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성화
http://www.zoglo.net/blog/zhushenghua 블로그홈 | 로그인
<< 12월 2024 >>
1234567
891011121314
15161718192021
22232425262728
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나의카테고리 : 《중국문화풍경》

53. 중국 고유어의 매력 2: 떵포 (燈泡-등포)와 왕빠 (王八-왕팔)
2011년 02월 21일 08시 30분  조회:1484  추천:17  작성자: 주성화

중국문화풍경 53

53. 중국 고유어의 매력 2: 떵포 (燈泡-등포)와 왕빠 (王八-왕팔)


떵포우(燈泡-등포)는 중국어 단어에서 상용자로 구분된다. 전등을 켜다는 점등(點燈)으로서 여기서 점(點)은 (불을) 켜다, 붙이다로 사용된다. 점화(點火)의 사용법과 같다. 이 정도의 한어는 중국을 다녀왔거나 어느 정도의 중국어를 학습한 한국인은 알만한 것들이다. 하지만 어떤 때에는 글자의 뜻을 떠나 파생적 의미가 생긴다.

두 남녀가 아득한 분위기에서 서로 좋아서 즐기고 있는데 제3자는 모종의 원인(때론 자신도 대방이 서로 좋아하는 것을 느끼지 못한 채)으로 하여 그 장소를 멀쩡하게 지키게 된다. 때로는 이러지도 못 하도 저러지도 못하는 딱한 처지일수도 있다. 이럴 경우 제3자를 점떵포우(點燈泡) 또는 당떵포우(當燈泡)라고 표현한다. 소경이 촛불을 켜는 것처럼 자신에겐 도움이 없이 초만 낭비하는 것이다.

중국에서 거북은 한국에서와 마찬가지로 장수의 상징이다. ‘천년 학, 만년 규’인 것이다. 또 거북은 귀한 약재로 쓰이며 고급 레스토랑에서는 거북의 피를 받은 술로 손님에 대접하기도 한다. 중국어에서 거북, 자라를 망팔(忘八)이라 하는데 같은 발음으로 왕빠(王八-왈팔)이라 하면 오쟁이 진 남자를 말한다. 즉 아내가 바람피운다는 뜻이다. 심한 욕이 되는 것이다.

이러한 남성들을 빗대는 고유어들이 있다. 따이뤼이모오즈(戴綠帽子-대녹모자) 녹색 모자를 쓰다-이다. 여편네가 바람피우며 다니는 남자란 뜻이다. 표현적으로는 이해가 힘든 대목이다. 아마 옛적에 녹색이 가장 천한 색상이여서 아직도 그 이미지가 극히 특수한 분야에 남아있는 것 아닌가 싶다. 황제는 검은색에 붉은 색, 나중에는 누런 황색이었으나 가장 비천한 백성, 차몰이꾼은 녹색단장이었다. 오늘날, 녹색은 옛적의 이미지를 완전히 벗어났지만 유독 ‘녹색 모자를 쓰다’로 그 흔적이 남아 있는 상 싶다.

바람피우는 여자를 두고 하는 고유어도 있다. 파신(破鞋)-낡은 신, 구멍 난 신-이다. 여러 남자들이 마음대로 싣다가 팽개치는 허술한 신이라는 표현이다. 더 심한 표현으로는 공공변소(公共厠所)-공중화장실-이다. 남녀의 정감을 떠나서 짐승처럼 배설하는 곳이란 표현이다.

또, 바람난 남자를 빗대는 고유어도 있다. 표오커(嫖客-표객)-몸 파는 기생과 놀이하다-이다. 중국에는 99가지의 집안을 말아먹을 수 있는 방법이 있는데 그것은 밖에서 오입질과 도박을 하는 것이다. 하지만 ‘불파설도 취파설표(不怕说赌,就怕说嫖)’- 도박보다 기생 질하는 것이 더 두렵다. 기생께 빠지면 친구마저 없기 때문이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86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46 45. 중국인의 여유 있는 삶: 육담의 지혜 2011-01-14 30 1364
45 44. 중국남성과 주방문화: 십년하동 십년하서(十年河東 十年河西) 2011-01-10 29 1255
44 43. 중국인의 영원한 고수: 색 바래진 미인계(美人計) 2011-01-05 20 1120
43 42. 중국인의 성서: 손자병법(孫子兵法)과 삼십육계(三十六計) 2010-12-30 35 1172
42 41. 궁지에 몰린 중국인: 궁칙변 (窮則變) 2010-12-30 27 979
41 40. 아문의 턱은 높아: 벼슬 '관' (官- 관)의 매력 2010-12-28 23 1373
40 39. 허물없는 중국관료: 평역근인(平易近人) 2010-12-24 29 1079
39 38. 중국인의 심오함: 바닷물을 어찌 두로 가늠하랴(海不可斗量) 2010-12-22 24 1172
38 37. 자신을 숨기는 지혜: 대지약우(大智若愚) 2010-12-20 28 1507
37 36. 벌레 같은 인간: 저삼하사(低三下四) 2010-12-14 30 1191
36 35. 차마 웃는 낯에 침 뱉겠니? 이화위귀(以和爲貴)와 외유내강(外柔內剛) 2010-12-02 32 1187
35 34. 고집불통 중국인; 죽어도 참회하지 않는 ‘사불개회’(死不改悔) 2010-12-01 28 1347
34 33. 중국인의 윤리와 성해방 2010-11-29 33 1266
33 32. 중국 차 즐기기: 차 마셔서 날씬하냐? 2010-11-25 27 1453
32 31. 중국인의 손님접대와 음주예절: 복제할 수 없는 모오타이쥬(茅台酒-모태주) 2010-11-08 32 1509
31 30. 중국인의 하루 세끼와 명절음식 2010-11-03 35 1247
30 29. 먹어서 가난한 나라: 중국의 4대 요리(3) 2010-10-25 27 1809
29 28. 먹어서 가난한 나라: 중국의 4대 요리(2) 2010-10-21 26 1435
28 27. 먹어서 가난한 나라: 중국의 4대 요리(1) 2010-10-15 26 1371
27 26. 의심 단지 중국인: 호상선투(互相猜疑) 2010-10-14 23 1282
‹처음  이전 1 2 3 4 5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