李根榮), 이원수(李元壽), 이홍종(李洪種), 이기영(李箕榮), 이재환(李載煥), 이지용(李地用), 이찬(李燦), 이약슬(李葯瑟), 정청산(鄭靑山), 조벽암(趙碧岩), 조중곤(趙重滾), 조연현(趙演鉉), 조영출(趙靈出), 조허림(趙虛林), 지봉문(池奉文), 진우촌(秦雨村), 최인준(崔仁俊), 한설야(韓雪野), 한식(韓植), 한효(韓曉), 한봉식(韓鳳植), 현경준(玄卿駿), 현동염(玄東炎), 홍효민(洪曉民), 홍구(洪九)[가나다순(順)]

8·15와 함께 해방 공간이 열리면서 정세가 급류를 타자 이에 재빨리 대처한 쪽은 문학 예술 분야에서도 역시 좌파 진영이다. 조선프롤레타리아문학동맹은 그 중에서도 1930년대에 솟구쳤다가 잦아든 카프를 계승한 단체임을 밝힌다. 이 단체는 임화가 주도한 조선문학건설본부에서 갈라져 나온 것으로, 극좌 성향의 한설야와 이기영 등이 이끌며 좌익 문단 내부에서 치열한 노선 투쟁을 벌인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210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울적 2018-08-11 0 3248
1209 윤동주와 마지막으로 남은 석장 사진 2018-08-10 0 3764
1208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장 2018-08-10 0 3097
1207 윤동주와 강처중 "발문" 2018-08-09 0 2551
1206 윤동주와 정지용 "서문" 2018-08-09 0 2733
1205 윤동주와 마광수 2018-08-09 0 2427
1204 윤동주와 녀성 2018-08-09 0 3556
1203 윤동주와 "머리" 2018-08-09 0 2447
1202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밤 2018-08-09 0 3447
1201 "앞으로 계속 동주를 안고 갈 새세대들을 키워야"... 2018-08-08 0 3165
1200 [자료] - 윤동주 동시와 그 세계를 론하다... 2018-08-08 0 2560
119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할아버지 2018-08-07 0 3568
1198 다시 알아보는 "생명의 시인"- 윤동주 2018-08-07 0 8247
1197 다시 알아보는 윤동주 가족 관계 2018-08-07 0 7095
1196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호주머니 2018-08-06 0 4492
1195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빨래 2018-08-06 0 2778
1194 윤동주와 윤혜원 2018-08-04 0 2698
1193 윤동주와 "소금물" 2018-08-04 0 3558
1192 [작문써클선생님께] - "사과" 이야기 하나 해볼가요... 2018-08-04 0 4042
1191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사과 2018-08-04 0 2599
1190 [바로 잡아야 합니다] - 윤동주 시 "편지"가 오도되고 있다!... 2018-08-04 0 3002
118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편지 2018-08-04 0 4466
1188 다시 보는 윤동주 2018-08-04 0 3848
1187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버선본 2018-08-03 0 2766
1186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가을밤 2018-08-03 0 2580
1185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무얼 먹고 사나 2018-08-02 0 3119
1184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굴뚝 2018-08-01 0 3072
1183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가슴 3 2018-08-01 0 4151
1182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식권 2018-07-31 0 2893
1181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기와장내외 2018-07-31 0 3078
1180 시인 윤둥주를 사랑한 물리학자 2018-07-30 0 3152
117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흐르는 거리 2018-07-30 0 2596
1178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간판 없는 거리 2018-07-29 0 4979
1177 "바람만이 그 답을 알고 있다네"... 2018-07-29 0 2392
1176 다시보는 음유시인, 가수 - 밥 딜런 2018-07-29 0 6506
1175 음유시인은 여전히 자신만의 방식과 자신만의 "예술"을 하다 2018-07-29 0 2657
1174 "나한테 주어진 길을 걸어가야겠다" ㅡ "윤동주 정신" 2018-07-27 0 2297
1173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길 2018-07-27 0 5158
1172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눈 감고 간다 2018-07-26 0 3122
1171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또 태초의 아침 2018-07-25 0 2921
‹처음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