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시공부 101] - 29...
2020년 03월 28일 23시 20분  조회:3578  추천:0  작성자: 죽림

국어선생님도 궁금한 101가지 문학질문사전

비유를 잘하고 싶어요. 방법이 있을까요?

 

 

분야 현대 시

교과 연계표

교과 연계표
구분 교과 단원

중학교

 

문학의 본질과 속성

고등학교

문학

문학 작품의 구성 원리

말재주가 좋아서 인기 있는 친구들을 보면 비유를 참 잘 써요. 뜨는 유행어를 잘 만드는 코미디언도 비유를 잘 쓰는 것 같고요. 좋은 비유를 만드는 비밀은 대체 뭘까요?

비유를 잘하고 싶어요. 방법이 있을까요?

비유 : 유사성 속에서 차이 만들기

사람들은 왜 직접 말하지 않고 빗대어 말하는 것을 좋아할까요? 빗대어 표현하면 대상을 보다 친근하고 익숙하게 인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낯설게 표현함으로써 상투적인 개념들을 새롭게 인식하는 효과를 얻을 수도 있지요. 대상의 이미지가 구체적이고 선명하게 나타날 수도 있고요.

비유가 성립하기 위해서는 원관념과 보조관념이 필요합니다. 원관념이란 작가가 전하고자 하는 본래의 관념을 뜻하며 보조관념은 원관념을 잘 전달하기 위해 활용되는 개념을 일컫습니다.

원관념과 보조관념은 일단 유사성을 지니고 있어야 합니다. 유사성이 없는 대상을 서로 연결하면 본래의 의미가 전달되는 것이 불가능해집니다. 그렇다고 해서 지나치게 유사한 것을 짝 지우느니 차라리 비유를 사용하지 않는 편이 나을 수도 있습니다. 이를테면 진달래가 철쭉처럼 피었다는 말이 있다고 생각해 보세요. 진달래와 철쭉은 비슷한 분홍색이고 또 봄에 피는 꽃이어서 둘 사이가 아주 비슷합니다. 따라서 진달래와 철쭉을 연결 짓는 것은 좋은 비유라고 보기 어렵습니다. 참신성이 떨어지는 것이지요.

좋은 비유가 되기 위해서는 차이성을 갖춰야 합니다. 유사성을 갖춘 상태에서 원관념과 보조관념 사이의 차이가 클수록 참신한 표현이 되는 것입니다. 참신한 표현일수록 독자들이 긴장을 하게 되고 상상력도 더 발휘하게 되지요. 물론 차이만 있어서는 안 되고 기본적인 유사성은 반드시 갖춰야지요. 서정주의 「동천」에서 밤하늘에 걸린 그믐달을 보고 우리 님의 고운 눈썹을 심어놨다고 비유한 것은 참신한 발상이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비유법, 종류별로 알아볼까?

가장 널리 알려진 비유법은 직유와 은유입니다. 직유는 “돌담에 속삭이는 햇발같이 / 풀 아래 웃음 짓는 샘물같이”에서 보듯이 ‘~처럼’, ‘~같이’, ‘~듯이’ 등을 사용하여 원관념과 보조관념을 연결하는 방법입니다. 이에 반해 은유는 “내 마음은 호수요”와 같이 ‘A는 B이다’의 형식으로 ‘~처럼’과 같은 연결어를 뺀 채 마치 두 대상이 동일한 것처럼 간접적으로 연결하여 표현하는 방법이지요.

이 밖에도 비유법에는 의인법과 활유법, 대유법, 풍유법 등이 있습니다. 먼저, 의인법은 사물이나 관념과 같은 무생물체에게 인간의 속성을 부여하여 표현하는 방법입니다.

벼는 서로 어우러져
기대고 산다.
햇살 따가워질수록
깊이 익어 스스로를 아끼고
이웃들에게 저를 맡긴다.

이성부, 「벼」 중에서

인용된 부분을 보면 소재는 분명히 ‘벼’입니다. 그런데 작품 속에서 시적 화자는 ‘벼’를 마치 사람인 양 표현하고 있습니다. “스스로를 아끼고”라든가, “이웃들에게 저를 맡긴다”는 표현은 모두 사람만이 가능한 행위입니다. 따라서 이 작품에서는 ‘벼=인간’이라는 비유가 먼저 존재한다고 말할 수 있지요. 직유와 은유처럼 원관념, 보조관념의 형식이 존재하는 것은 아니지만 ‘무생물=인간’이라는 비유가 전제되어 있다는 점에서 의인법도 비유법의 일종으로 볼 수 있지요. 활유법은 의인법과 비슷하게 무생물을 생물이라고 전제하고 표현하는 방식입니다. 활유와 의인은 굳이 따로 구분하지 않고 의인법으로 통칭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유법은 사물의 일부분이나 특징을 들어 전체를 나타내는 비유법입니다. 대유법은 방법에 따라서 두 가지로 다시 구분됩니다. 대상의 속성이나 특징을 그와 밀접하게 관련된 다른 사물로 나타내는 표현 방법을 환유라고 하고, 사물의 부분을 활용하여 전체를 나타낼 때 이를 제유라고 부릅니다.

아아 온갖 윤리, 도덕, 법률은 칼과 황금을 제사 지내는 연기()인 줄 알았습니다

한용운, 「당신을 보았습니다」 중에서

지금은 남의 땅—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이상화,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중에서

첫 번째 한용운의 시에서 시인은 권력과 자본을 칼과 황금에 비유하고 있습니다. 칼은 힘을 지닌 사람이고 그런 점에서 권력과 연결되고, 황금은 물질적인 것과 연결되므로 자본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칼과 황금은 환유법에 해당합니다.

두 번째 이상화의 시에서 빼앗긴 들은 빼앗긴 조국을 뜻합니다. 작품이 발표된 것이 일제 강점기였다는 점을 생각하면 무리한 해석이 아니지요. 여기서 “빼앗긴 들”은 농사를 짓는 땅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닙니다. 우리나라 전체를 가리키는 말로 쓰인 것이지요. ‘들’이라는 아주 작은 부분으로 ‘나라’ 전체를 표현했으니 이 구절은 제유법에 해당합니다.

뜬금있는 질문

관념적인 대상도 비유의 대상이 될 수 있을까요?

비유는 유사성과 차이성만 있으면 어떤 대상이든지 가능합니다. 다음 시조를 한번 살펴볼까요. “동짓달 기나긴 밤을 한 허리를 잘라 내어 / 춘풍() 이불 아래 서리서리 넣었다가, / 어론임 오신 날 밤이여든 구뷔구뷔 펴리라.”(황진이의 시조) 자, ‘동짓달 밤’이 마치 살아 있는 생물이라도 되는 듯이 ‘허리’를 잘라 낸다고 되어 있습니다. ‘밤’은 추상적이고 관념적인 대상임에도 불구하고 마치 살아 있는 생물처럼 비유되어 있네요. 이처럼 비유의 대상에는 거의 제한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 비유를 잘하고 싶어요. 방법이 있을까요? (국어선생님도 궁금한 101가지 문학질문사전)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370 시인은 작품속에 삶의 몸부림과 고통을 버무려야 한다... 2017-04-03 0 2686
369 당신은 왜 시인의 험난한 길을 걸어가려 하십니까?... 2017-04-03 0 2368
368 시는 누구나 쓸수 있으나 아무나 시인이 되는것은 아니다... 2017-04-03 0 2542
367 시인은 시상(詩想), 시정(詩情), 시흥(詩興)을 깨울줄 알아야... 2017-04-02 0 2413
366 시인은 시상이라는 "낚시 찌"에 전신전령을 기울려야... 2017-04-02 0 2863
365 시인은 詩나무그루터에 오줌을 싸고 있었다... 2017-04-02 0 2441
364 형이상시에서 이질적인 이미지들을 폭력조합시켜라... 2017-03-29 0 2961
363 형이상시는 불협화음속에서 기상천외의 조화로운 분위기를... 2017-03-29 0 2769
362 시인은 언어를 잘 다룰줄 아는 고급동물이다... 2017-03-29 0 2576
361 형이상시는 즉물시와 사물시를 포괄한 제3류형의 시이다???... 2017-03-29 0 2852
360 형이상시에서 객관적 상관물의 발견으로 통합된 감수성을... 2017-03-29 0 2421
359 형이상詩는 21세기의 시운동의 모델이라고???... 2017-03-29 0 2603
358 시인은 자연과 타인의 생을 기웃거리는 촉매자이다... 2017-03-29 0 2690
357 시에서 아방가르드 정신을 꿈꾸는 자는 늘 고독하다... 2017-03-29 0 2603
356 [시문학소사전] - 시쓰기에서 알아야 할 용어들 2017-03-29 0 3057
355 현대시는 탈관념의 꿈꾸기이며 언어적 해체인것이다... 2017-03-29 0 2649
354 후기산업혁명사회의 현대인들의 병을 시로 치료하라... 2017-03-29 0 2520
353 시란 희노애락을 부르짖는 소리이다... 2017-03-29 0 2941
352 "전통시인"이나 "실험시인"이나 독자를 외면하면 안된다... 2017-03-29 0 2446
351 현대시쓰기 전 련상단어 100개 쓰기부터 하라... 2017-03-29 0 3161
350 현대시의 실험적 정신은 계속 진행형이다... 2017-03-29 0 2448
349 현대시의 흐름을 알고 시작(詩作)을 시작(始作)하자... 2017-03-29 0 2390
348 현대시는 "단절의 시대"에 직면하고 있다... 2017-03-29 0 2602
347 시는 추상적인 표현과 원쑤지간이다... 2017-03-29 0 2904
346 시심의 모든 밑바탕은 지, 정, 의를 근본으로 한다... 2017-03-29 0 2300
345 시가 "디지털혁명시대"와 맞다들다... 2017-03-27 0 2533
344 프랑스 시인 - 폴 엘뤼다르 2017-03-27 0 3451
343 시어는 삶과 한 덩어리가 된, 육화적인 언어로 련금술해야... 2017-03-27 0 2463
342 시는 한점의 그늘 없이 화창해야 한다... 2017-03-27 0 2630
341 시인아, 어쨌든 있을 때 잘해야지...그리고...상투는 없다... 2017-03-24 0 2198
340 시인의 "적막한 키스"는 이제 어디로 가야 할것인가... 2017-03-23 0 2477
339 시와 련관성이 없는 "무의미시"의 낱말로 제목화할수도 있어... 2017-03-22 0 2584
338 이순신 장군 시 모음 2017-03-21 0 3177
337 저 밑에는 날개도 없는것들이 많단다... 2017-03-21 0 2679
336 류시화 시 모음 2017-03-21 0 6128
335 새가 나무가지를 못떠남은?!ㅡ 2017-03-21 0 2670
334 <새(鳥)> 시 모음 2017-03-21 0 2883
333 시제는 그 시의 얼굴로서 그작품의 질과 수준을 예감할수도... 2017-03-21 0 2963
332 시의 제목을 첫행이나 끝행으로 할수도 있다... 2017-03-20 0 2614
331 시의 제목에 의하여 시의 탄력이 생긴다... 2017-03-18 0 2677
‹처음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