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6월 2024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29
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주당(酒黨)들 이야기
2015년 04월 26일 22시 08분  조회:5652  추천:0  작성자: 죽림

조선의 주당들의 이야기 모음 


 

문성(文星) 그리고 주성(酒星) -윤회

 

 

윤회(尹淮, 1380 ∼1436)는 조선 전기의 문신이다.

윤회는 당대의 주당으로 세종이 그의 건강을 염려하여 하루에 술 석잔 이상을 마시지 말라고 명령했을 정도로 술을 좋아했다고 한다.

 

그러나 술 석 잔은 그에게 너무나 적은 양이었다. 윤회는 꾀를 냈다.

술을 먹을 때마다 반드시 가장 큰 그릇으로 석 잔씩을 마시기로 한 것이다.

 

이 소식을 들은 세종은 웃으며, "내가 술을 적게 먹게 하려고 한 것이 오히려 술을 많이 먹게 한 꼴이 되었구나."라고 탄식했다 한다.

 

어느 날 윤회는 술에 만취되어 부축을 받고 왕 앞에 불리어 나갔다.

그러나 윤회는 만취한 가운데서도 왕의 명대로 글을 써 내려갔다.

붓대가 나는 듯이 움직이자 세종은 참으로 천재라고 탄복하였다고 한다.

 

이에 세상 사람들이

'문성(文星)과 주성(酒星)의 정기가 합하여 윤회와 같은 현인을 낳았다'

고 말했다고 한다.

 



풍류를 사랑한 왕자 - 양녕대군

 

양녕대군 (讓寧大君, 1394∼1462)은 이름은 이제, 자는 후백(厚伯)으로 태종의 장남이자 세종의 형이다. 태종 4년(1404)에 왕세자로 책봉되었으나 왕세자로서 지녀야 할 예의범절에 어긋나는 일을 많이 했다. 양녕대군은 공부는 뒷전으로 두고 여색을 탐하며 궁궐 담을 뛰어넘어 잡인들과 어울려 다니기를 즐겼다. 그의 곁에는 항상 술이 끊이지 않았고 술과 더불어 기생들과 질펀하게 놀기를 즐겼다고도 한다. 그러나 시(詩)와 서(書)에 능하였고, 세자 자리에서 물러난 후 방방곡곡을 유람하며 풍류객들과 어울려 사귀다가 일생을 마쳤다.  충녕, 즉 세종이 왕위에 오른 후에도 그의 기행은 그치지 않았고 죽을 때까지 술과 풍류를 즐겼다.



그의 술잔은 말가죽신 - 이사철

 

이사철

이사철(李思哲, 1405∼1456)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다. 역사가는 이사철이 종친이었으므로 일찍부터 현달했으나 성격이 우유부단하고 가부를 명백히 결단하지 못하는 결점이 있었다고 평한다. 또 술을 무척 좋아했다고 전해진다.  

이사철이 젊은 시절 여러 벗들과 삼각산으로 놀러갔다. 그런데 산으로 올라가서 보니 모두가 술은 가지고 왔으나 술잔을 가지고 오지 않은 것을 알게 되었다. 그 때 함께 온 사람 가운데 새로 만든 말가죽신을 신은 이가 있었다. 이것을 본 이사철이 그 신을 벗게 한 후 그 신에 술을 담아 먼저 마셨다. 이것을 본 다른 친구들도 그 신에 술을 담아 차례로 술을 마셨다. 서로 보며 크게 웃고 말하기를,

"가죽신 술잔의 고사를 우리가 지어도 괜찮겠소." 라고 했다.


대식가(大食家)이자 대주가(大酒家) - 홍일동

 

홍일동(洪逸童, ?∼1464)은 조선전기의 문신으로 호는 마천(麻川)이다. 세조 10년(1464) 행상호군(行上護軍) 선위사(宣慰使)로 홍주에 갔다가 거기서 과음으로 죽었다. 그는 사부(詞賦)를 잘 짓고 술을 즐겨 마셨다 한다.

홍일동은 홍길동의 실제 형이라는 주장이 나오는 인물이다. 그도 그럴 것이, 홍일동은 술을 잘 마셨고 취하면 풀피리를 만들어 즐겨 불었다고 한다. 그는 엄청난 대식가로 알려져 있는데, 그가 진관사로 놀러갔을 때 떡 한 그릇, 국수 세 그릇, 밥 세 그릇, 두부, 청포 아홉 그릇을 먹고 내려오다가 산 아래서 다시 삶은 닭 두 마리, 생선국 세 그릇, 어회 한 그릇, 그리고 막걸리 40여 잔을 비워 주위 사람들이 모두 놀랐다고 한다.



술정치의 대가 - 세조

 

세조

세조(世祖, 1417~1468)는 조선 제 7대 왕으로 세종의 둘 째 아들이다. 세조는 무예에 능하고 병서에 밝았다. 세종 승하 후 왕위를 계승한 문종이 2년 3개월 만에 승하하고 12세의 어린 단종이 즉위하자 3년 만에 단종이 선위(禪位: 임금의 자리를 물려줌)하게 하고 왕위에 오른다. 중앙집권체제를 강화하고 국방력 신장에 힘쓰는 등 많은 치적을 남겼으나, 조카를 죽이고 왕위에 올랐다는 이유로 많은 저항을 받았다.

세조는 신하들과 술자리를 자주 가졌다. 이는 세조의 왕위 계승이 정당하지 못한데서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세조는 왕위에 오른 초기부터 왕위에서 물러날 때까지 자주 종친이나 공신, 다른 여러 신하들에게 술자리를 마련하여 친화의 계기로 삼았다. 정치적 목적으로 술을 사용한 것이기는 하지만 그 역시 술을 좋아했기에 가능했던 일이라고 볼 수 있다. 세조가 집권하던 시절 많은 신하들이 술병에 걸려서 일찍 죽기도 했다고 한다.



한 말이 들어가는 술잔 - 손순효

 

손순효(孫舜孝, 1427~1497)는 조선시대 문인으로 옛 사람의 고사에서 삼휴(三休: 쉴 수 있는 세 가지 이유)와 사휴(四休: 자기 처지가 좋은 네 가지 이유)를 인용해 자신의 호를 칠휴거사(七休居士)라고 지었다.

성종은 손순효의 재주를 매우 사랑하여 그가 술을 자주 마시는 것을 늘 염려했다. 그래서 성종은 손순효에게 부분적인 금주령을 내렸다.

 “경은 이제부터 하루에 석 잔 이상을 마시지 말라.”라고 했다.

그 후 임금이 손순효를 불렀다. 그런데 손순효는 술에 취해 흐트러진 차림새로 나타났다. 호통을 치는 임금에게 손순효는 술을 권하는 바람에 반주로 술 석 잔을 마셨을 뿐이라고 둘러댔다. 그러나 그 잔은 한 잔에 한 말이 들어갈 정도로 큰 잔이었다.

임금은 손순효가 술에 취해 글을 쓸 수 없을 것이라고 생각하여 다른 사람을 부르려고 하였다. 그러나 손순효는 정신을 가다듬더니 한 번에 표문을 완성하였다. 이에 성종은 감탄하여 그에게 술상을 내렸다. 그리고 그가 마음껏 먹도록 허락하였다. 이에 술을 마음 놓고 마신 손순효는 너무 취하여 일어나지 못하고 그 자리에서 잠이 들어버렸다. 임금은 입고 있던 옷을 벗어 그에게 덮어주고 내전으로 들어갔다.



   
 

노여움과 슬픔을 달래준 술 - 김시습

 

김시습(金時習, 1453~1493)은 조선 전기의 학자로 호는 매월당(梅月堂)이며, 생육신의 한 사람이다. 3살 때부터 시를 지었으며 신동으로 전국에 이름을 알렸다. 그러나 김시습은 수양대군의 왕위 찬탈을 겪으며 가치관의 혼란과 인생살이에 깊은 회의를 느낀다. 그 이후, 벼슬길에 대한 꿈을 접게 된다. 김시습의 짙은 노여움과 슬픔을 달래주었던 것은 바로 술이었다. 그는 지조를 팔아 목숨을 부지했던 당시 사람들과 절개를 꺾은 변절자들을 질타하며 통렬한 풍자의 시를 지었다.

김시습의 옛 글벗 신숙주는 항상 떠돌아다니는 김시습이 걱정이 되었다. 그래서 하루는 사람을 시켜 김시습을 대취하게 만든 뒤에 그를 집으로 데려오게 하여 좋은 옷으로 갈아입히고 비단이불을 덮어 재웠다. 술에서 때어난 김시습은 깜짝 놀랐다. 그는 곧 자신이 변절자 신숙주의 집에 있음을 깨달았다. 자기에게 입혀진 좋은 옷을 보더니, 그 좋은 옷을 훌훌 벗어 던지고 집을 나섰다. 신숙주가 급히 와서는 나가는 그의 손을 잡았다.

 “이왕 온 거, 밥이라도 먹고 가게. 제발.”

그러나 김시습은 잡힌 손을 뿌리친 채 한바탕 욕설을 그에게 퍼부었다.

 “이 손 놔라 놔! 니가 입은 좋은 옷과 신발은 백성의 가죽이요, 니가 먹는 맛있는 음식은 백성의 살과 피라는 사실을 알기나 하느냐? 난 그런 것에 조금도 미련이 없다. 너나 백성의 가죽과 피를 먹고 배불리 살아라!”

이처럼 조정 대신들 치고 길거리에서든지 집에서든지 김시습에게 한두 번 망신당하지 않는 이가 없을 정도였다. 
 


왕위와 바꾼 평생의 친구, 술 - 월산대군

월산대군(月山大君, 1454∼1488)의 본명은 이정(李정), 호는 풍월정(風月亭)이다. 조선 전기의 종실로 성종의 형이다. 사실상 왕위계승권을 성종에게 넘겨준 월산대군은 이후 현실을 떠나 자연 속에 은둔하여 조용히 여생을 보냈다. 후에 양화도 북쪽 언덕에 망원정(望遠亭)을 짓고 서적을 쌓아둔 채 시문을 읊으면서 풍류 넘치는 생활을 한다. 그의 시는 중국에서도 널리 애송되었다.

성품은 침착하고 깨끗했으며 술을 즐기며 산수를 좋아하였다. 성종의 형이었기 때문에 월산대군은 함부로 처신할 수 없었다. 그래서 자연 속에 은둔하며 조용히 사는 삶을 택할 수 밖에 없었다. 그의 시조를 보면 유유자적하고 한가로운 삶을 노래하고 있는 작품들을 찾아볼 수가 있는데 이것은 역으로 그가 외로운 삶을 살고 있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이러한 가운데 그의 벗이 되어 준 것이 술이었다. 그가 쓴 술에 관한 시조가 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창밖에 국화를 심고 국화 밑에 술을 빚어 놓니

술 익자 국화 피자 벗님오자 달이 솟네

아희야 거문고 청처라 밤새도록 놀아보리라.

유유자적한 그의 면모를 잘 보여주는 시조다. 그러나 왕위를 동생에게 내주고 은둔해야 했던 심정을 월산대군 외에 또 누가 알 수 있겠는가. 그러나 술이 월산대군의 마음을 달래주는 친구요, 위로였음은 자명한 일이다.



 
 

국화와의 대작 - 신용개

신용개(申用漑, 1463∼1519)는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신숙주의 손자이다. 신용개는 글재주가 남달리 뛰어나 성종의 총애를 받았으며, 성품이 호탕하고 술을 좋아했다고 한다. 때로는 늙은 계집종을 불러 서로 큰 잔을 기울여 취하여 쓰러져야 그만두기도 하였다.

국화를 좋아해, 여덟 분(盆)을 길렀는데, 하루는 그가 집안 사람들에게 말하였다.

“오늘은 좋은 손님 여덟 분이 오실 것이니 술과 안주를 마련해 놓고 기다리라.”

그러나 해가 저물어 가는데도 손님은 오지 않았다. 이윽고 밤이 됐고, 달이 떠오르자 국화의 꽃빛과 달빛이 흐드러져 희고 깨끗하였다. 그제서야 그는 술을 내오라 이르고, 여덟 개의 국화 분을 가리키며 말하였다.

“이것이 내 좋은 손님들이다.” 

하고는 화분마다 각각 두 잔씩을 따라 주고 끝냈는데, 신용개도 또한 취하였다.



기생의 소매 자락에 시를 쓴 사대부 - 강혼

 

강혼(姜渾, 1464~1519)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도량이 크고, 작은 일에 거리낌이 없는 호방한 사람으로 특히 시문에 능한 풍류객이었다.

강혼은 젊은 시절 진주에서 살았다. 관직에 나아가지도 못한 때였지만, 그는 진주의 관기와 사랑에 빠졌다. 그런데 기녀가 진주목사의 수청을 들어야만 하는 처지가 되었다. 관기의 신분으로 관의 명령을 거절 할 수는 없는 노릇이었다. 수청을 들러 가는 기생을 보며, 강혼은 그 기녀의 소매에 시 한수를 적어 준다. 미처 옷을 갈아입을 새도 없이 기녀는 진주목사에게 갔다. 그런데, 기녀의 소맷자락에 쓰인 시를 발견한 진주목사가, 이 글을 지은 사람을 빨리 찾아오라며 엄명을 내렸다. 모두들 진주목사가 강혼에게 큰 벌을 내리리라 여겼다. 그러나 진주목사는 불려온 강혼에게 오히려 술상을 대접했다. 목사는 강혼에게 글이 매우 좋으니 좀 더 공부하여 과거를 보고 벼슬에 나아갈 것을 권고했다. 좋은 시를 알아보는 진주목사의 혜안 덕에, 강혼은 진주기생과의 인연을 이후에도 지켜나갈 수 있었다고 한다.


파격의 주선(酒仙) - 연산군


 

연산군(燕山君, 1476~1506)은 성종의 맏아들로 조선조 제 10대 왕이다. 재위 초기에는 큰 문제가 없었으나 생모인 폐비 윤씨의 죽음을 알고 자기 손으로 두 후궁을 죽이고, 또 조모인 인수대비를 구타하기도 하며 윤씨가 폐비가 되는데 찬성한 사람들 수 십 명을 죽였다.   또한 각 도마다 채홍사(採紅使), 채청사(採靑使)를 파견해서 아름다운 여인과 좋은 말을 구해 오게 해, 춤과 술과 노래를 즐겼다. 미녀라면 다른 사람의 아내를 뺏는 일도 서슴지 않았고, 성균관의 학생들을 쫓아내 그곳을 놀이터로 삼기도 했다. 결국 중종반정(1506)으로  폐왕이 되며 연산군으로 강봉되고 그 해 병으로 죽었다.

연산군은 폭군이라 불리운다. 자신의 퇴폐와 향락 때문에 스스로 멸망의 길로 들어섰다고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혹자는 연산군을 파격적인 주선이라고도 한다.



권력이 두렵지 않은 주당 - 박은

 

박은(朴誾, 1479∼1504)은 조선 중기의 시인이자 학자로 호는 읍취헌(읍翠軒)이다. 15세에 이미 문장이 능하여 그를 기특하게 여긴 대제학 신용개(申用漑)가 사위로 삼았다고 전해진다.

박은은 당대를 주름잡던 권력자 남곤과 친분이 있었다. 그는 이색과 함께 늘 술을 들고 남곤의 집을 찾아가 이야기를 나누곤 했다. 그러나 남곤이 벼슬길에 오른 후에는 그를 만나기가 무척 어려워졌다. 어느 날 박은이 남곤의 집에 갔다가 역시나 남곤을 만나지 못하고 돌아오는 길이었다. 남곤의 집 뒤에는 바위가 하나 있었는데, 박은은 그 바위를 만나기 어려운 남곤에 빗대 대은암(大隱岩·크게 숨어있는 바위)이라 불렀다. 또한 그 밑을 흐르는 시내를 만 리 밖에 있는 여울과 같다는 뜻으로 만리뢰(萬里瀨)라고 명명했다고 한다. 풍류객다운 호기이다.


 

 

죽음의 이유 - 유운

 

유운(柳雲, 1485∼1528)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호는 항재(恒齋), 성재(醒齋)이다. 연산군 10년(1504) 과거에 급제하여 후에 충청도 관찰사가 되었으나 정사를 돌보지 않고 기생들과 술만 마신다고 탄핵을 받아 동지중추부사로 전직되었다. 기묘사화 때 남곤에 의하여 대사헌이 되었으나 조광조(趙光祖)를 구원하려다가 파직 당했다.

 

주당은 술을 즐기는 사람이지만 술에 빠져 살다보면 자신의 책임을 잊어버리게 되는 경우도 종종 생긴다. 유운이 바로 그러한 경우인데 그는 정사를 돌보지 않고 기생과 술을 많이 마셨다는 이유로 탄핵될 정도였으니 그 정도가 심했던 것으로 보인다. 유운은 파직 당한 후 향리에 묻혀 살았는데 술로 자신의 울분을 달래다가 죽었다고 한다. 야담에서는 그가  술을 먹고 배가 터져 죽었다고 전한다.

 

거칠 것 없는 호기 - 윤결

 

「시정기(時政記)」 필화사건으로 참형된 안명세(安名世, 1518~1548)를 술자리에서 변명한 것이 계기가 되어 국문을 받다가 죽었다.

 

윤결은 성격이 고결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그는 호를 취부(醉夫: 취한 사나이)로 지을 만큼 술을 좋아하였다. 술에 취하여서도 그는 언제나 자기가 할 말은 다 했다.

 

문정황후 수렴청정 시절 진복창이 득세할 때의 일이다. 한번은 진복창이 주최하는 연회에 어쩔 수 없이 참석하게 될 일이 있었다. 그 자리가 탐탁치 않았던 윤결은 술을 연거푸 마시고 진복창에게 토해버렸다. 후에 다른 사람이 그 이유를 물으니 ‘간악한 자가 준 술을 어찌 뱃속에 담아 둘 수 있겠느냐'고 대답했다고 한다. 

 

 

천하의 풍류 가객 - 정철

 

정철(鄭澈, 1536~1593)은 조선 중기의 문인이자 시인으로 호는 송강(松江)이다. 당대 가사문학의 대가로서 시조의 고산(孤山) 윤선도(尹善道)와 함께 한국 시가의 쌍벽으로 불린다. 그의 빼어난 산문과 절편의 시들은 그가 술과 함께 했기 때문에 나올 수 있었는지도 모른다. 그가 지은 권주가 「장진주사(將進酒辭)」는 400년의 세월을 넘어 지금까지 많은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리며 사랑을 받고 있다.

 

 

 

( 한 잔 먹어 보세 또 한 잔 먹어 보세. 꽃 꺾어 셈을 하면서 한없이 먹어 보세 그려. 이 몸 죽은 후면 지게 위에 거적을 덮어 꽁꽁 졸라매어져서 가거나 호화로운 상여에 만인이 울면서 따라가거나, 억새풀과 속새와 떡갈나무와 백양나무 숲에 가기만 곧 가면, 누런 해, 흰 달, 가는 비, 함박눈, 음산한 바람이 불 때 누가 한 잔 먹자고 할 것 같은가. 하물며 무덤 위에 잿빛 원숭이가 휘파람을 불때, 뉘우친들 무엇하리)

 

장진주사는 인생이 덧없음을 이야기하면서, 죽고 나서 후회하면 아무 소용이 없으니 젊을 때 술을 마시며 즐기자 라는 내용의 사설시조이다.

 

파격의 명문장가 - 임제

 

임제(林悌, 1549~1587)는 조선 중기의 문인이자 시인으로 호는 백호(白湖), 겸재(謙齋)이다. 임제는 성격이 강직하고 고집이 세며, 아부하지 않는 천성으로 인해 벼슬 운은 없었다고 한다. 당시 조정의 당파 싸움에 개탄하며 벼슬길에 물러난 임제는 명산을 찾아 시문을 즐기며 호방하게 여생을 보냈다. 벼슬에 뜻을 두지 않고 시와 술로 울분을 삭혔다. 임제는 당대 명문장가로 명성을 떨쳤다. 또한 기녀들과의 사랑, 그리고 양반사대부로서는 어울리지 않는 파격적인 행동으로 세상에 알려지기도 했다. 죽을 때 자신을 위한 곡을 하지 말라는 유언을 했다고 한다. 평안감사로 임명을 받은 후, 개성의 황진이 묘에 들러 시 한 수를 읊고 술을 부어주었다는 이유로 파직당한 이야기는 유명하다.

 

불세출의 여인 - 황진이

 

황진이(黃眞伊, ?-?)는 조선시대의 명기이다. 본명은 진(眞) 기명은 명월(明月)이다. 황진이는 미모가 뛰어났을 뿐만 아니라 가창력도 높은 평가를 받았다. 그리고 서사(書史)에도 정통하고 시가에도 능하였다고 전해진다. 또한 자존심도 강하여 그녀가 당시 10년 동안 수도에 정진하여 생불(生佛)이라 불리던 천마산 지족암의 지족선사(知足禪師)를 유혹하여 파계시킨 일, 화담 서경덕을 유혹하려다 실패한 뒤 사제관계를 맺었다는 이야기는 아주 유명하다. 또한 당대의 일류 명사들과 정을 나누고 벽계수(碧溪守)와 깊은 애정을 나누었으며 글을 통하여 독특한 애정관(愛情觀)을 드러내기도 했다. 기녀라는 독특한 직업 속에 술이 빠질 수는 없을 것이다. 또한 그녀의 작품들은 술과 더불어 사는 풍류적이고 낭만적인 삶 가운데서 지어진 것이다.

 

시와 술로 한 평생을 삼은 주당 - 권필

 

권필(權齬, 1569∼1612)은 조선 중기의 시인으로 호는 석주(石洲)이다. 한문소설 [주생전]의 저자이기도 하다. 그는 시를 짓는 재주가 뛰어났으며 시 속에 자기성찰을 통한 울분과 갈등을 토로하기도 하였으며 잘못된 사회상을 비판, 풍자하기도 하였다. 선조 20년(1587)에 장원급제를 했지만 임금에게 거슬리는 글자가 있어 과거에서 떨어졌다. 권필은 그 이후로는 다시 과거에 응시하지 않았다. 광해군 4년(1612) 「궁류시(宮柳詩)」를 지어 척족(戚族)들의 잘못된 행실을 풍자하였는데 그것이 광해군에게 발각되어 해남으로 귀양을 가게 되었다. 귀양 떠나는 날, 장독이 퍼지고 거기다가 행인들이 동정으로 주는 술을 과음하여 이튿날 동대문 밖에서 죽었다.

 

권필은 「희제(戱題)」라는 시에서,

 

  시는 고민 걷어가기에 붓을 잡았고

  술은 가슴 적셔주기에 잔을 들었지

 

라고 노래하고 있다.

 

어지러운 세상 속에서 자신의 한과 분을 달래는 것은 시와 술 밖에 없다는 그의 심정을 잘 드러내고 있다. 또 다른 그의 시를 보면 채워지지 않는 마음의 허전함을 술로 달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사람을 만나 술을 찾으면 술이 없더니 / 逢人覓酒酒難致

  술을 두고 님 그리면 오지를 않네 / 對酒懷人人不來

  평생 내 몸의 일이 매일 이러하니 / 百秊身事每如此

  크게 웃고 홀로 서너 잔 술을 기울이네 / 大笑獨傾三四杯

 

안빈낙도의 표상 - 윤선도

 

윤선도(尹善道, 1587∼1671)는 조선 중기 문신이자 시인으로 자는 약이(約而), 호는 고산(孤山), 해옹(海翁)이다. 윤선도는 정철·박인로와 함께 조선시대 3대 가인으로 불린다.

윤선도는 조선 중기 정치 권력 면에서 약한 남인 출신이었다. 그래서 오랜 은거 생활과 유배생활을 겪을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오히려 그 기간을 통해 수많은 한시와 시조작품을 창작할 수 있었다. 그는 보길도에서 은거하며 자연 속에서 풍류를 즐기며 술과 시로 세상을 살았다고 한다.

윤선도는 그가 지은 낙서재에서 자제들에게 글을 가르치다가 날씨가 좋은 날이면 반드시 세연정으로 나왔다고 한다. 그리고 노비들에게 술과 안주를 마차에 가득 싣게 하고 기생들을 거느리고 나와 술을 한 잔 걸치고서는 어부사시사를 노래 부르게 했다. 또한 남쪽 산중턱에 있는 자연암석의 옥소대 위에서 채색옷을 입힌 기녀에게 풍악을 연주하고 춤을 추게 하여 연못에 그 그림자가 드리우는 것을 감상하기도 했다. 유배생활이라고는 하지만, 상당히 사치스러운 삶이었다. 경제적으로 쪼들리지 않았던 탓인지, 그의 술사랑에는 기행이나 파격이 뒤따르지 않았다.

 

품격 높은 주당 - 송민고

 

송민고(宋民古, 1592~?)는 조선 중기의 서화가로 호는 난곡(蘭谷)이다. 송민고는 삼절(三絶)로 불릴 정도로 글, 글씨, 그림이 뛰어났다고 하며 특히 산수화를 잘 그린 것으로 유명하다. 작품에 「산수도(山水圖)」가 있고 문집에 『난곡집(蘭谷集)』이 있다. 그는 일찍이 과거를 포기했다. 그 후 평생을 은거하며 살았다고 전해진다.

송민고는 혼란한 정치판에 뛰어 들기를 거부하고 스스로 자연에 은거하며 살았다. 그런 그의 벗이 되어 준 것이 바로 술이었다. 그 중 조속(趙涑, 1595~1668)과의 일화가 야담에 전한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창강 조속이 전라북도 임피의 수령이 되어 부임하자, 난곡 송민고가 한산에서 조속을 찾아왔다. 조속은 그를 매우 반가워하며 술상을 차려 대접했다. 많은 술잔이 오고가고 송민고는 만취하여 쓰러져 거의 인사불성이 되었다. 조속은 즉시 관아에 있는 말에 태워 송민고를 서재로 보내고 그 뒤를 따라갔다. 송민고는 말에서 내려 서재에 쓰러져서는 눈을 부릅뜨고 조속을 바라보며 말하였다. “내 시를 다 지었네.” 하고는 낭랑하게 다음과 같이 읊었다.


무더위에 정신없이 흠뻑 취하니,        / 昏昏욕暑醉如泥

바람결에 송별가가 벽제관에 흩어지네.  / 送客風驪散碧蹄

관로의 역정이 꿈에서처럼 지나가니,    / 官路驛亭如夢過

몸이 이미 작은 다리 서쪽에 이른 것도 몰랐네 / 不知身已小橋西


조선시대 사대부에게 시작(詩作)은 너무나 일상적인 일이었다. 그러나 대취한 가운데서도 아름다운 시를 막힘없이 지을 수 있었던 송민고의 재능은 400여년이 지난 오늘도 빛나고 있다. 더욱이 술을 마음껏 즐기면서도 시인으로서의 품격을 잃지 않은 그는, 술에 끌려 다니면서도 주당이라 자처하는 세인들에게 ‘진정한 주당이란 무엇인가?'라는 화두를 던져주고 있다.

 

반드시 취해야 붓을 잡는 화가 - 김명국

 

김명국(金明國, 1600∼?)은 조선 중기의 화가로 일명 김명국(金鳴國), 김명국(金命國)으로도 알려져 있다. 호는 연담(蓮潭), 취옹(醉翁)이다.

김명국은 의기가 장하여 작은 일에 거리낌이 없는 호방한 성격으로 해학에 능했다. 그의 호 가운데 하나가 취옹(醉翁: 취한 늙은이)일 만큼 술을 좋아했다. 주당으로 알려진 화가들이 그렇듯이, 그림을 그릴 때는 반드시 술이 있어야 했다. 그래서 다른 사람이 그림을 그려달라고 부탁을 하면 술이 있는지 없는지부터 따졌다고 한다. 그리고 술에 취한 후에야 그림그리는 일에 몰두할 수 있었다고 한다. 이를 지켜본 많은 사람들도 술에 취한 후 그림을 그려야만 그의 재능이 다 발휘 된다고 말했다. 어떤 역사학자는 “김명국은 술에 취하지 않으면 그 재주가 다 나오질 않았고 또 술에 만취하면 만취해서 제대로 잘 그릴 수가 없었다”고 말하기도 했다. 취해야 그림을 그리고 또 너무 취해 그림을 그릴 수가 없었다니 참으로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 김명국이 그린 그림의 대부분은 술에 취하여 그려진 것이라고 한다. 그래서 그런지 그의 그림은 대부분 술에 취해 재빨리 그려낸 듯한, 굳세고 거친 필법으로 그려져 있다.

 

그 아버지에 그 아들 - 민정중

 

민정중(閔鼎重, 1628∼1692)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호는 노봉(老峯)이다.

인조 26년(1648)에 진사시에 합격하여 벼슬길에 올랐다. 직언을 잘 하여 사간원정언·사간에 제수되었고 사헌부집의 등을 지냈다.

 

민정중은 그 아우인 민유중과 우애가 매우 돈독했다고 한다. 두 형제는 술을 매우 즐겨 마셨는데 이에 아버지 민광훈이 그들에게 금주령을 내릴 정도였다. 그에 관한 일화가 야담 『동패락송』 에 나와 있다.

민정중과 민유중 두 형제의 아버지가 강원도 관찰사로 가 있을 때의 일이다. 민정중 형제도 근친(近親: 멀리 있는 보모를 찾아가 뵘)을 하러 강원도에 와 있었는데, 거기 머물면서 형제는 기쁜 소식을 들었다. 형인 민정중은 승지에 임명되었다는 어명을 받았고, 아우인 문유중은 부제학에 임명되었다는 것이다. 경사가 아닐 수 없었다. 아버지의 금주령도 그날만큼은 느슨해졌다. 형제는 아버지의 허락을 얻어 술을 마셨고, 흠씬 취하게 됐다. 더는 마실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는데도 연달아 술을 가져오라고 하자, 하인이 관찰사의 분부라면서 더는 가져올 수 없다고 말했다. 그러자 민정중이 취중에 크게 호통을 쳤다.

“너희 사또 나리의 접대가 어찌 이 모양이냐?”

사또라 하면, 곧 자신의 아버지를 가리키는데, 민정중은 너무 취해 자신의 아버지를 험담한 꼴이 된 것이다. 후에, 술이 깬 두 형제는 실언을 한 것에 크게 놀라 문 밖에 거적 자리를 깔고 처벌을 기다렸다. 그러나 관찰사는 웃으며 꾸짖지 않았다고 한다.

 

달관에 이른 주당 - 김창업

 

김창업(金昌業, 1658∼1721)은 조선 후기의 문인이자 화가로 자는 대유(大有), 호는 가재(稼齋), 노가재(老稼齋)이다. 숙종 7년(1681) 진사가 되었으나 관직에 나아가지 않고 한양의 동교(東郊) 송계(松溪)에 은거하며 전원생활을 하였다. 스스로를 노가재라 부르며 향리에서 거문고와 시 짓기를 즐기면서 사냥으로 낙을 삼았다.

김창업이 술을 좋아하였다는 것은 그가 지은 시조를 보면 잘 알 수 있다.


벼슬을 저마다 하면 農夫(농부)하리 뉘 이시며

醫員(의원)이 病(병) 다 고치면 北邙山(북망산)이 져려 하랴

아히야 盞(잔) 가득 부어라 내 뜻대로 하리라. 


여러 번 벼슬을 할 기회가 있었지만 이를 마다하고 자연 속에 묻혀 살기를 원했던 김창업의 옆에는 항상 술이 있었다. 자신은 술을 먹으며 뜻대로 살아보겠다는, 소박한 소망이 담겨 있다. 술에 관해서는 달관에 이른 듯한 김창업의 소견은 다음 시에서도 나타난다.


거문고에 술대를 꽃아 놓고 호젓이 낮잠이 들었는데,

삽작문 개 짖는 소리에 반가운 벗이 찾아오는구나.

아이야! 점심 겸해서 마실 테니 외상으로 막걸리 상이나 차려오너라


이 시조 역시 자신을 찾아온 친구에게 술상을 대접하려는 김창업의 소박한 마음을 짐작할 수 있게 한다.

 

스스로 눈을 찌른 화가 - 최북

 

최북(崔北, ?-?)은 조선 숙종·경종·영조 시대의 화가이다.원래 이름은 최식(崔埴)이나 스스로 이름을 최북(崔北)이라고 개명 하였다. 붓(毫)으로 먹고 사는(生) 사람이라는 뜻으로 호생관(毫生館)이라는 호를 지었으며, 자신의 이름인 북(北)자를 둘로 나누어 최칠칠(崔七七)이라고 부르기도 했다. 산수화에 뛰어났으며 대담하고도 파격적인 자신만의 조형 양식을 이룩하여 조선 후기 회화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최북은 술을 즐겼고 그림을 팔아 가며 전국을 돌아다녔다고 전해진다. 특히 심한 술버릇과 기이한 행동으로 많은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렸는데 술에 취해 그가 벌인 행적들을 보면 과연 조선의 주당이라고 할 만하다. 최북은 하루에 5, 6되의 술을 마셨고 집안의 책과 종이로 술을 바꿔 먹어, 세간이 남아나지 않을 정도였다. 그래서 사람들은 그를 가리켜 '주광'이라 불렀다.

이른바 예술인치고 구속받기 좋아하는 사람은 아마 없었을 것이다. 최북은 뛰어난 그림 실력으로 이름을 얻지만, 조선 중기 엄격한 신분제의 구속은 일개 화원(畵員)이었던 최북의 영혼을 억누르기에 충분했다. 그림 실력으로 이름이 나자 숱한 청탁이 들어왔다. 어느 날 권문세가의 한 귀인이 찾아와 최북에게 그림을 청했다. 그런데 그것은 부탁이 아니라 명령에 가까웠다. 최북은 그 부탁을 일언지하에 거절해 버렸다. 이에 귀인은 매우 화가 났다. 천한 그림쟁이가 양반 부탁을 거절했기 때문이다. 귀인은 자신의 신분을 이용하여 최북에게 협박을 했다.

“감히 양반의 명령을 거절하느냐, 이 괘씸한 놈. 나에게 그림을 그려주지 않으면 네 심신이 편치 못할 것이다. ”

이 말을 들은 최북의 가슴에서 무엇인가가 폭발했다. 최북은 술을 진탕 마신 뒤, 문갑 위 필통에서 송곳을 꺼내서 자신의 눈을 찔러 버린다.

“남이 나를 손대기 전에 차라리 내가 나를 손대야겠다!”

그 이후, 최북은 애꾸가 되었고 늘 반 안경을 쓰고 다녔다. 그의 자존심이 어느 정도였는지 알 수 있는 대목이다.

기이한 행동과 술, 그림을 벗 삼아 한평생 살았던 최북은 어느 겨울날 술에 취해 돌아오는 길에 성벽 아래에 잠이 들어 버린다. 그리고 그 밤에 내린 폭설로 죽음을 맞게 된다.

 

‘술낚시’의 원조 - 박지원

 

박지원(朴趾源, 1737-1805)은 조선 후기의 실학자이자 소설가다. 호는 연암(燕巖)이다. 박지원은 홍대용·박제가(朴齊家) 등과 함께 청나라의 문물을 배워야 한다는 이른바 북학파(北學派)의 영수로 이용후생의 실학을 강조한 실학자이다. 『열하일기(熱河日記)』에 실린 『허생전』, 『호질』, 『양반전』 과 같은 한문소설들은 당시 양반계층의 타락상을 고발하였고 근대사회를 예견하는 새로운 인간상을 창조함으로써 문학계, 사상계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연암 박지원은 평생을 가난하게 살았다. 벼슬길에 오른 것도 만년의 일이다. 그러나 그의 집에는 항상 많은 선비들이 들끓었다. 그 손님들에게 술과 음식을 대접하는 것이 만만치가 않았다. 그래서 박지원의 아내는 손님이 올 때만 술을 마시라고 박지원에게 통사정을 했다. 집안 사정을 아는 박지원 역시 싫다는 말을 할 수가 없었다. 그래서 박지원은 언제나 술이 고팠다.

1784년(정조 8년)의 어느 날의 일이다. 지금으로 말하면 대통령 비서관인 이 승지가 입궐하는 중이었다. 진고개를 지나는데 갑자기 초라한 선비 하나가 앞을 가로 막고는 이렇게 말했다.

“영감, 누추하지만 잠깐 저희 집에 들렀다 가시지요. 바로 저깁니다.”

“...나랏일이 바빠 그럴 겨를이 없소. 그런데 당신은 도대체 뉘시오?”

그러나 그 선비는 자신이 누구인지는 밝히지 않고 임금을 모신다고 도도하게 군다느니, 담배 한 대 피우고 가라는데 비싸게 군다느니 갖은 핑계를 다 대며 놓아주지 않았다. 입씨름에 지친 이승지는 할 수 없이 그의 집안에 들어가게 되었다.

“손님 오셨으니 술상 내 오너라.”

그 선비가 안에다 대고 외쳤다. 이윽고, 막걸리 두 사발에 안주라고는 김치밖에 없는 조촐한 술상이 나왔다. 술상이 나오자 선비는 술을 권하지도 않고 자기 잔의 술을 냉큼 마시더니, 이 승지 앞에 따라 놓은 술도 가져다가 다 마셔버리는 것이 아닌가. 이승지가 기가 차서 그 선비에게 물었다.

“도대체 나를 청한 이유가 뭐요? 그리고 당신은 뉘시오?”

그 선비는 끝까지 자신이 누구인지 말하지 않았다. 오히려 이렇게 답하는 것이었다.

“영감! 달리 생각 마시오. 오늘은 영감이 내 술 낚시에 걸려들었소이다. 하하하……”

좋아하는 술을 마실 수 없게 된 박지원이 손님이 와야만 술상을 내주는 아내를 속이고자 한 일이었다.

 

(시큼하게 쉰) 술값 치른 사연 - 김병연(김삿갓)

 

김삿갓(金笠, 1807~1863)은 조선시대의 방랑시인으로 본명은 병연(炳淵)이다. 주로, 큰 삿갓을 쓰고 얼굴을 가리고 다녔기 때문에 사람들은 그를 김삿갓이라 불렀다.  폐족자(廢族子: 조상이 큰 죄를 짓고 죽어, 벼슬을 할 수 없는 자손)이기 때문에 벼슬을 할 수가 없었던 그는 20세 무렵부터 전국을 방랑하며 다니기 시작했다. 그는 바람과 구름처럼 세상을 떠도는 자유인이 되기를 갈망했다. 방랑생활 가운데 그의 위안이 되고 벗이 되는 것이 술이었다. 황오(黃五)는 녹차집(綠此集)에서 김삿갓을 평하기를 “술을 좋아하고 광분하여 익살을 즐기며 시를 잘 짓고 취하면 가끔 통곡하면서도 평생 벼슬을 하지 않는 기인”이라고 평했다.

 

김삿갓이 어느 여름날 고개를 넘다 목도 마르고 해서 주막에 들렀다. 김삿갓은 주모에게 탁주 한 사발을 청했다. 주모는 김삿갓의 초라한 행색을 보고 술값을 떼일까봐 걱정이 되었다. 그렇다고 너무 야박하게 내쫓는 것도 그렇고 해서 시큼하게 쉰 탁주를 한 사발 내 놓았다. 김삿갓은 더운 터라 탁주 한 사발을 한 모금 들이켰다. 그런데 그 맛이 시금털털하였다. 김삿갓은 주모의 마음을 알아채고는 괘씸한 생각이 들었지만 꾹 참고 탁주 값을 물었다. 주모는 탁주 값이 두 닢이라고 말했다. 그런데 김삿갓은 주모에게 네 닢을 주었다. 주모는 어리둥절해 하며, 네 닢을 준 연유를 물었다. 그러자 김삿갓이 말하기를,

“ 두 닢은 탁주 값이요, 나머지 두 닢은 초 값이요.”

 

시대를 조롱한 희대의 익살꾼 - 정수동

 

정수동(鄭壽銅)-1808~1858)은 조선 후기의 시인으로 호는 하원(夏園)이다. 본래 역관의 집안에서 출생하였으나, 생업을 돌보지 않고 방랑생활을 즐겨 늘 가난하였다. 그는 당대의 사회적 모순에 불만을 느껴 광인처럼 행동하였고, 그가 권력이나 금력을 향해 날카로운 풍자와 야유로 저항한 많은 일화가 전해진다. 그의 시는 번거로운 문장이나 허황한 형식을 배격하고, 간결한 가운데 높은 격조를 담고 있다.

정수동과 동시대를 살았던 사람들은 그를 가리켜 '기발한 익살꾼'이라 불렀다. 그는 흐르는 물과 같이 세상에 매달리지 않고 마음 가는대로 살았던 인물이다. 정수동은 돈과 벼슬에는 전혀 관심이 없었으며 술만 마시면 기이한 행동과 해학을 연출했던,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풍류객이었다. 술을 매우 즐겨 마셨으며 술 한 두 잔 마신 후면 세상을 향한 비판과 풍자의 말을 거침없이 쏟아내곤 하였다. 술을 너무나 좋아해서 죽을 때 저승에서도 외상술을 먹을 수 있을까를 고민했다고 한다.

술안주 얻어먹는 재치

정수동이 하루는 목이 칼칼하여 친구를 찾아가 술을 청했다. 주인이 곧 술상을 들여왔는데, 안주가 시원치 않았다. 정수동은 심술이 났다. 그래서 곧 주인에게 한 마디를 던졌다.

“안주 없이 어찌 술을 먹을 수 있겠나? 내가 타고 온 나귀를 잡게.”

그러자 주인이 놀라며 물었다.

“아니, 자네 갈 적엔 뭘 타고 가려나?”

“저 뜰에 노니는 닭을 타고 가지.”

그 주인은 닭을 잡지 않을 수가 없었다.

 

파락호(破落戶)시절의 기억 - 흥선대원군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1820~1898)은 고종의 아버지로 본명은 이하응(李昰應)이고 호는 석파(石坡)이다. 흥선대원군이 대권을 잡기 이전, 그는 안동김씨의 세력을 의식하여 일부러 자신을 파락호(破落戶)로 위장한다. 그는 세도가들의 잔치집이나 연회에 일부러 찾아가 술을 얻어 마시고 추태를 부리기도 하여 자신의 존재감을 한껏 낮추었다. 혹시라도 종친에게 품을 수 있는 한 가닥 의심을 없애려는 의도에서였다. 대원군이 상가 집을 찾아다니며 술을 얻어 마시고 주정을 하기도 하였으므로 사람들은 그를 가리켜 ‘상갓 집의 개'라고 부르기도 했다. 또 양반의 신분으로, 보잘 것 없는 건달이나 잡인들과 어울려 술을 마시는 것도 주저하지 않았으며 노름판에 끼어들어 노름을 한 적도 부지기수였다. 흥선대원군은 어떤 때는 술값이 모자라 자신의 난초 그림을 팔기도 하는 등 거의 젊은 시절을 술독에 빠져 살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그러는 가운데서도 자신의 야망을 잊지 않고 술자리를 통해 민심을 살피고 세도가의 정보를 입수하기도 하였다.

술자리에서 만난 사람을 기용한 흥선대원군  

흥선대원군은 젊은 시절, 춘홍이라는 기생집에 자주 드나들었다. 그날도 거기서 술을 마시는데 우연히 옆자리에 있던 군금별장 이장렴(李章廉)이 시비 끝에 그의 뺨을 치며, "나라의 종친이 기생집에서 외상술이나 먹느냐?" 고 호통을 쳤다. 이 일을 기억한 대원군은 정권을 잡은 후 그를 불렀다."지금도 내 뺨을 때릴 수 있겠느냐?" 이장렴은 기죽지 않고 당당하게 "대원군께서 예전에 기생집에 드나들 때처럼 행동을 하신다면 다시 뺨을 때릴 수밖에 없습니다."라고 대답하였다. 그러자 흥선대원군은 훌륭한 인재를 얻게 되었다며 기뻐하며 그에게 술상을 대접했다.

 

술과 여자가 없으면 그림을 그리지 않았던 화가 - 장승업

 

장승업(張承業, 1843~1897)은 안견, 김홍도와 더불어 조선의 3대 화가로 불린다. 호는 오원(吾園)이다. 화원(畵員)을 지내고 벼슬은 감찰(監察)에 이르렀다. 고아로 자라 어려서 남의 집살이를 하면서 주인 아들의 어깨너머로 그림을 배웠다.

 

장승업은 취명거사(醉暝居士)라는 별호를 가지고 있다.

그는 그림을 그릴 때 술이 없으면 그림을 그리지 않았다고 전해진다.

 

예술적 영감을 북돋아주는 매개가 바로 술이었던 것이다. 그는 어딘가 매여 있는 것을 싫어해서, 임금이 궁궐로 와 그림을 그리게 하면 견디지 못하고 도망쳤을 정도이다. 또 결혼을 했지만 부인과 단 하룻밤을 보낸 후, 다시 방랑생활을 시작했다고 한다. 술을 목숨처럼 좋아해서 그림을 그리고 받은 돈은 주막에서 술 먹는데 다 허비하였다. 그에게서 그림을 얻고자 하는 사람들의 사랑방과 술집이 바로 그의 집이었다. 세상에 널린 집들을 전전하며 장승업은 뜬구름 같은 일생을 보냈다. 특히 그림을 그릴 때 고운 여인네에게 술병을 들리고 술을 따르게 하여야 신이 나서 그림을 그렸다고 한다. 장승업의 생애는 영화화되기도 했다.


- 고운 여인 옆에서 그림을 그리다


장승업의 그림을 얻기 위해 어느 귀인이 그를 자기 집 사랑으로 불러들였다. 그리고 좋아하는 술을 줄 터이니 그림을 그려달라고 부탁했다. 그러마고 약속한 장승업은, 술만 마실 뿐 그림 그리는 일을 차일피일 미루었다. 보다 못한 집 주인이 하루는 동네의 예쁜 기생을 데리고 왔다.

“네가 가서 승업이가 그림을 그릴 수 있도록 말을 해 보아라.”

이 명을 받은 기생은 장승업에게 술을 따르며 그림 그리기를 종용했다. 이에 신이 난 장승업은 그 여인이 따라 준 술을 마시며 한 폭의 훌륭한 그림을  완성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전체 [ 1 ]

1   작성자 : 나더러 어쩌라고
날자:2015-05-12 19:36:44
술 한잔만 주오
술 없어서 지금
이렇게 댓글 또한 제대로 달지 못하오
술과 담배와 여인과 시만 있다면...
Total : 311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93 풍자시 한 둬어 토리... 2015-04-27 0 5156
192 술과 문화예술인들... 2015-04-26 0 5071
191 주당(酒黨)들 이야기 2015-04-26 0 5652
190 주도 18 2015-04-26 0 4400
189 알쏭달쏭 새끼고기 이름 2015-04-26 0 5413
188 동물들 이름 어원 2015-04-26 1 4639
187 재미있는 새끼동물의 이름 2015-04-26 0 5899
186 묘비명 모음 2015-04-26 1 8364
185 80년 반입 금지령 내려졌던 책 2015-04-25 0 4730
184 지구상에서 유령이 가장 많이 사는 도시 2015-04-25 0 4463
183 語錄 2015-04-23 0 6820
182 마음속에 새겨야 할 어록들-- 2015-04-23 0 5846
181 진달래(참꽃, 천지꽃)와 철쭉(수달래)의 차이점 2015-04-23 0 5290
180 진달래와 철쭉의 차이점 2015-04-23 0 5430
179 삶의 원칙 200가지 2015-04-20 0 5495
178 서로서로 혼돈하기 쉬운 명사 2015-04-20 0 4443
177 고대 그리스 비극시인 - 소포클레스 2015-04-19 0 7315
176 폭탄주 제2탄 2015-04-19 0 4465
175 폭탄주 유래 / 종류 2015-04-19 0 4988
174 맥주컵 종류 2015-04-19 0 7570
173 잡타령 모음 2015-04-19 0 5871
172 술타령 모음 2015-04-19 0 4967
171 形而上學(사회과학부문) / 形而下學(자연과학부문) 2015-04-14 0 5698
170 화투 48장의 뜻과 그 유래 2015-04-12 0 6561
169 세계맥주 2015-04-09 0 4861
168 명언 100 2015-04-09 0 6074
167 공자 명언 2015-04-09 0 5421
166 不可思議한것들 2015-04-08 1 4423
165 하드보일드 문체 2015-04-08 0 6189
164 서서 글쓰기... 2015-04-07 0 6216
163 고양이는 고양이... 2015-04-07 0 4367
162 ''촌철살인의 대가'' - 오스카 와일드 2015-04-07 0 5667
161 마누라 2015-04-07 0 4406
160 옛날엔 그래 그랬지... 2015-04-05 0 5029
159 죽기전에 꼭 한번 가봐야 할 곳 모음 2015-04-05 0 6968
158 와인, 나와 얼쑤~ 놀아보쟈... 2015-04-05 0 8207
157 책 초판본 보물 사냥꾼 - (영국) 릭 게코스키 2015-04-05 0 5306
156 안중근을 흠모하다 2015-04-04 0 4903
155 안중근 / 유묵 2015-04-04 0 4786
154 안중근 권총 보관함 2015-04-04 0 6645
‹처음  이전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