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 연변조선족례의연구회 현용수 조글로블로그
http://www.zoglo.net/blog/sy10088 블로그홈 | 로그인

※ 댓글

<< 11월 2024 >>
     12
3456789
10111213141516
17181920212223
242526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 -> 력사/민속 -> 조선(한국)력사민속

나의카테고리 : 풍속신앙

추석(한가위)
2015년 09월 26일 09시 34분  조회:2127  추천:0  작성자: 현용수

추석(秋夕)        목록가기

 

 

 

1. 추석의 어원

  추석은 우리나라 4대 명절의 하나로 한가위. 중추절(仲秋節). 중추가절(仲秋佳節)이라고 한다. 한가위의 한은  "하다(大. 正)"의 관형사이고, 가위란 "가배(嘉俳)를 의미한다.

  이때 가배란 "가부. 가뷔"의 음역(音譯)으로서, "가운데"란 뜻인데, 지금도 옛 신라의 땅인 영남지방에서는  "가운데"를 "가분데"라 하며, "가위"를  "가부", "가윗날"을 "가붓날"이라고 한다.

 
  또 8월 초하루에서 보름까지 부는 바람을"8월 가부새 바람 분다"라고 한다. 이로써 미루어 볼때 가뷔. 가부는 뒷날 가위로 속전(俗轉)된 것으로 알 수 있으니, "추워서"를 현재에도 "추버서"로 하는 것에서도 이를 짐작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한가위란 8월 중에서도 정(正) 가운데란 뜻이니, 정중심(正中心)을 우리가 "한가분데" 또는 "한가운데"라고 하는 것과 뜻을 같이 한다고 볼 수 있다.

  한가위를 추석, 중추절(仲秋節). 중추가절(仲秋佳節)이라고 한 것은 훨씬 후대에 와서 생긴 것이다. 즉 중국으로부터 한자가 전래되어 중추(仲秋)의 추(秋)자와 월석(月夕)의 석(夕)자를 따서 추석(秋夕)이라 한것으로 생각된다.

2. 추석의 유래

  추석의 기원에 대해서 정확히는 밝힐 수 없지만, 고대로부너 있어 왔던 달에 대한 신앙에서 그 뿌리를 짐작할 수 있다. 고대사회에 있어 날마다 세상을 밝혀주는 태양은 당연한 존재로 여겼지만 한 달에 한번 보름달이 이 되는 달은 고마운 존재였다.

  밤이 어두우면 맹수의 접근이나 적의 습격도 눈으로 확인할 수 없으므로 인간에게 있어 캄캄한 밤은 공포와 두려움의 대상이었다. 이러한 가운데 보름달은 인간에게 있어 고마운 존재였고, 그 결과 보름달 아래에서 축제를 벌이게 되었다.

  그런데 보름달 중에서도 가장 큰 보름달을 이루는 8월 15일인 추석이 큰 명절로 여겨진 것은 당연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그 큰 보름달 아래에서 축제를 벌이고 먹고 마시고 춤추었으며, 줄다리기. 씨름. 강강수월래 등의 놀이가 자연스럽게 형성되었다.

  일년 중에서 가장 달이 밝은 :한가위"는 이미 고대에 우리 민족 최대의 축제로 여겨지게 되었고, 후에 와서 의식화(儀式化)되므로 명절로 제정되어 오늘날 까지 전승된 것이라 할 수 있다.

 

  

  한가위의 기원에 대해서는 <삼국사기>에 잘 나타나 있다.

  지금부터 약 2천년 전인 신라 제3대 유리왕  때부터라고 한다. 유리왕은 백성들이 기쁜 마음으로 즐겁게 살기를 바라는 "도솔가"를 지어 부르게 하였고, 여러 가지 산업을 장려하기도 하였는데, 그가 일으킨 산업 중에 유명한 것이 바로 길쌈이었다.

  왕은 길쌈 장려를 위해 6부의 부녀자들에게 내기를 시켰다. 우선 6부를 두 패로 나누어 편을 짜고, 왕녀 두 사람을 뽑아 각각 부내(部內)의 여자들을 거느리게 한 다음, 7월 16일 16일부터 날마다 6부의 부녀자들이 뜰에 모여 길쌈을 하는데, 밤늦게야 일을 파하고8월 15일에 이르러 그 공이 많고 적음을 살펴 왕이 판결을 내리면, 진 편에서는 술과 밤을 장만하여 이긴 편을 대접하였다고 한다.  온 갖 푸짐한 음식을 마련해 놓고, 양편은 모두 둥그런 원을 그리며 둘러앉아 함께 먹으며 노래와 춤으로 유희를 즐겼는데, 이를 가배(가배)라 한다.

  서라벌에서 유래한 ""한가위" 라는 신라의 명절이 지금껏 전승되어 계속이어져 내려온 것이, 오늘날 우리나라 한가위의 기원이요 유래라 할 수 있다.

  

3. 추석의 풍속

  추석에 행해지는 세시풍숙으로는 벌초. 성묘. 차례. 닭싸움. 소놀이. 거북놀이. 강강수월래. 원놀이. 가마싸움. 씨름. 반보기. 올게심니. 밭고랑 기기 등을 들 수 있다.

 (1) 벌초와 성묘

  추석에 조상의 무덤에 가서 여름동안 무성하게 자란 잡초를 베어주는데, 이를 벌초라 한다.

 (2) 차례 

  추석 이른 아침에 사당을 모시고 있는 종가(宗家)에 모여 고조(高祖)까지의 차례를 지낸다.다.

 차례 지내는 절차가 설날과 다른 것은 흰떡국 대신 메[밥]를 쓰는 점이다. 제물은 신곡으로 만들어 진열하며, 고조 이상의 윗대는 10월에 시제라 해서 묘에서 제사를 지낸다.

 (3) 소놀이

  추석날 차례를 마치고 난뒤 알맞은 시간에 소놀이는 진행된다. 먼저 마을 사람들로 구성된 농악대가 풍물을 울리면 마을 사람들이 하나둘씩 모여든다. 상쇠의 선도에 따라 한바탕 신나게 풍물을 울리며 어우러져 놀다가 소놀이가 시작된다.

  두 사람이 허리를 굽히고 그 위에 멍석을 뒤집어 씌우며, 뒷사람은 큰 새끼줄로 꼬리를 달고, 앞사람은 막대기 두 개로 뿔을 만들어 소이 시늉을 한다.

소를 끌고 농악대와 마을 사람들은 그 마을에서 가장 부농집이나 그 해에 농사를 가장 잘 지은 사람의 집으로 찾아간다. 대문 앞에서 "소가 배가 고프고 구정물을 먹고 싶어 왔으니 달라"고 외치면 주인이 나와서 일행을 맞이한다.

소를 앞세우고 일행은 앞마당으로 들어가 농악을 치고 노래하고 춤추고 놀면 주인집에서는 술과 떡과 찬을 차려 대접한다. 마을 사람들은 한참 놀다가 다시 소를 끌고 다른집으로 향한다. 이렇게 여러 집을 찾아가  해가 질 때까지 어울려 논다.

  소 놀이를 할 때는  당년에 농사를 가장 잘 지은 집 머슴을 상머슴으로 뽑아 소등에 태우고 마을을 돌며 시위하는 경우도 있다. 농사를 천하의 대본으로 알고 살아온 농경민족에게 있어 농사를 잘 지어 풍작을 거두었다는 것은 큰 공이니, 위로하고 포상하는 뜻에서 소에 태우는 영광을 주는 것이다.

  한 번 상머슴으로 뽑히면 다음해 머슴 새경을 정할 때 우대를 받게된다.

 

 (4) 원놀이. 가마싸움

  옛날 서당 교육은 훈장을 초빙해서 가르치는 것이었다. 명절이 되면 훈장도 고향에 가서 차례. 성묘를 하게되므로 서당은 며칠 ㅜ시게되고 학동들은 자유롭게 놀 수가 있다. 이럴 때에 학동들에 의해서 원놀이와 가마싸움이 있게된다.

 원놀이란 학동들 중에서 공부를 많이 했고 재치있는 사람을 원님으로 선발하고 나머지 학동들은 뱃성이 되어 원님께 소장을 내어 그 판결을 받는 놀이인데, 오늘날의 대학에서 모의 재판과 유사하다.

  이때에 현명하고 지혜로운 원님은 사건을 잘 해결하지만,  서투른 원님은  백성들의 놀림감이 된다고 한다. 장차 과거에 등과해서 벼슬을 하고 백성을 다스려야 할 학동들의 놀이로서는 매우 적격이다.

가마싸움도 학동들이 주가되어 행하는 놀이이다. 훈장이 없는 틈을 타서 가마를 만들어 이웃마을 학동들과 또는 이웃서당의 학동들끼리 대결을 하는 놀이이다. 가마를 끌고 넓은 마당에 나아가 달음질해서 가마끼리 부딪쳐 부서지는 편이 지게 되는데, 이긴 편에서 당년에 등과가 나온다고 한다.

 (5) 반보기

추석이 지난 다음, 서로 만나고 싶은 사람끼리 장소와 날짜를 미리 정하고 만나는 것을 반보기라 한다. 옛날에 시집간 여자들은 마음대로 친정 나들이를 할 수가 없었다. 그래서 모녀 사이에 중간지점을 정해서 서로 즐기는 음식을 마련하여 한나절 동안 그동안 나누지 못했던 회포를 푸는 것이 반보기인 것이다. 이와같이 반보기란 서로 중간 지점에서  한나절 동안만 상봉하여 그동안 나누지 못했던 회포를 다 풀지 못하고 반만 풀었다는데서 나온 말이다.

또한 마을의 여인들이 이웃 마을의 여인들과 경치 좋고 풍광이 수려한 곳에 집단으로 모여 우정을 두터이 하며 하루를 즐겼는데, 이 때에는 각 마을의 소녀들도 단장하고 참여하므로 자연스럽게 며느리감을 고르는 기회가 되기도 하였다.

 (6) 올게심니

추석을 전후해서 잘 익은 벼, 수수, 조 등 곡식의 이삭을 한 줌 베어다 묶어 기둥이나 대문위에 걸어두는데 이것을 올게심니라 한다. 올게심니를 할 때에는 주찬(酒饌)을 마련하여 이웃을 청해서 주연을 베풀기도 한다. 

올게심니한 곡식은 다음해에 종자씨로 쓰거나 떡을 해서 사당에 천신하거나 터주에서 올렸다가 먹었다. 올게심니를 하는 것은 다음해에 풍년이 들게 해달라는 염원의 뜻이 담겨져 있다.

 (7) 밭고랑 기기

전라남도 진도에서는 8월 14일 저녁에, 아이들이 밭에 가서 발가 벗고 자기 연령수대로 밭고랑을 기는 풍숙이 있다. 이 때에 음식을 마련해서 밭둑에 놓고 하는 수도 있는데, 이렇게 밭고랑 기기를 한 그 아이는 몸에 부스럼이 나지 않고, 또한 밭농사도 잘된다는 것이다.

 

 
             시골 마당에서의 윷놀이                차례 상                       방에서의 윷놀이
 

(8) 기타 풍속 

추석은 시기적으로 곡식과 과일 등이 풍성한 때이므로 이즈음에는 여러 가지 시절 음식이 있다. 추석에는 차례를 지내기 위해서 제찬을 준비하는데, 제찬은 설날과 별 차이가 없다. 다만 추수의 계절이라 햇곡식으로 밥과 떡, 술을 만든다. 철이 늦은 해에는 미리 밭벼[山稻]를 심었다가 제미(祭米)로 쓰기도 한다. 이렇게 햅쌀로 밥을 지으면 맛도 좋고 기름기가 있으며, 떡도 맛이 좋다. 

추석의 대 표적인 절식으로는 송편을 빼놓을 수가 없다. 송편 속에는 콩· 팥· 밤· 대추 등을 넣는데, 모두 햇것 으로 한다. 열 나흗날 저녁 밝은 달을 보면서 가족들이 모여 송편을 만드는데, 송편을 예쁘게 만들면 좋은 배우자를 만나며, 잘못 만들면 못생긴 배우자를 만나게 된다고 해서 처녀, 총각들은 송 편을 예쁘게 만들려고 노력한다.

  또한, 임신부의 태중 아이가 여자인지 남자인지 궁금할 때에는 송편 속에 바늘이나 솔잎을 가로 넣고 찐 다음, 한쪽을 깨물어서 바늘의 귀쪽이나 솔잎의 붙은 곳(나무에 붙었을 때의 접착부분)을 깨물면 딸을 낳고, 바늘의 뾰족한 곳이나 솔잎의 끝쪽을 깨물면 아들을 낳는다고 하여, 이를 점치기도 한다. 

 특히 올벼로 만든 송편은 올벼 송편이라 부른다. 추석의 차례상에서 빠질 수 없는 또 하나의 것이 바로 술이다. 추석 술은 백주(白酒)라고 하는데, 햅쌀로 빚었기 때문에 신도주(新稻酒)라고도 한다. 추석 때는 추수를 앞 둔 시기이기 때문에 사람들의 마음이 풍족해진다. 사람들의 인심 또한 후해서 추석 때에는 서로 술대접을 하는 수가 흔하다. 또 이 때의 가장 넉넉한 안주로 황계(黃鷄)를 들 수 있는데, 봄에 알을 깬 병아리를 길러서 추석 때가 되면 잡아먹기에 알맞게 자란다. 

또 옛날에는 명절에 어른에게 선사하는 데에 닭을 많이 썼다. 친정에 근친을 하러 가는 딸은 닭이나 달걀꾸러미를 가지고 갔으며, 경사가 있을 때에도 닭을 선물했으며, 반가운 손님이 찾아오면 손쉬운 닭을 잡아 대접하였다. 특히 사위가 찾아오면 장모는 닭을 잡아 대접하는 일이 흔했다. 녹두나물과 토란국도 추석의 절식이다.녹두나물은 소양(消陽)한다고 하지만 잔치상에 잘 오르고, 토란은 몸을 보한다고 해서 즐긴다.



                     ▲위로가기             목록가기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1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21 우리민족 족보, 친척, 호칭, 성씨 2016-10-04 0 4214
20 중양절과 우리민족 상례문화 2016-09-27 0 2957
19 정월 대보름에 새해 행운을 2016-02-21 0 2398
18 동지(冬至)를 아십니까? 2015-12-22 0 5522
17 추석(한가위) 2015-09-26 0 2127
16 운수보기, 꿈해몽, 이름짓기 2012-08-30 0 4310
15 오늘은 칠석날 2012-08-23 0 4985
14 五福을 부르는 삶 2012-08-11 0 4044
13 한국 신화 모음 2012-08-07 0 3312
12 우리민요 《성주풀이》유래 2012-08-07 0 4353
11 중국한족전통장례 2012-08-04 0 3839
10 중국의 금기와 숭배 2012-07-30 0 3610
9 문헌신, 불교신, 무속신 관력 항목-106개 2012-07-17 0 4689
8 중국 민속중의 귀신달의 래력과 금기 2012-07-17 0 3316
7 전설중의 중국 주요 신선 라렬표 2012-07-17 0 3764
6 전설중의 저승세계 십전 영라왕 2012-07-17 0 4110
5 저승에 대한 전설 2012-07-17 0 3647
4 전설중의 소위 황천길 설화 2012-07-17 0 3827
3 조선 민족의 神 2012-07-15 0 3516
2 명당자리 보는 법 2012-07-15 1 3902
1 명절(歲時風俗)과 24절기(節氣) 2012-07-15 1 3657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