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6월 2024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29
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시인 지구촌

詩작법 지라리...
2016년 01월 09일 05시 41분  조회:3287  추천:0  작성자: 죽림

□ 성유(聲喩)

의성어(onomatopoeia)라든지 의태어는 곧 음성을 되풀이 하여 효과를 내는 표현법이다.

전자는 자연이나 인간의 소리 등을 흉내내어 표현한 것이고,

후자는 사물의 모습이나 태도 등을 흉내내어 적는 표현법이다.

 

 

<예시 16>

산아, 우뚝 솟은 푸른 산아, 철철철 흐르듯 짙푸른 산아, 숱한 나무들 무성히 무성히 우거진 산마루에 금빛 기름진 햇살은 내려오고, 둥둥 산을 넘골어 흰 구름 걷는 자리 씻기는 하늘, 사슴도 안오고, 바람도 안 불고, 너멋 골짜기서 울어오는 뻐꾸기.

 

박두진 <청산도>

 

 

박두진의『청산도』라든지 『해』에는 의성어와 의태어가 많이 씌어졌다.

 

 

 □ 상징

비유(은유)와 비교해서 말하면 상징은 원관념을 떼어 버리고 보조관념만 남아 있는 형태이다.

 

 

<예시 17>

사과 한 알이 떨어졌다.

지구는 부셔질 그런 정도로 아팠다.

이내 어떤 정신도 발아하지 않았다.

 

 

'사과'는 도입해온 보조관념이다. 원관념도 쉽게 알 수 없다.

그러나 상상력을 통해서 사과의 의미는 '죽음'을 암시할 뿐이다. '떨어지다' '부서지다' '움트지 않음' '아픔'은 다 죽음에 가까운 의미를 지닌 동일성이다.

그래서 원관념의 '최후'인 죽음은 표면에 나타나지 않는다. 다만 감춰져 있을 뿐이다.

 

상징의 본질적 성격으로서 동일성을 든다.

 

 

<예시 18>

눈은 살아있다

떨어진 눈은 살아있다

마당 위에 떨어진 눈은 살아있다

기침을 하자

젊은 시인이여 기침을 하자

눈 위에 대고 기침을 하자

눈더러 보라고 마음놓고 마음놓고

기침을 하자

 

눈은 살아있다

죽음을 잊어버린 영혼과 육체를 위하여

눈은 새벽이 지나도록 살아있다

기침을 하자

젊은 시인이여 기침을 하자

눈을 바라보며

밤새도록 고인 가슴의

가래라도 마음껏 뱉자.

 

김수영 <눈>

 

 

눈이 살아있다는 생명을 느낀다. 눈과 기침의 내부관계는 공통성의 일치를 찾지 못한다.

다만 상상력으로 '눈'과 '기침'은 상징으로서, 이 감각적 이미지는 순결과 진실성이라는 관념과 밀착된 상징이다.

3연의 눈의 생명성은 이 순결의 생명성이며 기침을 하는 행위는 화자의 내면세계를 표현하고자 하는 진실성의 관념과 밀착되어 있다.

 

 

<예시 19>

해와 하늘빛이

문둥이는 서러워

보리밭에

달뜨면

애기 하나 먹고

꽃처럼 붉은 울음을

밤새 울었다.

 

서정주 <문둥이>

 

 

이 시에서 '문둥이'는 시인 자신의 정신적 고뇌 자학을 상징하며 그것은 이 시의 문맥 속에서만 의의를 지닌 개인적 상징이다.

 

 

<예시 20>

풀이 눕는다

비를 몰아오는 동풍에 나부껴

풀은 눕고

드디어 울었다

날이 흐려져 울다가

다시 누웠다

 

풀이 눕는다

바람보다도 더 빨리 눕는다

바람보다도 더 빨리 울고

바람보다 먼저 일어난다

 

날이 흐리고 풀이 눕는다

발목까지

발밑까지 눕는다

 

바람보다 늦게 누워도

바람보다 먼저 일어나고

바람보다 늦게 울어도

바람보다 먼저 웃는다

날이 흐리고 풀뿌리가 눕는다

 

김수영 <풀>

 

 

이 시의 리듬은 상징의 암시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소리의 신비감으로써 무엇인가를 우리의 영혼에 공명케 하려는 것이 상징주의 순수시가 노린 상징의 기능이라면,

이 시의 리듬이 이미지와 결합되어 시인이 전달하고자 한 관념을 노출시키지 않고 상징의 암시성을 효과적이게 한다.

 

'풀'이 지닌 드러냄은 감춤과 조화를 이루고 있다.

이 조화는 리듬이 빠른 템포로 흐르면서 주술성의 어떤 오묘한 맛을 내고 있는 데서 발생한다.

특히 풀이 바람보다 빨리 눕고 울고 일어난다는 반복되는 논리적 모순과 융합되어 이 시의 리듬은 주술성을 느낀다.

이 주술의 리듬 속에 풀은 민중을 감추고 바람은 그 민중이 살고 있는 실존적 상황을 감추고 있는 상징의 의미를 느낄 수 있는 것이다.

바람과 대비된 풀의 동작에서 민중의 끈질기고 활발한 삶의 양식만을 시인과 독자가 다같이 관심을 두었다면 이 시도 영락없이 드러남의 알레고리시가 되었거나 단순한 알레고리로서만 수용되었을 것이다.

'풀'을 삶의 움직임의 과정을 보여주는 '상징동력'으로 느끼게 한 것은 주술적 리듬, 음악적 성격의 개입으로 드러남과 감춤의 조화가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예시 21>

만물은 흔들리면서 흔들리는 만큼

튼튼한 줄기를 얻고

잎은 흔들려서 스스로

살아있는 잎인 것을 증명한다

바람은 오늘도 분다

수만의 잎은 제각기

잎을 엮는 하루를 가누고

들판의 슬픔, 들판의 고독, 들판의 고통

그리고 들판의 말똥도

다른 곳에서

각각 자기와 만나고 있다

피하지 마라

빈들에 가서 비로소 깨닫는 그것

우리도 늘 흔들리고 있음을

 

오규원 <만물은 흔들리면서>

 

 

'만물의 흔들림'은 상징이다. 역동적 이미지는 "잎은 흔들려서" "바람은 오늘도 분다" "우리도 늘 흔들리고 있음을" 등 여러 장면과 결합되어서 작품 전체를 지배한다. 곧 '흔들림'의 역동성은 작품 전체를 확산, 생의 여러 감각을 일깨운 상징이다.

 

 

 □ 상징과 은유

 - 은유는 두 대상간의 유사성을 통한 유추적 결합을 추구하는 데 반하여

 - 상징은 상관성이 먼 상징어를 연결함으로써 의미가 확대, 심화되는 언어 사용의 방법이다.

 

  (3) 현대시의 표현 기교

   ① 반어(反語, irony) : 작가가 의도와는 전혀 다른 표현을 하여 날카로운 멋과 예리한 감각을 발휘하는 기법이다.

김소월의 '진달래꽃'은 반어적 구조를 통해 주제를 형상화하였다.

 

   ② 역설(逆說, paradox) : 본질적으로는 참이나 외견상으로는 모순, 충돌되는 진술 형태, 모순되는 사물이나 관념을 연결하여 경이감, 신선감을 주는 기법모순 어법모순 형용의 표현 등이 있다.

 

      아아, 님은 갔지마는 나는 님을 보내지 아니하얐습니다 - 모순어법,

      찬란한 슬픔의 봄 - 모순 형용

 

   ③ 자동 기술법 : 인간 내면의 깊은 생각, 관념을 아무런 제재없이 의식의 흐름에 따라 표출시키는 것이 인간의 진실에 가장 가까운 길이라 믿고 꿈을 꾸는 자가 그 순간 그대로 스스로의 내면 세계를 표출하듯이 무의식의 세계를 기술하는 기법이다.

 

---------------------------------------------------------

 

19. 바다의 오후 / 이생진

 

 

 

 

 

 

 

 

 

 

------------------------------------------------------------------

20. 고독/ 이생진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162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962 <<시집을 좀 사주자 >>... 2016-01-10 0 3079
961 시인들이여, - 시창작 時 혼신을 다 하라... 2016-01-10 0 3805
960 공부하지 않는 시인들이 문제는 문제로다... 2016-01-10 0 3670
959 시인들이여, - 시작메모를 하라... 2016-01-10 0 3587
958 시인들이여,- 시 첫행에 승부를 걸어라... 2016-01-10 1 3638
957 시인들이여, - 세상의 바보들과 웃어라... 2016-01-10 0 4346
956 名詩 속의 "옥에 티" 2016-01-10 0 4680
955 현대시를 어떻게 읽어야 하나 2016-01-10 0 6390
954 비대상시를 창조하라 2016-01-10 0 6442
953 詩쓰기에서 다양한 어법을 사용하라... 2016-01-10 0 5549
952 창조는 비유적 어법에서 시작된다... 2016-01-10 0 3753
951 시인들이여,- 시의 위기탈출구를 찾아라 2016-01-10 0 4838
950 詩쓰기 뒤집어 쓰기 2016-01-10 2 4842
949 詩에 옳바른 <<이름>> 붙혀주자... 2016-01-10 0 5064
948 詩에서 제목은 왕관 2016-01-10 0 3599
947 詩쓰기에서 2중구조를 잘 틀어쥐라... 2016-01-10 0 3627
946 왕초보시습작자들은 기본에 충실하라... 2016-01-10 0 4269
945 詩란 모방에서 출발?!...!?... 2016-01-10 0 2857
944 詩는 재창조의 산물 2016-01-10 0 2909
943 詩를 쉽게 쓰려면 상상력 키우라... 2016-01-10 0 3936
942 철학서, 력사서 한권을 압축해 시 한편을 쓰라... 2016-01-10 0 4010
941 詩쓰기에서 어려운 시어는 금물 2016-01-10 0 4578
940 詩를 찾아서... 2016-01-10 0 3961
939 詩에서 체험의 진실성 2016-01-10 0 3951
938 詩에서 낚시질 하기... 2016-01-10 0 4559
937 "충격"을 주는 詩를 쓰라... 2016-01-10 0 3461
936 좋은 詩를 쓰고 詩에서 떠나라 2016-01-10 0 5779
935 뻐속에서 쓰는 詩 2016-01-10 0 5678
934 詩작법 질질질... 2016-01-10 0 2994
933 詩작법 마마마... 2016-01-10 0 3601
932 詩작법 추추추... 2016-01-10 0 3732
931 詩작법 쌔애앵... 2016-01-10 0 3788
930 詩작법 팔씹일... 2016-01-09 0 4256
929 詩작법 찰싸닥... 2016-01-09 0 3079
928 詩작법 통통통... 2016-01-09 0 3365
927 詩작법 후ㅜㅠ... 2016-01-09 0 3632
926 詩작법 지라리... 2016-01-09 0 3287
925 詩작법 촐라당... 2016-01-09 0 4657
924 詩작법 걀걀걀... 2016-01-09 0 3275
923 詩작법 휘호호.. 2016-01-09 0 3441
‹처음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