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6월 2024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29
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시인 지구촌

"윤동주 미발표 詩 더 있다"
2016년 10월 10일 18시 30분  조회:3632  추천:0  작성자: 죽림

윤동주 미발표 시 더 있다
- 윤동주 추모 66주기서 증언 나와
 
 
지난2월20일 도꾜 이케부쿠로(池袋)의 립교(立敎)대에서 시인 윤동주의 66주기를 기리기 위한 추모 행사가 거행, 윤시인이 1942년 류학했던 이 학교의 총장 등 한국. 일본인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윤동주시인의 조카인 윤인석(한국 성균관대 건축공학과)교수가 윤동주에게 미발표시가 있다는  증언을 했다.
 

 
 
현재까지 알려진 바에 의하면 윤동주는 “서시” 등 시 76편, “오줌싸개 지도”등 동시 35편, “달을 쏘다”등 수필 5편 등 도합116편의 작품을 남겼다.
 
 
 
1947년 12월, 윤동주의 녀동생 윤혜원은 남편 오형범과 함께 고향 룡정을 떠났다. 그때 윤혜원의 행리속에 오빠 윤동주의 시 편들이 들어있었다. 룡정에서 소학교 교사를 지냈던 윤혜원씨는 당시 방의 책꽂이에 꽂혀있던 윤동주의 대학노트 3권을 가지고 떠났다. 그 노트에는 윤동주 시인의 초기와 중기의 작품 대부분 포함되여 있었다.그 대학노트에 담긴 윤동주의 걸작들은1948년 서울에서 처음 출간된 윤동주 유고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에 들어있지 않은 시편들이 대부분이였다. 유고시집에 실린 31편은 윤동주의 연희전문시절의 친구 강처중과 가장 아꼈던 후배 정병욱에 의해 보관되였다. 동생과 친구들에 의해 보관된 현재 116편으로 알려져있는 윤동주의 시들은 이렇게 세상에 알려졌다.
 


윤동주의 절친한 후배 정병욱,
윤동주의 녀동생 윤혜원과 그의 남편 오형범,
이들은 윤동주의 시편들을 보존해 세상에 알린 공신들이다.
 
많은 이들은 시인이 일본 립교대에 다니던 시절인 1942년 6월 이 학교 용지에 적어 연희대의 친구였던 강처중에게 보낸 편지속에 담긴 시 “봄”이 최후의 작품이라고 알고 있다.
하지만 그 후에도 몇 편의 시를 더 남겼다는 증언들이 나왔다.
 
그중 한 가지는 1943년 교또(京都) 도시샤(同志社)대학 영문과에 다니던 중 독립운동을 했다는 혐의로 교또 시모가모(下鴨) 경찰서에 체포된 직후에도 시를 지었다는것이다.
1995년 윤동주의 삶과 죽음을 다룬 프로그램을 만든 전 NHK 프로듀서 다고 기치로(多胡吉郞)씨는 "당시 가족들이 경찰서로 면회하러 갔을때 시인이 자작시를 일본어로 바꿔 보여줬다고 들었다"고 말했다.
 
윤동주의 시가 조선등지에 남아 있을지도 모른다는 증언도 있다.
 
윤인석 교수는 시인의 매제이자 자신의 고모부인 오형범(오스트랄리아 시드니 거주)씨로부터 전해들은 증언을 전했다.
 

 
 
윤혜원과 오형범은 고향을 뜨던 당시1년간 조선의 청진과 원산에서 머물렀었다. 그때 청진에서 만난 김윤립이라는 고등학교 교사가 “윤동주 시인이 후쿠오카 형무소에 있을때 엽서에 사연과 시를 적어 보내왔다”고 했다고한다.
 
김윤립은 그 당시 립교대학을 다닌것윽로 추정되며 윤동주가 1944년부터1945년에 지었을것으로 추정되는 이 시가 적힌 엽서는 그후 행방을 알수없는 김윤립에게 있다는것이다.
 
우리 민족이 가장 애대하는 시인 윤동주, 그의 소량이지만 편편마다 주옥같은 시편들을 아쉬움속에 읽어왔고, 더 읽고싶은 독자들에 의해 미발표시에 대한 증언은 다시 한번 학계와 독자들의 마음을 흔들고 있다.
 
/김혁 기자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162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762 미국 현대시인 - 월리스 스티븐스 2016-11-06 0 3527
1761 따옴표(" ")가 붙은 "시인"과 따옴표가 붙지 않는 시인 2016-11-06 0 4166
1760 모더니즘 경향의 시인들 시를 알아보다... 2016-11-06 0 3606
1759 모더니즘시, 현대 문명을 비판하다... 2016-11-06 0 4370
1758 김기림 모더니즘시 리론작업, 정지용 모더니즘시 실천작업 2016-11-06 0 3790
1757 모더니즘 문학과 도시의 문학 2016-11-06 0 3593
1756 한국 모더니즘 시의 흐름은 어떠한가... 2016-11-06 0 2987
1755 [자료] - 포스트모더니즘을 알아보다... 2016-11-06 0 2974
1754 [자료] -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을 알아보다... 2016-11-06 0 3781
1753 詩人 되기 먼저 자기자신을 완전히 깨닫는것, 곧 구리쇠 잠깨어 나팔 되기 2016-11-06 0 3141
1752 프랑스 상징주의 시 감상하기 2016-11-05 0 3757
1751 詩란 자연과 함께 인간의 덕성을 말하는것이다... 2016-11-05 0 3849
1750 너무나 많은 라침판이여,- 그때는 그때, 지금은 지금이라... 2016-11-03 0 3155
1749 詩는 "만드는것"이 아니라 생체를 통한 "발견"이다...... 2016-11-02 0 3692
1748 윤동주가 사랑했던 시와 시인들 2016-11-01 0 3672
1747 죽은지 10여년 지나서야 시적 가치를 찾은 "악의 꽃" 2016-11-01 0 3647
1746 프랑스 상징파 시인, 모험가 - 랭보 2016-11-01 0 3707
1745 프랑스 상징파 시인 - 베를렌느 2016-11-01 0 4273
1744 詩란 우연스러운 "령감들의 모음집"이 아니라 언어행위이다... 2016-11-01 0 3768
1743 파블로 네루다 시모음 2016-11-01 0 5658
1742 칠레 민중시인 - 파블로 네루다 2016-11-01 0 4489
1741 詩쓰는것이 돈벌이 된다면 어렵다는 말은 사라질것이다... 2016-11-01 0 3074
1740 조기천시인과 김철시인 2016-11-01 0 3730
1739 백두산은 말한다... 2016-11-01 0 3406
1738 "백두산"과 조기천 2016-11-01 0 3677
1737 "백두산", 완결물이 아니라 미완물이다... 2016-11-01 0 4558
1736 체코 문학을 알아보다... 2016-10-31 1 5464
1735 시인이 된다는것은... 2016-10-31 0 3332
1734 "풀"의 시인 김수영을 다시 떠올리다... 2016-10-31 0 4665
1733 "곰팡이는 곰팡을 반성하지 않는것처럼..." 2016-10-31 0 3653
1732 "내가 저의 섹스를 개관하고 있는것을 아는 모양이다"... 2016-10-31 1 3282
1731 곧은 소리는 곧은 소리를 부른다... 2016-10-31 0 3769
1730 한국적 모더니즘 대변자 김수영 작품 공자에 젖줄 대다... 2016-10-31 0 3469
1729 변변한 불알친구 하나 없어도 문학이란 친구는 있다... 2016-10-31 0 3540
1728 니체은 니체로 끝나지만 공자는 공자로 지속되다... 2016-10-31 0 3141
1727 詩란 사자의 울부짖음이다... 2016-10-31 0 3318
1726 참말이지 과거는 한줌 재일 따름... 2016-10-30 0 3229
1725 정지용, 김기림과 "조선적 이미지즘" 2016-10-30 0 3674
1724 김기림, 그는 누구인가... 2016-10-30 0 3853
1723 김립 시모음 2016-10-30 0 4992
‹처음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