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6월 2024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29
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시인 지구촌

현대詩史에 수많은 활구(活句)를 낳다...
2016년 01월 09일 04시 39분  조회:3813  추천:0  작성자: 죽림
 

 서정주 ‘冬天(동천)’
 

 
 
 

 

 

내 마음 속 우리님의 고은 눈썹을 

즈믄 밤의 꿈으로 맑게 씻어서 

하늘에다 옮기어 심어 놨더니 

동지 섣달 나르는 매서운 새가 

그걸 알고 시늉하며 비끼어 가네 
 
-----------------------------------------------------------------------
 
 
 
겨울 밤하늘을 올려 본다. 얼음에 맨살이 달라붙듯 차갑고 이빨은 시리다. 문득 궁금해진다. 미당(未堂) 서정주 시인은 왜 한천(寒天)에 사랑의 일과 사랑의 언약과 사랑의 얼굴을 심어 두었을까. 손바닥으로 쓸어보아도 온기라고는 하나 없는 그곳에 왜 하필 사랑을 심어 두었을까. 매서운 새조차 ‘비끼어 가’는 사랑의 결기를 심어 두었을까. 

생심(生心)에 대해 문득 생각해본다. 처음으로 마음이 생겨나는 순간을 생각해본다. 무구한 처음을, 손이 타지 않아서 때가 묻지 않은 처음을. 부패와 작파가 없는 처음을. 신성한 처음을. 미당이 한천을 염두에 둔 것은 처음의 사랑과 처음의 연민과 처음의 대비와 처음의 그 생심이 지속되기를 바랐기 때문은 아니었을까. ‘심어 놨’다고 한 까닭도 생심 때문이 아니었을까. 심는다는 것은 생육(生育)한다는 것 아닌가. 여리디 여린 것, 겨우 자리 잡은 것, 막 숨결을 얻은 것, 젖니 같은 것 이런 것이 말하자면 처음이요, 생양해야 할 것들 아닌가. 미당은 초승달이 점점 충만한 빛으로 나아가듯 처음의 사랑 또한 지속되고 원만해지기를 기도했는지도 모를 일이다. 

미당의 시에는 생명 없는 것을 생장시키는 독특한 영기(靈氣)가 서려 있다. 그는 시 ‘첫사랑의 詩’에서 ‘초등학교 3학년때 / 나는 열두살이었는데요. / 우리 이쁜 여선생님을 / 너무나 좋아해서요. / 손톱도 그분같이 늘 깨끗이 깎고, / 공부도 첫째를 노려서 하고, / 그러면서 산에가선 산돌을 줏어다가 / 국화밭에 놓아 두곤 / 날마다 물을 주어 길렀어요.’라고 하지 않았던가. 산돌을 주워 와서 물을 주어 길렀듯이 이 시에서도 미당은 ‘고은 눈썹’을 생장시키는 재기를 보여준다. 

미당의 시에는 유계(幽界)가 있다. 그는 ‘무슨 꽃으로 문지르는 가슴이기에 나는 이리도 살고 싶은가’라며 황홀을 노래했지만 그는 우주의 생명을 수류(水流)와 같은 것으로 보았다. 흘러가되 윤회하는 것으로 보았다. 이 운행에서 그는 목숨 받은 이들의 만나고 헤어지는 일을 노래했다. 목숨 없는 것에는 목숨의 숨결을 불어 넣었다. 미당의 시의 최심(最深)은 삶 너머의 이승 이전의 유계를 돌보는 시심에 있다. 이 광대한 요량으로 그는 현대시사에 수많은 활구(活句)를 낳았다. 

(문태준·시인)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162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962 <<시집을 좀 사주자 >>... 2016-01-10 0 3081
961 시인들이여, - 시창작 時 혼신을 다 하라... 2016-01-10 0 3806
960 공부하지 않는 시인들이 문제는 문제로다... 2016-01-10 0 3672
959 시인들이여, - 시작메모를 하라... 2016-01-10 0 3591
958 시인들이여,- 시 첫행에 승부를 걸어라... 2016-01-10 1 3641
957 시인들이여, - 세상의 바보들과 웃어라... 2016-01-10 0 4357
956 名詩 속의 "옥에 티" 2016-01-10 0 4687
955 현대시를 어떻게 읽어야 하나 2016-01-10 0 6397
954 비대상시를 창조하라 2016-01-10 0 6448
953 詩쓰기에서 다양한 어법을 사용하라... 2016-01-10 0 5559
952 창조는 비유적 어법에서 시작된다... 2016-01-10 0 3754
951 시인들이여,- 시의 위기탈출구를 찾아라 2016-01-10 0 4841
950 詩쓰기 뒤집어 쓰기 2016-01-10 2 4854
949 詩에 옳바른 <<이름>> 붙혀주자... 2016-01-10 0 5069
948 詩에서 제목은 왕관 2016-01-10 0 3603
947 詩쓰기에서 2중구조를 잘 틀어쥐라... 2016-01-10 0 3627
946 왕초보시습작자들은 기본에 충실하라... 2016-01-10 0 4272
945 詩란 모방에서 출발?!...!?... 2016-01-10 0 2858
944 詩는 재창조의 산물 2016-01-10 0 2912
943 詩를 쉽게 쓰려면 상상력 키우라... 2016-01-10 0 3945
942 철학서, 력사서 한권을 압축해 시 한편을 쓰라... 2016-01-10 0 4015
941 詩쓰기에서 어려운 시어는 금물 2016-01-10 0 4587
940 詩를 찾아서... 2016-01-10 0 3963
939 詩에서 체험의 진실성 2016-01-10 0 3956
938 詩에서 낚시질 하기... 2016-01-10 0 4567
937 "충격"을 주는 詩를 쓰라... 2016-01-10 0 3462
936 좋은 詩를 쓰고 詩에서 떠나라 2016-01-10 0 5780
935 뻐속에서 쓰는 詩 2016-01-10 0 5686
934 詩작법 질질질... 2016-01-10 0 2999
933 詩작법 마마마... 2016-01-10 0 3606
932 詩작법 추추추... 2016-01-10 0 3743
931 詩작법 쌔애앵... 2016-01-10 0 3790
930 詩작법 팔씹일... 2016-01-09 0 4261
929 詩작법 찰싸닥... 2016-01-09 0 3081
928 詩작법 통통통... 2016-01-09 0 3370
927 詩작법 후ㅜㅠ... 2016-01-09 0 3639
926 詩작법 지라리... 2016-01-09 0 3290
925 詩작법 촐라당... 2016-01-09 0 4662
924 詩작법 걀걀걀... 2016-01-09 0 3277
923 詩작법 휘호호.. 2016-01-09 0 3451
‹처음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