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시쓰기 네가지 류형
2015년 05월 13일 22시 08분  조회:4290  추천:0  작성자: 죽림

  시 쓰기의 네 가지 유형

    —오세영 시집 표4의 글

 

 

 

 

 

 

   다음은 최근에 출간한 오세영 시집 『바람의 아들들』표4의 글입니다. 깊이 새겨 음미해 볼 내용입니다. 특히 신기(新奇)와 효빈(效顰)의 유행에 민감한 요즘의 신진들에게는 마음에 깊이 새겨야 할 지표가 될 만한 내용입니다.

 

 

 

      산문 역시 마찬가지이지만, 시 쓰기에도 네 가지 유형이 있지 않을까 한다.

 

      첫째 쉬운 내용을 쉽게 쓴 시.

      둘째 쉬운 내용을 어렵게 쓴 시.

      셋째 어려운 내용을 어렵게 쓴 시.

      넷째 어려운 내용을 쉽게 쓴 시.

 

 

      첫째는 산문의 수준에 머물러 있어 아직 유치한 단계이다.

      둘째는 능력 부족이거나 남을 속이려는 자의 작품이다.

      셋째는 자기도 모르는 것을 쓴 것이니 의욕은 과하나 머리가 아둔한 경우이다.

      넷째는 시에 대해 나름으로 달관한 경지에 든 시인의 작품이다.

 

      그렇다면 독자들이여, 어떤 시가 훌륭한 시인지 분명치 않은가?

                                                                                                     __ 오세영

 

 

 

    과연 그렇습니다. 나는 시인과 독자의 관계를, 꼭 들어맞는다고 하기는 어렵지만 교사와 학생으로 비유해 보고 싶습니다. 다음은 내 37년 간의 고등학교 교직생활을 통하여 얻은 깨달음입니다. 교사인 내가 확실하고 분명히 아는 단원에 대해서는 학생들에게 매우 쉽고 즐겁게 가르쳐 줄 수가 있었습니다. 그러나 교사인 내가 어렵게 깨친 단원에 대해서는 아무래도 학생들에게도 어렵게 가르쳐 주고 만 것 같았습니다. 어쩌면 학생들이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만 경우도 많았을 것입니다.

   그러므로 시 속에 들어있는 중요한 가치나 내용 혹은 정서가 어떻게 독자의 마음에 가닿아야 할 것인지를 우리 시인들은 그와 같이 미루어 짐작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시의 문장 하나하나 그 자체가 무슨 말인지 그것을 쓴 시인 자신조차도 분명하게 설명할 수 없다면 그것은 아예 시가 아닙니다. 그렇게 외계(外界)의 언어로 쓰는 것이 그 시인의 필연일 수밖에 없다면, 그는 시인이 아니라 가엾은 정신분열자이거나 아마도 초월적인 존재 즉 주술사일 것입니다. 그는 제 정신이 들었을 때에는 평소와 달리 신기(神氣)에 접해서 자기 입으로 내뱉은 바를 본인 스스로도 왜 그렇게 말했는지 도저히 알지 못합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63 시인 - 허옥진 2015-03-08 0 5868
162 시인 - 주향숙 2015-03-08 0 4407
161 시인 - 김영춘 2015-03-08 0 4598
160 시창작의 1, 2 , 3. ㅡ 석화 2015-03-08 0 4406
159 시인 - 송미자 2015-03-08 0 5070
158 시인 - 김경희 2015-03-08 0 5006
157 시인 - 리순옥 2015-03-08 0 5664
156 시인 - 최기자 2015-03-08 0 4564
155 시인 - 석화 2015-03-08 0 5549
154 시인 - 김응룡 2015-03-08 0 5177
153 시인 - 김학송 2015-03-08 0 4489
152 시인 - 김영건 2015-03-08 0 4638
151 동시인 - 림금산 2015-03-08 0 4745
150 시인 - 리임원 2015-03-08 0 4704
149 시인 - 윤청남 2015-03-08 0 4623
148 시인 - 김파 2015-03-08 0 4574
147 시인 - 강효삼 2015-03-08 0 4387
146 명시인 - 괴테 2015-03-07 0 5025
145 보들레르 시 표절작? 2015-03-07 1 5006
144 명시인 - 랭보 2015-03-07 1 5503
143 서구 현대시 시조 - 보들레르 2015-03-07 0 4659
142 노별상 수상 거부자들과 그 리유 2015-03-05 0 4650
141 력대 노벨문학상 수상작 목록 2015-03-05 0 5285
140 러시아 시인 - 조지프 브로드스키 2015-03-05 0 4715
139 민족시인 7위 분향단 2015-03-05 0 5032
138 아동문학가 - 고 윤정석 2015-03-05 0 5209
137 시인 - 박장길 2015-03-05 0 4418
136 윤동주 미발표 시 더 있다... 2015-03-05 0 9959
135 시인 - 김동진 2015-03-05 0 4933
134 스웨덴 시인 - 토마스 트란스트뢰메르 2015-03-05 0 4768
133 윤동주 생가 2015-03-05 0 5116
132 시인 - 김철호 2015-03-05 0 4716
131 동시인 - 한석윤 2015-03-05 0 4815
130 시인 - 고 한춘 2015-03-05 0 5002
129 시인 - 심련수 2015-03-05 0 4475
128 음악가 - 정률성 2015-03-05 1 4949
127 시인 - 고 리삼월 2015-03-05 0 4514
126 룡정 윤동주연구회 "룡두레" 문화총서 출간 2015-03-04 1 4912
125 고독과 시인과 시 2015-03-04 0 5135
124 묘비명 - 자유 2015-03-04 0 4916
‹처음  이전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