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10월 2024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詩와 산문시, 수필의 차이점
2016년 02월 05일 02시 59분  조회:4439  추천:0  작성자: 죽림

<시와 산문시, 그리고 수필의 차이점>      배달메, 김상철 시인

(일반 시)

산문시<비교하기 쉽도록 좌측의 시에 살을 붙여 산문시로 만들어 봄>

산문(그중, 수필)<비교하기 쉽도록 좌측의 일반 시에 살을 붙여 수필 형식으로 만들어 봄>

4, 5월의 들녘 /

 

 

 

눈보라 속에서 생사 넘나들다 살아난 들풀들

아지랑이 아롱거리는 들녘에

봄볕마다 손잡고,

재잘거리고 껑충거리며 상봉의 기쁨 나눈다

 

 

오우, 자전거 타고 바람 가르는 내게도 보내는 저 환호!

앗! 속옷까지 보이도록 껑충껑충 뛰는 저 몸짓!

아오, 인간의 부활은 기쁨이 얼마나 더 클까!

 

 

철아, 들리니?

동장군의 고문 속에서도 님 보고파 견뎌냈다는 이 노래?

 

흐미! 눈 감아라

밝은 대낮, 저기 들꽃들은 아예 입맞춤까지다

철아, 넌 아니?

죽을 고비 넘나들다 처음 뽀뽀해보는 이 맛?

2015. 4/1

 

4, 5월의 들녘 /

 

 

눈보라 속에서 생사 넘나들다가 아지랑이 아롱거리는 들녘에 구사일생으로 살아난 들풀들이  봄볕마다 손잡고 재잘거리고 껑충거리며 상봉의 기쁨 나누고 있다. 오우, 자전거 타고 바람 가르는 내게도 보내는 저 환호! 앗! 속옷까지 보이도록 껑충껑충 뛰는 저 몸짓! 아오, 인간의 부활은 기쁨이 얼마나 더 클까!,철아, 들리니? 동장군의 고문 속에서도 님이너무 보고파, 이 악물고 견뎌 냈다는 이 노래?  흐미! 눈감아라 밝은 대낮 저기 들꽃들 봄볕과 아예 입맞춤까지다 철아, 넌 아니? 죽을 고비 넘나들다 처음 뽀뽀해보는 이 맛?

4, 5월의 들녘 /

 

 

오늘은 유난히 화창한 날씨라서 자전거 타고 들에 나가보았다. 봄철이면 황사 때문에 외출 시엔 반드시 마스크를 써야 하기에 마스크를 착용하고 나갔다. 물론 모자도 쓰고 나갔다.

모자가 바람에 날아가지 않도록 목에 단단히 동여맸다. 4월의 날씨가 어찌나 좋은지 들풀들이 저마다 환한 얼굴이다. 삶과 죽음 넘나들다아지랑이 아롱거리는 들녘에 구사일생으로 살아난 파란(1) 들풀들 상봉한 기쁨으로 인하여(2) 우르르 달려가 내려앉는 봄볕마다 손잡고 좋아라 재잘거리고 있었다. 앗! 저기 저쪽은 상봉한 게(3) 너무 좋아 속옷이 보이도록(4) 껑충껑충 뛸 기세다. 바람 가르고 달리는 내 자전걸 따라다니며 환호하는 저 몸짓은 퇴근하고 돌아오는 나를 맞이하는 우리 멍멍이 보다 유별나다아오, 사람이 죽었다 살아 날 땐 부활의 기쁨은 저보다 얼마나 더 클까! 하는 생각이 든다. 철아, 너도 들리니? 저승문턱까지 갔다너무 보고파, 이 악물고 견뎌 냈다는 이 노래하고, 들풀들이 나에게 묻는다. 또 재차 묻는다, 동장군의 군화 발에 채이면서도, 기어코 살아나 부르는 이 찬가 들리니? 하고 말이다. 한편 저쪽에서는, “흐미! 눈감아라 밝은 대낮저기 들꽃들 봄볕과 아예 입맞춤까지 .”고, 어느 들풀이 알려주는 것만 같다. 연이여,“철아, 넌 아니? 죽을 고비 넘나들다 처음 뽀뽀해보는 이 맛?” 하고, 재차 또 들꽃들이  묻는 것 같다.

 

 

산문시는 위처럼 그 형식에 있어,

 

 

-.대체적으로  행과 연을 안 나누고 산문처럼 계속 이어서 쓰는 형식을 취한다(연은 나누기도 함).

 

-.일반 시보다는 조사를 생략하지 않고 쓰는 경향이 있으며, 조사의 양과 수에 거의 제한을 받지 않고 산문처럼 써도 된다(적색'조사' 참조).

 

-.뒤에 오는 체언을 한정하는 관형사(구)나, 꾸며 주는 語句를 사용하여 표현하면 안 되는 경우가 있으며, 또한, 이유을 나열하거나,  필자가 아는 지식을 삽입설명하는 식으로 쓰면 감점이 된다, 또한 상황을 구체적으로 쓰지 않는다.(일반 시와 동일).

 

-.마침표를 생략하고 쓰는 경향이 많다(일반 시와 동일).

 

-.운율과 상관없이 쓰기도 한다.

 

-.종결어미의 처리가 중요하지만 꼭 그렇지는 않다 생각하는 이도 있는 것 같다.

 

 -. 산문이란, 운율이나 음절의 수 등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롭게 쓴 글을 말하는데,

수필은 산문 문학의 대표적 양식으로, 자신의 경험이나 느낌 따위를 일정한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본대로 느낀대로 자유롭게 쓰는 산문 형식의 글이다. 수필은 수상(隨想), 일기, 편지, 논문, 논설문, 신문사설, 전기 등, 창작적 요소를 지닌 모든 산문 문학적 문장을 총칭한다. 즉, 산문 중에서 소설희곡을 제외한 문학이 수필의 영역에 속한다고 보면 된다. 

-.행을 나누지 않고, 연을 나누지 않고 일반 문장처럼 계속 이어 쓴다(연을 나눠 쓰는 분도 있음).

 

-.일반 문장처럼 조사의 양과 수에 제한을 받지 않고 써도 된다(붉은 조사 참조).

 

-.뒤에 오는 체언을 한정하는 관형사(구)나<위1>, 꾸며 주는 語句를 사용해도 된다<위4>. 또한, 어떤 걸 설명하며 써도 되며(위 2, 3) 필자가 아는 지식을 동원하여 체험한 것을 음율과 상관 없이 사실대로 구체적으로 쓰며(붉은 어구 참조), 본인의 지식을 곁들여  본대로 느낀대로 쓴다.

 

-.마침표 부호를 생략하지 않고 쓴다. 원고지 쓰기 법에 맞게 쓴다.

-.절의 끝맺음(종결어미)이 일반 문장형식이다.

 

시(일반 시)는 위처럼 그 형식에 있어,

 

 

-. 행과 연의 구별이 있다.

-. 운율 땜에 조사를 생략하는 경우 많다( 쓸데 없이 조사 많으면 감점이다)

-.뒤에 오는 체언을 한정하는 관형사(구)나, 꾸며 주는 語句를 사용하여 표현하면 안 되는 경우가 있으며, 또한, 이유 등을 나열하거나,  필자가 아는 지식을 삽입설명하는 식으로 쓰면 감점이 된다, 또한 상황을 구체적으로 쓰지 않는다.

-.마침표를 생략하고 쓰는 경향이 많다.

-.운율에 신경쓰며 써야 한다(지금은 내재율에).

-.종결어미를 어떻게 표현하느냐에 따라 시의 가치에 영향을 주는 경우가 많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923 詩작법 휘호호.. 2016-01-09 0 3746
922 詩작법 둥기당... 2016-01-09 0 5145
921 詩작법 닐리리... 2016-01-09 0 4370
920 詩작법 옹헤야... 2016-01-09 0 3877
919 詩작법 지화쟈... 2016-01-09 0 3366
918 詩작법 절씨구... 2016-01-09 0 3581
917 詩작법 얼씨구... 2016-01-09 0 3844
916 詩작법 찌찌찌... 2016-01-09 0 4725
915 좋은 詩를 쓰는 비법 2016-01-09 0 3944
914 詩는 언어에 옷을 입히는 행위 2016-01-09 0 3981
913 詩습작자들을 위한 提言 2016-01-09 0 3791
912 詩공부하지 않고서는 말할것 없다... 2016-01-09 1 4114
911 詩쓰기 그리기... 2016-01-09 0 3399
910 ...해답일뿐, 정답은 아닙니다... 2016-01-09 0 3754
909 詩작법 구구구... 2016-01-09 0 3286
908 詩人되기 힘들다, 詩쓰기는 더더욱 힘들다... 2016-01-09 0 3867
907 詩작법에서 詩를 많이 읽어라 2016-01-09 0 3504
906 만약 詩 한줄이라도 에너지가 있다면... 2016-01-09 0 3131
905 詩에 뭐라고 제목을 붙일가... 2016-01-09 0 3589
904 그러나, 누구나 좋은 詩를 쓰는것은 아니다... 2016-01-09 1 3792
903 현대詩史에 수많은 활구(活句)를 낳다... 2016-01-09 0 4136
902 詩는 몇개의 징검돌로 건너가는 것... 2016-01-09 0 3445
901 詩에서 어떻게 표현할것인가 2016-01-09 0 3997
900 詩에서 새로운 화제 찾기 2016-01-09 0 3671
899 詩에서 어떤 어법으로 말할가 2016-01-09 0 3659
898 詩의 서정적줄거리 만들기 2016-01-09 0 4442
897 자아,- 씁시다... 詩자악!... 2016-01-09 0 4393
896 詩의 정의는 없다... 2016-01-09 0 4470
895 詩는 여러 문학쟝르 中 가장 핵심 쟝르 2016-01-09 0 3831
894 詩짓기에서 수사법 2016-01-09 0 4063
893 詩의 술잔속에는 바다가 출렁출렁... 2016-01-09 0 4007
892 우리 모두 詩와 함께 웃어 버립시다... 2016-01-09 0 3569
891 그녀만은 없었습니다... 2016-01-09 0 3772
890 아름다움이란 모든 것 몫, 몫, 몫... 2016-01-09 0 3553
889 뭇 벗님들의 하늘이 늘 함께 푸르기만을... 2016-01-09 0 3537
888 詩의 旅行을 떠나며... 2016-01-09 0 3822
887 詩적 발견, 그 새로운 눈 2016-01-09 0 3872
886 詩는 묘사로 시작해서 진술로 끝나다... 2016-01-09 0 4157
885 詩야,- 너 어디서 오느냐... 2016-01-08 0 4738
884 詩人을 만드는 9가지 비망록 2016-01-08 0 4656
‹처음  이전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