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윤동주 시 리해돕기와 "능금"
2018년 09월 06일 23시 33분  조회:4098  추천:0  작성자: 죽림

 
분류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장미목 > 장미과 > 사과나무속
원산지 아시아 (대한민국,중국)
서식지 화강암계, 화강편마암계, 변성퇴적암계, 경상계 등의 토질
크기 약 10m
학명 Malus asiatica
꽃말 은화, 참애호자

요약 장미과에 속하는 낙엽교목.

 
능금나무(Malus aslatica)
능금나무(Malus aslatica)

ⓒ Łukasz Szczurowski/wikipedia | CC BY-SA 3.0

키는 10m 정도이며 어린가지에는 털이 많이 달려 있다. 잎은 난형 또는 타원형이고 어긋나며 잎가장자리에는 조그만 톱니가 있다. 꽃은 5월에 분홍색으로 피고 꽃잎과 꽃받침은 각각 5장이며 꽃받침은 뒤로 젖혀진다. 암술대 밑에는 털이 나 있다. 사과처럼 생긴 둥그런 열매는 8~10월에 노란빛이 도는 붉은색으로 익으며 겉에는 하얀 가루가 묻어 있다.

사과나무와 비슷하나 사과나무는 꽃받침 밑부분이 열매가 맺힐 때 혹처럼 커지지 않는 반면에 능금은 혹처럼 두드러지게 커진다. 경기도·황해도에서 마을 주변에 흔히 심고 그 열매를 먹어왔으나 외국에서 들어온 사과에 밀려 지금은 거의 심지 않고 있다.

능금이란 이름은 임금에서 나온 것으로, 전설에 따르면 임금은 왕을 뜻하는 임금과 똑같이 읽혀지므로 아마도 고귀한 과일이라고 생각되어 고려 때 수도인 개성에 능금 심는 것을 장려했고, 조선시대에 태조가 한양을 수도로 정하면서 역시 능금 심는 것을 장려했다고 한다. 사과보다는 열매가 작고 시며 떫은 맛이 난다.









 
분류 장미과
성격 식물, 나무, 과일
유형 동식물
크기 높이 10m
학명 Malus asiatica NAKAI
분야 과학/식물
개화기 5월

요약 장미과에 속하는 낙엽활엽소교목.

 

내용

학명은 Malus asiatica NAKAI이다. 우리나라 야생의 사과나무로 서울 자하문 밖과 강원도·황해도의 표고 100∼700m에서 자생한다.

나무의 높이는 10m에 달한다. 잎은 어긋나며 타원형이고 뒷면에 면모(綿毛)가 있으며,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다. 엽병(葉柄)은 길이 1∼4㎝로서 털이 있다.

꽃은 양성(兩性)으로 5월에 피고, 짧은 가지에 우산모양으로 달린다. 소화경(小花梗)은 길이 1.8∼2.8㎝로서 털이 있다. 꽃잎은 다섯 개로 연한 홍색의 타원형이고, 수술은 5∼10㎜이며, 암술대는 5개로서 밑부분이 합쳐지며 털이 있다. 꽃받침의 밑부분이 혹처럼 부푼 것이 사과나무와 다르고, 열매는 지름 4.0∼5.5㎝로서 10월에 황홍색으로 익으며 겉에 하얀 가루가 덮여 있다.

전국 어디서나 잘 자라는 양수(陽樹)로서 음지에서는 개화결실이 불량하고, 바닷가에서는 피해를 입는다. 내건성(耐乾性: 가뭄에 견디는 성질)은 약하나 대기오염에 대한 저항성은 강하다.

줄기는 직립하여 원추형의 나무모양을 이루고 가지는 홍갈색이다. 봄에 피는 연분홍색 화사한 꽃은 아름답고, 가을에 무르익는 탐스러운 주홍색의 능금은 우리 고유의 참사과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우리 선조들이 가꾸어 온 재래종의 특산 과수로서, 유전자를 잘 보전하여야 할 것이다.

가을에 종자를 채취하여 노천에 매장하였다가 봄에 파종하거나, 확실한 품종을 얻으려면 아그배나무나 야광나무를 대목으로 하여 접목하여야 한다. 열매에 달린 꽃받침 밑부분이 혹처럼 되지 않은 것을 사과라 한다.

=====================///

 

綾衾능금

①무늬가 있는 비단(緋緞) 이불  
②무늬가 있는 비단(緋緞)으로 바른 미닫이

 

沙果사과

사과(沙果ㆍ砂果)나무의 열매.
-비타민 C가 풍부(豐富)하며, 신맛ㆍ단맛이 있음.

세는 단위(單位)는 개ㆍ알ㆍ접(100개)

 

능금1[능금]

[명사]

1.능금나무의 열매. 사과와 비슷한 모양이지만 훨씬 작다.

2.‘사과(사과나무의 열매)’의 잘못.

유의어 : 사과


 

능금2 (綾衾)

[명사]

1.무늬가 있는 비단 이불.

2.무늬가 있는 비단으로 바른 미닫이.

==========================///
 

 

능금은 능금나무의 열매로, 지름이 4∼5.5cm이며
10월에 노란빛을 띤 붉은 색으로 익고 겉에 흰 가루가 덮여 있습니다.

 

크기가 골프공보다 작거나 비슷하고,맛은 새콤달콤합니다.

 

사과보다 작고 지금의 사과의 원형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이 능금을 품종 개량해서 많은 사과들이 만들어졌습니다.

 

지금 우리들이 먹는 것은 사과입니다.

 

능금은 작고 상품성이 없기 때문에 넓은 범위로 따로 재배하지는 않습니다.

 

주로 분재로 이용되거나, 관상수나 가로수로 심습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210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울적 2018-08-11 0 3271
1209 윤동주와 마지막으로 남은 석장 사진 2018-08-10 0 3801
1208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장 2018-08-10 0 3124
1207 윤동주와 강처중 "발문" 2018-08-09 0 2585
1206 윤동주와 정지용 "서문" 2018-08-09 0 2749
1205 윤동주와 마광수 2018-08-09 0 2442
1204 윤동주와 녀성 2018-08-09 0 3570
1203 윤동주와 "머리" 2018-08-09 0 2464
1202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밤 2018-08-09 0 3509
1201 "앞으로 계속 동주를 안고 갈 새세대들을 키워야"... 2018-08-08 0 3181
1200 [자료] - 윤동주 동시와 그 세계를 론하다... 2018-08-08 0 2576
119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할아버지 2018-08-07 0 3590
1198 다시 알아보는 "생명의 시인"- 윤동주 2018-08-07 0 8341
1197 다시 알아보는 윤동주 가족 관계 2018-08-07 0 7137
1196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호주머니 2018-08-06 0 4517
1195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빨래 2018-08-06 0 2790
1194 윤동주와 윤혜원 2018-08-04 0 2742
1193 윤동주와 "소금물" 2018-08-04 0 3572
1192 [작문써클선생님께] - "사과" 이야기 하나 해볼가요... 2018-08-04 0 4059
1191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사과 2018-08-04 0 2613
1190 [바로 잡아야 합니다] - 윤동주 시 "편지"가 오도되고 있다!... 2018-08-04 0 3049
118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편지 2018-08-04 0 4520
1188 다시 보는 윤동주 2018-08-04 0 3882
1187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버선본 2018-08-03 0 2823
1186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가을밤 2018-08-03 0 2596
1185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무얼 먹고 사나 2018-08-02 0 3143
1184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굴뚝 2018-08-01 0 3107
1183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가슴 3 2018-08-01 0 4200
1182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식권 2018-07-31 0 2909
1181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기와장내외 2018-07-31 0 3111
1180 시인 윤둥주를 사랑한 물리학자 2018-07-30 0 3167
117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흐르는 거리 2018-07-30 0 2634
1178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간판 없는 거리 2018-07-29 0 5012
1177 "바람만이 그 답을 알고 있다네"... 2018-07-29 0 2411
1176 다시보는 음유시인, 가수 - 밥 딜런 2018-07-29 0 6572
1175 음유시인은 여전히 자신만의 방식과 자신만의 "예술"을 하다 2018-07-29 0 2672
1174 "나한테 주어진 길을 걸어가야겠다" ㅡ "윤동주 정신" 2018-07-27 0 2306
1173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길 2018-07-27 0 5179
1172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눈 감고 간다 2018-07-26 0 3139
1171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또 태초의 아침 2018-07-25 0 2940
‹처음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