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jinge 블로그홈 | 로그인
김혁
<< 12월 2024 >>
1234567
891011121314
15161718192021
22232425262728
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문학 -> 발표된 작품 -> 칼럼

나의카테고리 : 칼럼니스트

피서(避暑)의 방식
2015년 08월 19일 09시 26분  조회:2768  추천:13  작성자: 김혁


. 칼럼 .



피서(避暑)의 방식



김 혁

 

 

 

 

1


에어콘이 고장났다. 하필이면 이 삼복더위에. 
판매상과 련계해 고치려니 이핑계 저핑계 시종 찾아주질 않는다. 그렇다고 스스로 뜯어 가져가기도 번거롭고해서 더위에 대처할 궁여지책으로 구석에 처박아 두었던 구식 선풍기를 꺼내 먼지를 닦고 다시 돌렸다. 개운치 못하다. 나의 애견 두마리도 더워에 꼬리를 사린채 혀를 잔뜩 빼물고 있다. 빈 콜라병에 물을 채워 랭장고에 얼구었다 꺼내주니 두 녀석 다 찬 병에 배를 딱 붙이고 엎드려 있다. 그래도 여전히 더운지 혀를 빼물고 주인장을 빤히 쳐다보며 할딱거린다. 더웁기는 사람이나 매 한가지다.


본격적으로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며 사람을 들볶는다. 불볕더위란 말이 명실상부하게 다가온다. 게다가 올해는 이례적으로 삼복이 왕년보다 열흘이나 더 길다고하니 이 더위를 어떻게 지낼지 짜증부터 앞선다.

 

2

요즘 세월에는 에어콘이다 선풍기다 랭장고다 해서 그나마 더위를 쉽게 보내지만 옛날 사람들은 어떻게 이 더위를 물리쳤을가?
살펴보니 옛사람들은 더위나기에 무척 고심했고 그 노력은 나름 이채롭기까지 했다.


“오월춘추 (吴越春秋)”의 기재를 보면 춘추시기 여름이 되면 궁정에서는 얼음찬장 (冰厨) 을 만들었다고 한다. 월나라 왕 구천(勾践)은 가장 더운 삼복기간이면 그 얼음 찬장”에서 지냈다고 한다. 
당나라때에 이르러서는 한수 더 떠서 궁정에 기계의 힘을 빌어 좌우로 움직이는 부채를 설치했다고 한다. "극록담(克录谈)이란 책에도 룡피선(龍皮扇)이라는 부채가 등장을 하는데 신라의 스님들이 가져온 특수 어피(漁皮)로 만든 이 부채는 당나라의 대부호가 소유했던 것으로 이 부채는 흔들지 않아도 저절로 부채에서 
찬 바람이 나왔다고 적고 있다. 요즘의 선풍기의 비조(鼻祖)라고 할가. 
그리고 또 찬물을 관작들의 거처의 지붕으로부터 내리부어 인공비줄기를 만들었는데 그 장면이 실로 가관이였다. 이러한 피서 장치가 되여있는 집을 “수정(水亭)”이라고 불렀다.


당나라의 경국지색 양귀비는 더운 여름엔 설산의 눈속에서 자란 누에 꼬치에서 뽑아낸 명주 실로 짠 빙잠옷(氷蠶衣)을 입고 더위를 이겨 냈다고 한다
이 옷을 입고 있으면 더위가 석자 앞에서 물러 났다나?
거기다 양귀비의 오라비 양국충의 피서법도 가히 사치와 호사의 극치 였다,
빙병(氷屛)이라 하여 얼음으로 만든 병풍을 만들어 쳤는데 그 얼음병풍에다 산수화나 “십장생”그림까지 새겼다고 한다.
얼음병풍을 치고 연회를 벌이다가 지나치게 추워지면 기생들을 홀랑 벗겨 
그 체온으로 냉기를 중화 시켰다 하는데 이를 가리켜서는 육병(肉屛)이라 했다. 그야말로 피서 무도(避暑无道)가 아닐수 없다,
청나라때에는 임금과 황후들이 궁정을 나와 피서지로 가는 방법이 류행되였는데 그래서 오늘의 유람성지인 하북 승덕(承德)피서산장이 생겨나게 되였다. 
문헌 "두양잡편"(杜阳杂篇)에서는 특이한게 눈에 띄는데 신기한 화분 한점을 키워 이를 창문에다 올려 놓으면 더운 바람이 지나면서 저절로 시원한 바람으로 바뀐다고 했다. 봉황의 머리 모양을 닮았다 해서 "봉수목(鳳首木)"이란 이름이 붙은 이 화분은 이를 방안에 두면 서너칸 랭방은 거뜬 했다고 한다,


이러한 피서백태(百態)는 더위에 시르죽은 마음들을 무마하기 위한 전설이라 여겨진다.

 

우리민족의 선조들도 더위를 물리치기 위해 갖은 방법을 동원하였다.
먼저 열(热)로서 더위를 다스리는 “이열치열 (以热治热)”의 방법이 있다. 이맘때 딱 좋은 음식으로 삼계탕과 개장국을 든다.
당연히 “이랭치열(以冷治热)”의 방법도 있다. 참외, 수박 같은 과일을 흐르는 물에 담가두었다가 먹고 싶을때 꺼내 먹군했는데 그 시원 달콤한 맛은 무더위를 싹 가시게 한다. 
남녀로소 할 것 없이 즐겨 입었던 것은 삼베옷, 모시옷이다. 더위가 계속 이어질 때는 생모시로 된 고의, 적삼 또는 치마를 해 입었다. 이런 옷들은 습기를 흡수하고 통풍이 잘 되였다. 
통풍과 해볕 가림을 하기위해 발을 치고 돗자리를 깐다. 발이 처진 방안에 돗자리를 깔고 누우면 더위도 한 발 물러서게 마련이다. 낮잠이라도 청할 양이면 없어서는 안될 것이 목침이다. 
다음 탁족(濯足)이라는 운치있는 방식이 있다. 말 그대로 계곡물에 발을 담그고 흐르는 물에 더위를 씻어내는 일이다. 록음이 만드는 짙은 그늘과 귓가를 스치는 요란한 물소리가 한여름 더위를 단번에 사라지게 한다..

더위 피해 물 가에서 다투어 발 담그니(避暑水边爭濯足)…

“도하세시기속시(都下岁时紀俗诗)” 중의 한 구절이다.

탁족은 몸의 열을 내모는 기 순환의 원리를 리용한 것이다. 즉 발은 모든 신경이 모여 있는 곳으로 발을 식힘으로써 온몸에 찬 기운을 불어넣는 리치이다. 
   호젓한 계곡을 찾아 흐르는 물에 신심을 담그고 속세의 번뇌를 씻어내리며 그윽한 시조 한수 읊조리는 일, 그야말로 운치있는 더위나기가 아닌가!
 
3


옛사람들에게 또 하나의 유용한 피서법으로는 책읽기가 있다.


“열하일기”의 저자 연암 박지원은 사촌형에게 보낸 편지에서 “옷을 벗거나 부채를 휘둘러도 불꽃 같은 열을 견뎌내지 못하면 더욱 덥기만 할뿐, 책읽기에 착심(着心)해 더위를 이겨나갈 것”을 충고하기도 했다. 
사실 책읽기 정말 힘든 계절이다. 눅눅한 습기와 끈적끈적한 무더위, 어지간히 책에 대한 애정이 없다면 손에 책을 잡고 있기 힘들 것이다. 하지만 이런 무더위를 책을 통해 날려버릴 수도 있으니 여름과 책의 관계는 역설 그 자체이다.


책읽기를 뜻하는 한자말에는 독서말고도 “간서(看书)”, 그리고 “피서(披书)”라는 말이 있다. 그러고不上보니 “피서(披書)”와 “피서(避暑)”는 음이 꼭 닮았다.
독서야말로 습하고 더운 일상에서 벗어나는 가장 쉽고 매우 저렴한 길이 아닐가 한다. 
올 여름엔 독서삼매경에 빠져 망서(忘暑)하리라!
 

 -“청우재(听雨斋)”에서

 

“문화시대” 2011년 4월호 

 

 

 ☞ 김혁 문학블로그: http://blog.naver.com/khk6699
 

 

 

파일 [ 2 ]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전체 [ 1 ]

Total : 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83 SNS의 “꽃”, 디카시 2020-09-21 2 779
82 지천명(知天命)의 자치주 2020-09-08 11 977
81 한 농예인의 동상 2020-08-01 12 1091
80 바람을 가르는 붓 2020-03-09 30 1601
79 윤동주를 기리는 사람들 2019-12-30 26 1015
78 신(新) 매체시대 새로운 문학을 위한 테제 2019-02-28 29 1118
77 김혁소설가와 그의 위안부소재의 장편소설 “춘자의 남경” 2019-02-12 16 1244
76 “백세” 김학철 2018-12-10 13 1674
75 신(新) 매체시대 새로운 문학을 위한 테제 2018-09-14 20 1238
74 동주를 위한 3개의 공책(空册)- 3 2017-11-22 13 1705
73 동주를 위한 3개의 공책(空册)- 2 2017-11-21 20 1709
72 동주를 위한 3개의 공책(空册)-1 2017-11-12 15 1390
71 필끝에 건곤乾坤세상 있나니(련재1) 2017-08-03 14 1614
70 죽음의배- "페스카마"호 2017-06-13 17 2149
69 창피함에 대하여 2017-05-31 13 1674
68 꼬마 축구팬의 눈물 2017-04-21 15 1708
67 필끝에 건곤(乾坤)세상 있나니 2017-02-28 17 1763
66 우리의 이야기를 여러 어종(語種)으로 세상에 들려주자 2017-02-10 15 1924
65 로신의 어깨 2016-09-13 17 2310
64 즐거운 축구 패러디 2016-09-13 13 2561
63 꿈과 사다리 2016-06-29 10 2346
62 청산을 에돌아 “두만강”은 흐르고 2016-06-18 10 2436
61 소울메이트 2016-06-18 14 2259
60 구순(九旬)의 박물관 2016-05-29 11 2396
59 리얼리즘과 문학비 2016-05-04 17 2041
58 “백세” 김학철 2016-04-23 30 2561
57 난 로봇이다 2015-09-14 11 2945
56 피서(避暑)의 방식 2015-08-19 13 2768
55 영화"암살"의 녀주인공과 "간도참변" 2015-08-18 16 4827
54 어느 화백의 실크로드 2015-07-30 18 2939
53 무자비(無字碑) 2015-07-13 13 3585
52 요절 문인 2015-07-07 16 3148
51 전범기(戰犯旗) 펄럭... 2015-06-30 13 4536
50 소금 이야기 2015-06-16 12 2927
49 12 초 2015-06-04 22 5323
48 북간도의 큰 스님 2015-05-26 14 3714
47 "언브로큰" 그리고 윤동주 2015-05-07 22 4499
46 지하철에서 읽은 모디아노 2015-04-29 12 2908
45 황제의 수라상 2015-03-30 12 4832
44 봄 우뢰 2015-03-16 11 3782
‹처음  이전 1 2 3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