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6월 2024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29
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不可思議한것들
2015년 04월 08일 22시 54분  조회:4424  추천:1  작성자: 죽림
 

《1》누가 , 왜 이런것을‥

  1. 나스카 평원의 지상 그림

하늘에서 내려다 보면, 삼각형, 직사각형, 사다리꼴 등 가하학적 도형과 원수이 , 개, 거미 등 여러가지 동물의 모습으로 보인다. 그런데 왜 지상에서는 이러한 그림들이 보이지 않는 것일까? 사실은 지상에서도 이 그림들이 전혀 보이지 않는 것은 아니다. 다만 그림의 크기가 워낙 커서 수십m혹은 소백m씩이나 되기 때문에 가까이에서는 전체의 윤곽을 파악할 수 없고, 땅을 파헤친 홈만 보일 뿐인 것이다. 그러면 도대체 이 그림의 정체는 무엇일까? 어떤 학자들의 말대로 고대의 도로였을까? 관개용의 소로였을까? 아니면 고대 나스카 인들의 달력 따위로 사용했던 그림이었을까?

그 그림들이 우주인의 작품일 것이라는 기상 천와의 주장을 하는 사람들도 있다. 그들에 의하면, 오랜 옛날 매우 우수한 지능을 가진 우주인들이 이 곳에 착륙하여 미래에 사용할 비행장을 건설했는데, 이것은 바로 그때 그려진 그림이라는 것이다. 그러고보면, 기묘하게 생긴 몇몇 그림들이 착륙용 마이크처럼 보이기도 하고 부근에 제트기와 비슷한 황금의 유물이 발견됐다는 것도 예삿일이 아니다. 그러면 이 그림은 도대체 언제.누가 .왜 그린것일까? 이것은 아직도 풀지 못한 수수께끼이다.

 

2.이이스터 섬의 거석상

남태평양 한가운데에 이이스터라는 작은 화산섬이 있다. 그런데 이 섬에선 거대한 돌을 깎아 조각한 거인의 석상이 도처에서 발견되어, 고고학자나 인류학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석상의 크기는 보통 높이4~10m,무게 50t가량이나 되는데, 아직 미완성인채로 남아있는 것 중엔 높이 21m나 되는것도 있다. 이렇게 거대한 석상들을 채석상으로 부터 어떻게 운반할 수 있었을까? 또 원시적 도구밖에 없었을 이 섬에서 어떻게 이런것을 조각할수 있었을까? 그리고 이들 석상들은 어째서 섬 주민들의 모습과는 달리 커다란 귀와 쪽곧은 코, 얇은 입술을 가지고 있는것일까? 이런 수많은 수수께끼가 아직 하나도 풀리지 않는 채 남아있다. 거인 석생의 유래에 대해선 여러가지 설이 있다. 그러나 과연 어느 것이 옳은지는 아무도 자신있게 말할수 없다.

첫째,남아메리카에서 동풍을 타고 이 섬에 건너온 문명인들이 만들었을 것이라는 설이 있다.노르웨이의 인류학자 헤이에르다알은 이 설을 증명하기 위해서 일대 모험을 단행한 사람으로 유명하다.

둘째,오랜 옛날 이 섬에 불시착했던 우주인들이 만들었을 것이라는 설도 있다.

셋째,아주 오랜 옛날 태평양 한가운데엔 무대륙이라는 거대한 대륙이 있었는데 이 대륙에서 눈부신 문명을 이룩했던 사람들이 만들었을 것이 라는 주장도 있다.

 

3.스토운헨지

영국 남부 지방의 소올즈버리 평원엔 스토운 헨지라 불리는 괴상한 유적이 있다. 수직으로 세운 2개의 돌 위에 1개의 돌이 수평으로 얹혀져, 아이치 모양을 이루고 있는 이 스토운 헨지는 높이 7m,무게45t나 되는 거대한 돌들로 되어있어 고대 로마의 용감한 병사들가지도 그 괴이한 모습에 겁을 먹었다고 한다. 그러면 이것은 대체 누가 무엇때문에 만든것일까? 이것은 일종의 천체 측우소였을 것이라고 하는 학자들이 있는가 하면 신전이었다고 주장하는 학자도 있다. 또 어떤 학자들은 이것이 그런 기능을 모두 가지고 있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사실 아무도 그것이 왜 만들어졌는지 정확히 알지 못한다.

 

4.숲속에 뒹구는 거대한 뱀

미국 오하이오 주의 숲 속엔 길이 4백m이상이나 되는 거대한 뱀이 몸부림치고 있다. 그러나 그것은 살아있는 뱀이 아니라 흙을 쌓아 만든것이다. 그런데 이것이 만들어진 것은 약 2천년도 넘을것이라고 한다. 그러면 이것은 누가,무엇때문에 만든것일까?

 

《2》고대 세계의 7대 불가사의‥

1.피라미드의 비밀

고대 이집트 사람들은 왜 피라미드를 만들었을까? 그것은 신전이었을까? , 천문관측소 였을까? 아니면 구약성경에 나오는 요셉의 곡물 창고였을가? 오랜 세월동안 이와 같은 의문의 꼬리를 물고 제기 되었다. 그래서 피라미드는 고대 세계 7대 불가사의의 하나로 생각되어왔다. 그러나 많은 발굴 조사 결과, 그것은 고대 이집트왕(파라오)들의 무덤이었다는 것이 밝혀졌다.

나일강 서쪽 기슭에 솟아있는 많은 피라미드 가운데서도 가장 유명한 것은 카이로 남서쪽 기제에 있는 쿠프왕의 대 피라미드다. 이것은 높이 137m(원래는 146m였으나 꼭대기 부분이 없어짐)밑변의 길이 230m나 되는 거대한 석조 건물이다 이것을 쌓아 올리는 데 사용된 석회석 수는 무려 250만개 였으며 전체의 무게는 6백만t이나 된다고 한다.피라미드의 각 변은 정확히 동서남북을 가리키고 있다. 분만 아니라 놀랍게도 대피라미드엔 지구의 반지름이나 태양까지의 거리,그리고 원주율이나 1년의 날자 등이 압축되어 표현되고 있다고 하니, 정말 놀라운 일이 아닐수 없다.

피라미드 둘레÷높이÷2=3,1415

피라미드 높이=태양의 거리의 10억분의 1

피라미드 인치=지구 반지름의 1천만분의 1

1변의 길이=365.23.피라미드인치(1년날짜수)

2.파라오의 왕릉

1922년 고대 이집트 문화 연구 사상하나의 획기적인 사건이 일어났다. 영국의 고고학자인 하워드 카아터가 여러해에 걸친 탐사 끝에 마침내 고대 이집트 왕릉 가운데서 가장 풍부한 보물들을 간직하고 있는 투탄카멘의 왕릉을 발견한 것이다. 무덤 속은온통 황금의 광채로 번쩍였으며 즐비하게 늘어서 수많은 종류의 우아한 가구와 조각 그리고 아름다운 보석들은 발굴자들의 눈을 휘둥그렇게 했다.그러나 무엇보다도 가장 놀라운것은 투탄카멘 왕의 황금 마스크였다. 사람 모양으로 되어있는 금박의 관에 누워있는 투탄카멘 왕의 미이라 위에는 18세 에 죽은 소년왕의 모습이 정교하게 묘사된 황금 마스크가 덮여있었던 것이다.피라미드엔 수많으 ㄴ재보가 부장품으로 매장되어있었다. 그러나 도굴군이 들끓어 남아나는 재보가 없었다. 그리하여 마침내 파라오들은 비밀장소에 무덤을 만들기 시작했다. 그것이 바로 왕릉의 계곡에 있는 지하 무덤이다.그러나 이렇게 만들어 놓은 왕릉들도 수천년 동안 도굴당하지 않은 것이 거의 없다.

 

3.알렉산드리아 등대

고대 이집트 최대의 무역 도시인 알렉산드리아 항 바로 맞은 편에 있는 파로스 섬엔 마치 마천루처럼 우뚝 솟아 물위를 비추는 거대한 등대가 세워져 있었다. 기원전 280년경 프톨레메우스 2세 치세 동안에 세워진 이 등대는 석회석,대리석,화강암 등으로 되어있는데 높이가 무려 140m나 되었다. 등대는 마치 결혼 축하용 케이크 처럼 3층으로 되어있었는데 맨 아래층엔 연료를 끌어올릴 수 있도록 틀별히 고안된 장치가 있었고 중간층엔 나선형의 경사지로 연료를 운반하는 마차가 있었다. 그리고 맨 꼭대기층에선 늘 횃불이 밝게 타오르고 있었다 그러나 이 등대는 지진으로 무너저 버리고 이 세상에 없다. 그리고 언젠가 부터 고대 세계 7대 불가사의로 생각되어 왔다.

4.로데스의 콜롯수스

수천년전 지중해 동부에는 많은 도서 국가들이 있었다.. 이 도서 국가들 가운데 로데스라는 나라가 있었다. 로데스 인들은 태양신 헬리오스가 자기들을 부강하게 해주고 다른 나라의 침략으로 부터 보호해준다고 믿었다. 기원전 304년 로데스는 다른 나라로 부터 침략을 받았으나 이 를 잘 막아냈다. 그래서 로데스인들은 헬리오스를 찬양하기 위해 세상에서 가장 큰 신상을 만들기로 하였다 그리하여 그들은 적들이 버리고 간 병기들을 녹여서 12년에 걸쳐 높이 312m가 되는 거대한 신상을 만들어 항구 입구에 세워놓았다. 그러나 이 신상도 역시 기원전 225년에 지진으로 무너지고 그 뒤 아랍인들에 의해 완전히 파괴된 뒤 고대 세계의 7대 불가사의로 생각되어 왔다.

5.바빌론의 공중정원

유프라테스 강변에 있던 고대 도시 바빌론에는 마치 보이지 않는 실에 매달려 공중에 떠 있는것처럼 보이는 '공중정원'이 있었다. 높이 솟아오른 정원의 테라스엔 늘 아름다운 꽃과 무성한 잎을 가진 나무들이 자라고 있었으며 강에서 펌프로 끌어올린 물을 이용하여 만든 아름다운 샘과 폭포가 곳곳에 흐르고 있었다. 이것은 기원전 6세기 경 비빌론을 통치하던 네부카드넷자르2세가 왕비의 향수병(고향을 그리워하는 병)을 달래기 위해 만든 것이라고 전해지고 있다.이것은 물론 글자 그대로 공중에 떠 있는 정원이 아니라 말하자면 지붕위의 정원이었다. 그러나 공중에 우뚝 솟아오른 모습이 마치 공중에 떠 있는 것처럼 보였으므로 이런 이름이 붙여졌다. 이 정원은 뒷날 바빌론이 다른 나라의 침략을 받았을때 도시의 다른 건물들과 함께 완전히 파괴되었다고 한다 그래서 지금은 흔적도 없이 사라지고 사막위에는 돌무더기만 쌓여있을 뿐이다 그러면 이 바빌론의 공중정원은 어떻게 만든것일까? 이것 역시 고대 세계의 7대 불가사의로 꼽히고 있다.

6.제우스 신상

제우스 신상은 올림피아에 있던 고대 그리스의 가장 유명한 신상으로서 파르테논신전의 아테네 신상과 함께 피디아스가 만든 두 걸작품 중의 하나였다고 한다 제우스가 해의 여신상과 독수리가 장식된 홀을 들고 왕좌에 앉아 있는 모습을 조각한 이 신상은 높이가 9m이상이나 되는 거대한 것으로 모두 금과 상아로 되어 있엇다. 이 제우스 신상도 오랫동안 고대 세계7대 불가사의 의 하나로 꼽혀왔으나 1950년대에 피디아스가 작업하던 곳이 발견됨으로써 기원전 430년경에 이 신상이 만들어 졌다.

7.마우솔로소스 능과 아르테미스 신전

에페수스에 있던 그리스 최대의 대리석 신전인 아르 테미스 신전과 소아시아 카리아의 왕 마우솔로소스를 기념하기 위해 만든 대리석무덤도 역시 고대 세계 7대 불가사의로 꼽히고 있는데 이들도 모두 지진이나 침략자들의 손에 의해 무너져 버렸다.

 

《3》풀리지 않는 괴상한 사건들‥

1. 죽음의 삼각 해역

비행기의 실종

1945년 승객 15명을 태운 미국 비행기 행방불명

1947년 미국 c54형기 실종

1948년 영국 여객기 실종

1952년 영국 수송기 행방불명

1954년 승객 42명을 태운 미국 여행기 실종

1962년 미군 수송기 실종

1963년 미국 공군기 2대 동시에 실종

1965년 10명을 태운 미국 공군기 실종

1967년 미국 해군기 실종

1971년 미국 공군기 실종

선박의 실종

1902년 독일 플레이타 호 실종

1914년 미국 사이클로프스 호 309명을 태운 채 행방불명

1926년 미국 화물선 실종

1944년 쿠바 화물선 실종

1950년 미국 화물선 실종

1963년 미국 설퍼 퀸 호가 사라짐

1969년 미국 선박 1척 승무원은 실종되고 선체만 표류

1971년 미국 어선 실종

1976년 미국 아나타 호 증발

사고 지점은 바로 플로리다 주의 마이애미와 버어뮤다 섬 그리고 서인도 제도의 푸에르토리코 섬을 잇는 이른바 "마의 3각 해역"   이 해역에선 이와 비슷한 원인 모를 실종 사고들이 100여건도 넘게 기록되고 있다. 비행기 뿐 아니라 고기잡이 배나 유조선,여객선등이 수없이 행방불명 된 것이다 그리하여 1945년 이래의 기록만 보더라도 61척의 배와 40대의 비행기가 원인 모르게 실종 되어 1100여명이나 희생되었다는 것이다.

2.공포의 불덩이

1908년 6월 30일 꼭두새벽 중부 시베리아 지방에 참으로 괴상한 사건이 일어났다. 태양과 같은 불덩어리가 갑자기 서쪽에서 동쪽으로 쏜살같이 날아가는 것이었다. 그리고 잠시 후 하늘을 찢는듯한 폭음이 울리며 건물이 흔들리고 유리창이 산산조각났다. 천정이 내려앉고 벽이 무너졌으며 사방에 불길이 치솟았다. 이 공포의 불덩어리는 바이칼호 북서쪽 포드카멘나야 퉁구스카 강 상류의 밀림 지대에 떨어졌다. 이 괴변으로 말미암아 1백 20㎢나 되는 밀림 지대의 초목이 모두 타버리고 그 주위 3천5백㎢에 이르는 수목들이 쓰러졌다. 그러면 이사건의 원인은 무엇이었을까? 많은 학자들의 조사에도 불구하고 그 진상은 아직까지도 밝혀지지 않고 있다.

 

《4》지구 표면의 수수께끼‥

1.사막의 얼음기둥

남아메리카 아타카마 고원의 사막에는 언제 부턴가 하얀 눈기둥이 늘어선채 녹지 않고 있어서 사람들의 눈을 휘둥그래지게 한다. 도대체 어떻게 이런일이 있을수 있단 말인가? 아무리 고원이라고는 하지만 물도 없는 사막지대에 눈기둥이라니? 그것은 어떻게 생겼으며 어째서 녹지 않는 것일가? 빙하의 잔재일 것이라고 주장하는 학자도 있으나 아직 아무도 정확한 해답을 내리지 못한채 역시 수수께끼로 남아있다.

2.일곱 색깔로 변하는 바위

오스트레일리아 중앙의 광대한 사막 한 복판에 둘레 10km 높이 248m나 되는 바위산이 우뚝 솟아 있다. 그런데 에이어즈 로크라 불리는 이 바위산은 이상하게도 모두 한종류의 결없는 바위로 되어있다. 더구나 기이한 것은 이 바위산이 일곱가지 색깔로 변한다는 점이다.그러면 이 사막지대에 어찌하여 이런 괴상한 바위가 남아있는것일까?(바위산은 석양이 다가오면 점차 오렌지빛으로 물들다가 해가 지면 새빨갛게 빛나기 시작하고 다음엔 보랏빛으로 변한다.)

 

 마의 지저 호수

오스트레일리아의 마운트 감비아 부근에는 그 곳 주민들도 겁을 먹고 접근 하지 못하는 마의 지하 호수들이 많다 이 호수들은 땅위에 뚤린 구멍은 작아도 안으로 들어가면 항아리처럼 넓어져서 아무리 잠수를 해도 밑바닥이 다다를수 없는 무서운 호수들이다.

 

4.차를 끌어올리는 언덕

캐나다의 노바스코시아 반도에 있는 멍크톤이라는 마을에는 세워 둔 차가 저절로 거슬러 올라가는 이상한 비탈길이 있다. 이 비탈길이 세상에 널리 알려지자 미국과 캐나다의 많은 학자들이 그 수수께끼를 풀기 위해 여러 차례 조사에 낙셨다. 그러나 강력한 자석과 같은 힘을 가진 암석이 땅속에 있는 것이 아닐가 하고 막연하게 추측할 뿐 아직 아무도 과학적으로 명확한 해명을 하지 못하고 있다 .(우리나라 제주도에도 일명 "도깨비 오르막"이라는 도로가 있는데 오르막을 내려가면 다시 위로가는 도로이다..)

5. 6각의 돌기둥

북아일랜드 북쪽끝에 있는 영국의 자이언트 코즈웨이 해안에는 무수히 많은 육각형의 돌기동들이 밀려오는 파도를 가로 막듯이 빈틈없이 늘어서있다. 그런데 이 돌기둥들은 하나하나가 벌집처럼 매우 규칙바르게 늘어져 있어 꼭 사람이 만들어 놓은 것 처럼 보인다. 그래서 옛날부터 이 곳 주민들사이에는 "파마콜이라는 거인이 바다 건너에 사는 적을 무찌르러 가기 위해 만든 길" 이라는 전설이 전해내려오고 있다. 그러나 사실은 이 육각형의 돌기둥들은 인간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자연의 이상한 힘에 의해 만들어 진 것이다. 이렇게 이 세상에는 얼핏보기에 수수께끼처럼 보이는 것도 알고 보면 자연의 신비한 힘에 의해 된것이 많다.

《5》수수께끼의 생물들‥

1.설인

1951년 11월 에릭 시프톤을 대장으로 한 영국의 산악회원들은 에베레스트 산 서북쪽에 있는 해발 6천m의 멜른 빙하에서 눈속에 찍혀있는 괴상한 발자국들을 발견했다. 발자국의 크기는 길이 45cm 폭 32cm나 되었다. 그런데 그것은 아무리 보아도 맨발로 걸어간 사람의 발자국 처럼 보였다. 그 발자국의 정체는 과연 무엇이었을까. ? 히말라야에 설인이라는 괴상한 동물이 살고 있다는 이야기는 꽤 오래 전 부터 알려져 왔다. 그러나 처음엔 이 이야기가 히말라야 산악 지대의 주민들 사이에서만 전해 내려왔다. 그러다가 1920년 무렵부터는 도처에서 설인의 발자국을 발견했다는 사람들이 나타나고 또 더러는 설인을 직접 목격했다고 주장하는 사람까지도 속출했다. 그러자 세계 여러나라의 탐험대가 설인의 정체를 알아내기 위한 탐험을 시작했다. 그러나 아직 아무도 그 정체를 밝혀내지 못하고 있다.

 

2. 사스카치(빅풋)

오랜 옛날 부터 아메리카 인디언들 사이에는 숲속에 살고 있다는 괴물에 관한 이야기가 전해내려오고 있다. 그런데 이 괘물은 여러모로 보아 히말라야 산맥속에 살고 있다는 설인과 매우 흡사한 동물로 생각된다. 미국에선 "빅 풋(큰발)" 으로 캐나다에선 "사스카치"로 불리는 이 괴물은 키가 2~2.4m나 되며 발자국 크기도 40~50cm나 된다고 한다. 또 이 괴물은 설인과 마찬가지로 온몸이 털북숭이 이고 두 다리로 서서 걷는다는 것이다. 백인들이 이 괴물에 대해 관심을 갖기 시작한 것은 1811년 데이비드 톰슨이라는 한 탐험가가 캐나다의 숲속에서 이 괴물의 발자국을 발견하고 나서 부터였다. 그후로 미국과 캐나다에서는 그와 같은 발자국이나 괴물을 직접 목격했다는 사람들이 &�임없이 나타났다. 그리하여 1970년까지 목격자의 수는 무려 300명 이상이 되었다. 과연 사스카치란 어떤동물일까?

《6》사라진 문명의 수수께끼‥

1.잉카의 일어버리니 도시

한 때 남아메리카의 페루를 중심으로 크게 번영했던 잉카제국 . 그 잉카 제국의 찬란했던 문명이 1532년 2백명도 채 안되는 스페인의 참략자들에 의해 철저히 파멸당했다. 이때 스페인의 침략자들은 잉카제국의 수도 쿠스코를 잔혹하게 파괴하고 엄청나게 많은 금은보화를 약탈해갔다. (그러나 이 많은 금은보화는 아직까지 찾아내지 못하고 있다.)그러나 이들 스페인 인들이 끝내 찾아내지 못한 하나의 도시가 있었으니 그것이 잉카체국의 잃어버린 도시 마추피추였다. 그 마추피추가 1911년 미국의 한 탐험가에 의해 재 발견 되었다. 높이 2천m가 넘는 안데스 산맥의 정글속에 세워진 아름다운 석조 의 도시 마추피추. 놀랍게도 이 도시엔 인공계단으로 된 밭이며 수도까지 완비되어있었다. 그러면 이렇게 높은 산 ㅏ위에 세워진 마추피추란 어떤도시였을까? 아직도 많은 신비의 그늘에 싸여 있지만 이 도시는 쿠스코가 스페인 인들에게 침략을 당했을때 도망쳐 나온 여사제들이 숨어 살았던 도시가 아니었을가 추측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러나 그것도 추측에 불과할 뿐이다.

2 돌연히 사라진 마야 문명

마야 인들은 서기 300년경부터 약 4세기 동안 지금의 멕시코,구아테말라,온두라스에 걸친 중앙 아메리카에 하나의 찬란한 문명을 이룩하였다.밀림속에 대도시가 건설되고 도시와 도시사이에는 넓은 도로가 이어졌으며 훌륭한 건축물들이 세워졌다. 마야 인들은 대부분 농사를 짓고 살았다 그리고 도시에 사는 일부의 관리와 신관들이 나라를 다스렸다. 그런데 그들의 제사의식은 매우 야만적이어서 언제나 산사람이 희생 제물로 바쳐졌다. 특히 치첸이트사에 있는 2개의 연못엔 해마다 많은 소년 소녀들이 제물로 던져졌는데 그 때문에 지금도 이 연못에선 많은 소년 소녀의 유골이 발견되고있다. 아무튼 마야 인들은 3세기 말에서부터 8세기경까지 고도의 문명을 이룩하고 있었다. 그런데 9세기가 되자 그들은 갑자기 장대한 신전과 궁전들을 모두 버려둔 채 어디론가 사라져 버렸다. 그러면 마야 인들은 왜 진보된 문면을 버리고 사라진 것일까? 이것은 아직 아무도 풀지못한 수수께끼이다

3. 밀림속의 앙코르 톰

1861년 프랑스의 박물학자 앙리무오는 나비를 채집하기 위해 크메르 정글 지대로 들어갔다가 숲사이로 펼쳐진 놀라운 광경을 보고 걸음을 멈췄다. 사방 3천m나 되는 사각형 모양의 넓은 터전위에 화려한 누각과 수많은 궁전 대사원과 석탑 따위의 건축물들이 즐비하게 늘어선 앙코르 톰 .. 그 밀림속의 도시가 19세기 중엽까지 약 5백년동안 숱한 비밀을 간직한채 침묵을 지키고 있었던 것이다.이렇게 훌륭한 도시를 건설한 사람들이라면 틀림없이 큰 왕국을 이룩하고 있었을텐데 그들은 왜 왕국을 버리고 떠난 것일까? 또 그들은  어디로 갔으며 왜 다시는 돌아오지 않는 것일까? 이런 의문들을 풀기위해 많은 학자들이 연구를 거듭했다. 그 결과  이 밀림의 도시는 9세기에서 13세기사이에 크게 번영하던 크메르 인들에 의해 건설된 도시라는 것이 밝혀졌다. 그리고 1431년 타이의 침공을 받아 국세가 크게 기울게 되고 17세기엔 안남의 침략으로 마침내 몰락하고 말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그러나 전성기에 2백만이나 되었다는 주민들은 모두 어디로 간것일까? 아무튼 앙코르문명은 많은 수수께끼에 싸여있다.

 

4. 저주 받은 바벨 탑

1922년 영국의 고고학자 레오나드 울리를 단장으로 한 대영박물관과 펜실베니아 대학 합동 조사단은 칼데아의 우르로 알려진 고대 도시에 대한 발굴작업에 나섰다. 그리고 여러해동안 작업끝에 마침내 지규랏(성탑/ 수호신을 모시는 동시에 제단이었다.)이라 불리는 거대한 계단식 건축물과 왕릉의 유적등을 발굴해냈다. 그런데 칼데아의 우르란 바로 성경에 나오는 유태인의 조상 아브라함의 탄생지로 알려진 곳이다. 그리하여 잃어버린 성경속의 도시 칼데아의 우라가 고대 중동지방에 실제로 있었던 도시였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바벨탑이란 바빌론에 세워졌던 지규랏을 가리키는 것일수도 있고 또는 바빌로니아 시대에 세워진 많은 지규랏 가운데 어느 하나일수도 있다. 지규랏에 대한 연구가 거듭됨에 따라 몇가지 놀라운 사실이 밝혀졌다.

첫째:탑의 각 계단의 높이가 위로부터 2,3,5,8,13의 비율로 되있는데 이것은 태양과 행성의 거리를 나타내느느 보테의 법칙과 거의 일치한다는 점이다.

둘째:지규랏을 만드는데 사용된 찰흙 벽돌이 보통의 열보다 엄청나게 높은 고열에 의해 구워진 흔적이 있다는 점이다. 그렇다면 지금으로부터 수천년전의 바빌론인들이 현대 과학기술에 버금갈 정도의 천문지식이나 고도의 기술을 가지고 있었다는 말인데 과연 그럴수 있을까?

《7》변화하는 지구의 비밀‥

1. 환상의 대륙 아틀란티스

아틀란티스란 플라톤의 책에 나오는 전설의 대륙이다 그전설에 의하면 아틀란티스란 기원전 1면년경에 헤라클레스의 기둥 저편에 있었던 지상낙원이었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것이 단순한 전설이 아니라 사실이었다고 주장하는 사람이 끊임없이 나타났다. 그렇다면 과연 그 환상의 대륙 아틀란티스는 어디에 있었을까? 많은 학자들이 이 수수께끼에 도전하여 연구를 쌓았으나 아직도 그것은 밝혀지지 않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연구결과로 보아 만을 아틀란티스가 있엇다면 그것은 아마 샌토리니 화산 폭발로 사라져 버렸다는

"미노아왕국" 일지도 모른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 샌토리니 화산에 대한 연구는 19세기에 이미 시작되었으나 이 섬이 각광을 받기 시작한것은 1932년 미노스왕의 전설적인 병기고 암니소가 발굴된 뒤부터였다. 그 뒤 1956년 아테네 지질학 연구소의 안게로스 가라노플스 교수가 화산재 속에서 불에 탄 석조 건물을 발견했다. 그리고 1967년에는 미국, 그리스 공동 조사단의 본격적인 발굴 작업으로 미노아 인들의 한 도시를 원형대로 발굴해 내었다. 그런데 이것이야 말고 플라톤이 말한 지상낙원 아틀란티스와 비슷한 도시였다. 그리하여 이 섬 일대에 알틀란티스 대륙이 있었을지도 모른다는 추측을 가능케 했다.

아틀란티스는 어디에 있었을까?

크레타 섬을 중심으로 한 지중해 설

대서양의 아조레즈 군도 설

카나리아 군도설

카리브해 설

시실리 섬 부근설

남아메리카 페루 앞바다 설

대서양 바하마 제도 설

2. 녹색의 대지였던 사하라사막

사하라 사막의 타실리아 고원에는 무수히 많은 그림들이 있다. 이 그림들로 부터 사하라 사막이 대략 5기로 변천되었다는 걸 알수 있다.

8 천 년 전 ㅡ 물소 ,코끼리 등의 그림이 있다. /늪이나 연못이 있었던 시기

6천~8천년전 ㅡ 사냥꾼들의 그림이 있다 / 아직 사람과 동물이 많았던 시기

3천~6천년전 ㅡ 소나 양을 방목하던 시기

2천~3천년전 ㅡ 땅이 점차 건조하기 시작

2천년전~현재 ㅡ 사막의 동물이 나타남

3. 사라진 무 대륙을 찾아서

제임즈 처치워드는 잃어비린 '무' 대륙의 탐구를 위해 일생을 바친 사람이다.  그러면 과연 처치워드의 주장대로 '무'대륙이란 실제로 존재했었던 대륙일까? 그에 대한 답변을 할 수 있는 사람은 아직 아무도 없다.남태평양의 고도 포나페 섬에는 무게 수t씩이나 되는 바위와 돌을 &�아 올려 만든 인공의 섬이 80여 군데나 있고 이 섬을 거친파도로 부터 막기 위해 지탱하는 돌기둥은 무려 240만개나 된다. 또 이섬엔 이상한 조개류로 된 장식물이랑 생포한 포로들을 가둬두는 지하감옥등도 있다. 어떤학자들은 이것이 옛날에 동남 아시아에서 시작하여 폴리네시아까지 펼쳐졌던 한 문명의 흔적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그런가 하면 이것이 태곳적에 사라졌다는 환상의 대륙'무'의 수도가 아니었을까 하고 진지하게 생각하는 학자들도 있다. 그러면 과연 누구의 주장이 옳은 것일까? 그리고 '무'대륙이란 정말로 이 세상에 존재하던 것이었을까?

4.바다 밑이었던 에베레스트

지금의 인도와 아시아 대륙에서 많은 흙과 돌이 바다로 흘러들어 퇴적작용이 일어났다. 섬처럼 떨어져 있던 인도가 약 6천만년전부터 서서히 아시아 대륙족으로 접근했다. 그에 따라 두 대륙사이에 끼여있던 바다 밑이 양쪽으로 부터 밀려서 서서이 솟아오리기 시작했다. 높이 솟아오른 산은 오랜 세월 동안 비바람에 각여 오늘날과 같이 험준한 산으로 변해버리고 말았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11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93 풍자시 한 둬어 토리... 2015-04-27 0 5156
192 술과 문화예술인들... 2015-04-26 0 5071
191 주당(酒黨)들 이야기 2015-04-26 0 5652
190 주도 18 2015-04-26 0 4400
189 알쏭달쏭 새끼고기 이름 2015-04-26 0 5413
188 동물들 이름 어원 2015-04-26 1 4639
187 재미있는 새끼동물의 이름 2015-04-26 0 5899
186 묘비명 모음 2015-04-26 1 8364
185 80년 반입 금지령 내려졌던 책 2015-04-25 0 4730
184 지구상에서 유령이 가장 많이 사는 도시 2015-04-25 0 4463
183 語錄 2015-04-23 0 6820
182 마음속에 새겨야 할 어록들-- 2015-04-23 0 5846
181 진달래(참꽃, 천지꽃)와 철쭉(수달래)의 차이점 2015-04-23 0 5290
180 진달래와 철쭉의 차이점 2015-04-23 0 5430
179 삶의 원칙 200가지 2015-04-20 0 5495
178 서로서로 혼돈하기 쉬운 명사 2015-04-20 0 4443
177 고대 그리스 비극시인 - 소포클레스 2015-04-19 0 7315
176 폭탄주 제2탄 2015-04-19 0 4465
175 폭탄주 유래 / 종류 2015-04-19 0 4988
174 맥주컵 종류 2015-04-19 0 7570
173 잡타령 모음 2015-04-19 0 5871
172 술타령 모음 2015-04-19 0 4967
171 形而上學(사회과학부문) / 形而下學(자연과학부문) 2015-04-14 0 5698
170 화투 48장의 뜻과 그 유래 2015-04-12 0 6561
169 세계맥주 2015-04-09 0 4861
168 명언 100 2015-04-09 0 6074
167 공자 명언 2015-04-09 0 5421
166 不可思議한것들 2015-04-08 1 4424
165 하드보일드 문체 2015-04-08 0 6189
164 서서 글쓰기... 2015-04-07 0 6216
163 고양이는 고양이... 2015-04-07 0 4367
162 ''촌철살인의 대가'' - 오스카 와일드 2015-04-07 0 5667
161 마누라 2015-04-07 0 4406
160 옛날엔 그래 그랬지... 2015-04-05 0 5029
159 죽기전에 꼭 한번 가봐야 할 곳 모음 2015-04-05 0 6968
158 와인, 나와 얼쑤~ 놀아보쟈... 2015-04-05 0 8207
157 책 초판본 보물 사냥꾼 - (영국) 릭 게코스키 2015-04-05 0 5306
156 안중근을 흠모하다 2015-04-04 0 4903
155 안중근 / 유묵 2015-04-04 0 4786
154 안중근 권총 보관함 2015-04-04 0 6645
‹처음  이전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