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시인 - 백하
2015년 04월 05일 15시 11분  조회:4280  추천:0  작성자: 죽림
 
박세영
 
   

박세영
(朴世永, 1907~1989)
경기 고양 출생. 
1946년 월북.

새 옷을 입으련다
- 어린이날에 보내는 노래

박세영

할아버지 우리나라 빼앗겼고
아버진 울며 살았는데
우린 해방을 맞았다

아주 잃을 뻔한 조선
누구나 일해야 산다는
우리 새나라의 일꾼이 되련다

욕심쟁이도 없고 거짓도 없고
가난뱅이도 없다는
빛나는 새나라 사람이 되련다

너털뱅이 헌옷을 빨아 입는 것보다
우리 새옷을 입으련다
다 같이 입으련다

동무야! 온 조선의 동무야!
우렁차게 외치자 오늘 어린이날에
한마음 되어 달려나가자

시인 박세영(朴世永, 1907∼1989)은 우리 문학사가 잃어버린 여러 문학인 중의 한 분이다. 그는 일본 강점기 때 카프의 맹원이자 비해소파로 굳건한 신념을 지닌 인물이자, 해방 이후 1980년대 말까지 주*문학의 선구자로 조선문학인 가운데 가장 중심적 위치의 시인으로 활동하였다. 그의 대표작은 시집 《산제비》(1938)와 《류화(流火)》(1945), 《진리》(1947), 《승리의 나팔》(1945), 《박세영시선집》(1956), 《밀림의 역사》(1952), 《박세영 동시선집》(1962) 등이다.

그의 시에 대한 학계, 비평계의 평가는 “자연을 통해 시대적 울분과 회상을 술회한 불안문학”(백철), “대륙적 풍모와 남성주의”(김재홍), “항일문학의 실천적 지성”(윤여탁), “아지프로가 강조된 교술적인 서술시”(황정산), “민족애의 발현, 유이민의 비애감, 자연과의 합일의지 표현”(심치열), “서간체 시적 양식의 개발”(박은미), “디아스포라의 표현”(박수연), “정치적 신념을 지키고자 노력한 시인”(최명표) 등으로 요약된다. 가장 대표적인 시로 거론되는 작품 〈산제비〉는 ‘산제비’라는 시적 대상물에 의탁하여 자유와 리상, 해방의 도래에 대한 자신의 꿈을 상징적 기법으로 노래하고 있다. 감상적 회고나, 랑만적인 전원시에 머물지 않고 시인의 의지를 시적 대상을 통해 형상화하면서 그 수준을 점차 심화시켜간다.

산제비야 날아라
화살같이 날아라
구름을 휘정거리고 안개를 헤쳐라
땅이 거북등같이 갈라졌다
날아라 너희들은 날아라
그리하여 가난한 농민을 위하여
구름은 모아는 못 올까
날아라 빙빙 가로 세로 솟치고 내닫고
구름을 꼬리에 달고 오라

— 〈산제비〉 부분

시인 박세영은 1902년 7월 7일 경기도 고양군 한지면 두모리에서 출생하였다. 호는 백하(白河)이다. 극도의 가난 속에서도 위축되지 않고, 오히려 주변의 힘겨운 처지에 있는 사람들을 도우며 노력과 희생정신으로 살아갔다. 서울 배재고보 출신으로 송영, 나도향, 김복진, 박팔양, 김소월, 윤극영, 이기영, 윤기정, 박영희, 임화 등과 교유하였다. 프롤레타리아문학운동에 뜻을 두고 카프의 핵심 멤버로 사회주의계열의 각종 동인지 및 사화집 발간 활동을 펼쳤으며, 필화사건으로 여러 차례 투옥되기도 했다. 8·15해방도 청진 감옥에서 맞았다.

조선문학가동맹 중진으로 활동하다가 1946년 전반기에 월북하여 북조선 문예총에 가담하였다. 주로 찬양과 주민들에 대한 노력 혁신, 선전선동을 위주로 한 작품들을 발표하였고, 1959년에는 조선의 〈애국가〉를 작사하여 국가 2급 훈장을 받았다. 이후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문예총 국가상임위원,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중앙위원, 작가동맹 상무위원 등을 지내는 등 조선문학의 중진으로 활동하다가 1989년 2월에 사망하였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723 김혁 / 김룡운 2015-09-17 0 4285
722 詩碑에 是非를 걸다... 2015-09-17 0 4585
721 조선족문학의 개념에 대하여 2015-09-17 0 4828
720 김철 / 장춘식 2015-09-17 0 5157
719 김창영 / 장춘식 2015-09-17 0 4680
718 리옥금 / 장춘식 2015-09-17 0 5093
717 고 송정환 / 장춘식 2015-09-17 0 4759
716 연변지역 시문학 뿌리 및 그 현황 2015-09-17 0 4743
715 한영남 / 장춘식 2015-09-17 0 4358
714 전춘매 / 장춘식 2015-09-17 0 4386
713 ...끝 2015-09-17 0 5800
712 ...이어서 2015-09-17 0 4675
711 ...계속 2015-09-17 0 4888
710 ...이어서 2015-09-17 0 4516
709 ...계속 2015-09-17 0 4969
708 일제 강점기 조선족 시문학 2015-09-17 0 4426
707 리육사의 <<로신추도문>> 2015-09-16 0 5994
706 당신도 디카시 시인 2015-09-12 0 4786
705 <사진> 시모음 2015-09-12 0 4955
704 디카시 모음 2015-09-12 0 4303
703 디카시란? 2015-09-10 0 4813
702 하이퍼시 - 역설의 시 2015-09-10 0 4310
701 하이퍼시 창작기법 2015-09-09 1 4647
700 하이퍼시의 목표 - 고정틀 벗어나기 2015-09-09 0 4665
699 하이퍼시 - 새롭게 디자인한 시 2015-09-09 0 4574
698 하이퍼시란? 2015-09-09 1 4306
697 글쓰기 0도 2015-09-09 0 3927
696 패러디(모방, 표절, 도작...)문학을 인정하느냐 마느냐가 "문제"면 "문제"로다... 2015-09-07 0 4436
695 ...계속 2015-09-07 0 4177
694 남영전 / 최룡관 2015-09-07 0 4199
693 한춘시평 2015-09-07 0 4151
692 토템시에 한마디 2015-09-07 0 4516
691 토템시 - 민족문화브랜드 2015-09-07 0 5418
690 감자 캐는 즐거운 농부 - 남영전시인 2015-09-07 0 4099
689 ...계속 2015-09-07 0 5881
688 남영전 / 김관웅 2015-09-07 1 4573
687 민족문화의 뿌리를 찾아서 2015-09-07 0 4072
686 중국 조선족 시문학의 위상(자료) 2015-09-07 0 5085
685 중국 조선족시문학 정초자 - 리욱 2015-09-07 0 4965
684 시의 가치란? 2015-09-06 0 4852
‹처음  이전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