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시공부 101] - 29...
2020년 03월 28일 23시 20분  조회:3575  추천:0  작성자: 죽림

국어선생님도 궁금한 101가지 문학질문사전

비유를 잘하고 싶어요. 방법이 있을까요?

 

 

분야 현대 시

교과 연계표

교과 연계표
구분 교과 단원

중학교

 

문학의 본질과 속성

고등학교

문학

문학 작품의 구성 원리

말재주가 좋아서 인기 있는 친구들을 보면 비유를 참 잘 써요. 뜨는 유행어를 잘 만드는 코미디언도 비유를 잘 쓰는 것 같고요. 좋은 비유를 만드는 비밀은 대체 뭘까요?

비유를 잘하고 싶어요. 방법이 있을까요?

비유 : 유사성 속에서 차이 만들기

사람들은 왜 직접 말하지 않고 빗대어 말하는 것을 좋아할까요? 빗대어 표현하면 대상을 보다 친근하고 익숙하게 인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낯설게 표현함으로써 상투적인 개념들을 새롭게 인식하는 효과를 얻을 수도 있지요. 대상의 이미지가 구체적이고 선명하게 나타날 수도 있고요.

비유가 성립하기 위해서는 원관념과 보조관념이 필요합니다. 원관념이란 작가가 전하고자 하는 본래의 관념을 뜻하며 보조관념은 원관념을 잘 전달하기 위해 활용되는 개념을 일컫습니다.

원관념과 보조관념은 일단 유사성을 지니고 있어야 합니다. 유사성이 없는 대상을 서로 연결하면 본래의 의미가 전달되는 것이 불가능해집니다. 그렇다고 해서 지나치게 유사한 것을 짝 지우느니 차라리 비유를 사용하지 않는 편이 나을 수도 있습니다. 이를테면 진달래가 철쭉처럼 피었다는 말이 있다고 생각해 보세요. 진달래와 철쭉은 비슷한 분홍색이고 또 봄에 피는 꽃이어서 둘 사이가 아주 비슷합니다. 따라서 진달래와 철쭉을 연결 짓는 것은 좋은 비유라고 보기 어렵습니다. 참신성이 떨어지는 것이지요.

좋은 비유가 되기 위해서는 차이성을 갖춰야 합니다. 유사성을 갖춘 상태에서 원관념과 보조관념 사이의 차이가 클수록 참신한 표현이 되는 것입니다. 참신한 표현일수록 독자들이 긴장을 하게 되고 상상력도 더 발휘하게 되지요. 물론 차이만 있어서는 안 되고 기본적인 유사성은 반드시 갖춰야지요. 서정주의 「동천」에서 밤하늘에 걸린 그믐달을 보고 우리 님의 고운 눈썹을 심어놨다고 비유한 것은 참신한 발상이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비유법, 종류별로 알아볼까?

가장 널리 알려진 비유법은 직유와 은유입니다. 직유는 “돌담에 속삭이는 햇발같이 / 풀 아래 웃음 짓는 샘물같이”에서 보듯이 ‘~처럼’, ‘~같이’, ‘~듯이’ 등을 사용하여 원관념과 보조관념을 연결하는 방법입니다. 이에 반해 은유는 “내 마음은 호수요”와 같이 ‘A는 B이다’의 형식으로 ‘~처럼’과 같은 연결어를 뺀 채 마치 두 대상이 동일한 것처럼 간접적으로 연결하여 표현하는 방법이지요.

이 밖에도 비유법에는 의인법과 활유법, 대유법, 풍유법 등이 있습니다. 먼저, 의인법은 사물이나 관념과 같은 무생물체에게 인간의 속성을 부여하여 표현하는 방법입니다.

벼는 서로 어우러져
기대고 산다.
햇살 따가워질수록
깊이 익어 스스로를 아끼고
이웃들에게 저를 맡긴다.

이성부, 「벼」 중에서

인용된 부분을 보면 소재는 분명히 ‘벼’입니다. 그런데 작품 속에서 시적 화자는 ‘벼’를 마치 사람인 양 표현하고 있습니다. “스스로를 아끼고”라든가, “이웃들에게 저를 맡긴다”는 표현은 모두 사람만이 가능한 행위입니다. 따라서 이 작품에서는 ‘벼=인간’이라는 비유가 먼저 존재한다고 말할 수 있지요. 직유와 은유처럼 원관념, 보조관념의 형식이 존재하는 것은 아니지만 ‘무생물=인간’이라는 비유가 전제되어 있다는 점에서 의인법도 비유법의 일종으로 볼 수 있지요. 활유법은 의인법과 비슷하게 무생물을 생물이라고 전제하고 표현하는 방식입니다. 활유와 의인은 굳이 따로 구분하지 않고 의인법으로 통칭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유법은 사물의 일부분이나 특징을 들어 전체를 나타내는 비유법입니다. 대유법은 방법에 따라서 두 가지로 다시 구분됩니다. 대상의 속성이나 특징을 그와 밀접하게 관련된 다른 사물로 나타내는 표현 방법을 환유라고 하고, 사물의 부분을 활용하여 전체를 나타낼 때 이를 제유라고 부릅니다.

아아 온갖 윤리, 도덕, 법률은 칼과 황금을 제사 지내는 연기()인 줄 알았습니다

한용운, 「당신을 보았습니다」 중에서

지금은 남의 땅—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이상화,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중에서

첫 번째 한용운의 시에서 시인은 권력과 자본을 칼과 황금에 비유하고 있습니다. 칼은 힘을 지닌 사람이고 그런 점에서 권력과 연결되고, 황금은 물질적인 것과 연결되므로 자본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칼과 황금은 환유법에 해당합니다.

두 번째 이상화의 시에서 빼앗긴 들은 빼앗긴 조국을 뜻합니다. 작품이 발표된 것이 일제 강점기였다는 점을 생각하면 무리한 해석이 아니지요. 여기서 “빼앗긴 들”은 농사를 짓는 땅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닙니다. 우리나라 전체를 가리키는 말로 쓰인 것이지요. ‘들’이라는 아주 작은 부분으로 ‘나라’ 전체를 표현했으니 이 구절은 제유법에 해당합니다.

뜬금있는 질문

관념적인 대상도 비유의 대상이 될 수 있을까요?

비유는 유사성과 차이성만 있으면 어떤 대상이든지 가능합니다. 다음 시조를 한번 살펴볼까요. “동짓달 기나긴 밤을 한 허리를 잘라 내어 / 춘풍() 이불 아래 서리서리 넣었다가, / 어론임 오신 날 밤이여든 구뷔구뷔 펴리라.”(황진이의 시조) 자, ‘동짓달 밤’이 마치 살아 있는 생물이라도 되는 듯이 ‘허리’를 잘라 낸다고 되어 있습니다. ‘밤’은 추상적이고 관념적인 대상임에도 불구하고 마치 살아 있는 생물처럼 비유되어 있네요. 이처럼 비유의 대상에는 거의 제한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 비유를 잘하고 싶어요. 방법이 있을까요? (국어선생님도 궁금한 101가지 문학질문사전)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330 윤동주 서울 하숙집 가보다... 2017-03-17 0 2724
329 시쓰기는 보석쟁이가 값진 다이아몬드를 세공하는것과 같다 2017-03-17 0 2688
328 윤동주의 시는 끝까지 한글 작품으로 남아있다... 2017-03-17 0 3154
327 윤동주의 친동생 윤일주도 시인이었다... 2017-03-16 0 3915
326 시비(詩碑)가 뭐길래 시비(是非)인거야... 2017-03-16 0 3032
325 한 편의 시에서 시의 1행이 주조행(主調行)이라 할수 있다... 2017-03-16 0 2790
324 윤동주 묘비에는 "詩人尹東柱之墓"라고 워낙 각인되여... 2017-03-16 0 3295
323 시인은 늘 령감의 메시지를 잡을줄 알아야... 2017-03-15 0 2902
322 시의 씨앗은 시인의 몸 안에서 "무자각적"으로 싹터 자란다... 2017-03-14 0 2809
321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이골이 나다"의 유래 2017-03-14 0 2427
320 일본 교토 윤동주 마지막 사진 찍은 자리에 詩碑 세우다... 2017-03-13 0 2983
319 시 한편이 태여나는것은 늘 울고 웃는 과정을 그려가는것... 2017-03-13 0 2553
318 있어야 할건 다 있고 없을건 없다는 "화개장터" 2017-03-12 0 2828
317 우리 고향 연변에도 "詩碑자연공원"을 조성해야... 2017-03-12 0 3265
316 일본 문화예술인들 윤동주를 기리다... 2017-03-12 0 4359
315 일본 한 신문사 부장이 윤동주의 "빼앗긴 시혼(詩魂)"다루다... 2017-03-12 0 3067
314 일본 녀류시인 50세부터 한글 배워 시를 번역하다... 2017-03-12 0 3267
313 일본인 = "윤동주 선배가 나와 같은 의자에서 공부했다니"... 2017-03-12 0 2938
312 일본의 중견 시인이 윤동주 시를 일본어로 완역하다... 2017-03-12 0 3173
311 일본 녀류시인 이바라키 노리코가 윤동주 시에 해설을 달다... 2017-03-12 0 2876
310 작문써클 선생님들께: - "실랑이" = "승강이" 2017-03-11 0 2687
309 조선어의 자멸의 길은 있다?... 없다!!!... 2017-03-11 0 3582
308 시는 짧음속에서 큰 이야기를 보여줘야... 2017-03-11 0 2185
307 독자들도 시를 보고 도망치고 있다... 2017-03-10 0 2801
306 시인들이 시가 싫어 도망치고 있다... 2017-03-10 0 2509
305 작문써클 선생님들께= 아름다운 순 우리말로 작문짓게 하기... 2017-03-08 1 2968
304 윤동주의 친구 문익환 목사도 시 "동주야"를 썼다... 2017-03-07 0 4693
303 청년문사 송몽규도 시를 썼다... 2017-03-07 0 2975
302 청년문사 송몽규 "동아일보" 신춘문예 당선작에 들다... 2017-03-07 0 4128
301 시인과 수석인은 이웃이다... 2017-03-07 0 2537
300 민족시인 윤동주를 연변 룡정 고향에서 모실수 있다는것은... 2017-03-07 0 2599
299 시는 생명의 황금빛이며 진솔한 삶의 몸부림이다... 2017-03-06 0 2741
298 시인은 죽기전 반항하면서 시를 써야... 2017-03-03 0 3382
297 시는 천년을 기다려서 터지는 샘물이여야... 2017-03-03 0 2528
296 시는 이미지 무덤이다... 2017-03-02 0 2940
295 시는 상식, 틀, 표준 등 따위가 깨질 때 탄생해야... 2017-03-01 0 2884
294 시 한수라도 마음속에 깊이 갈무리 해야 함은?!...ㅡ 2017-02-28 0 3641
293 작문써클선생님들께;우리와 다른 알고 넘어가야 할 "두음법칙" 2017-02-28 0 2916
292 시는 "빈 그릇"이다... 2017-02-28 0 2599
291 시문학도들이 알아야 할 시창작원리 12가락 2017-02-27 0 2755
‹처음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