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1월 2025 >>
   1234
567891011
12131415161718
19202122232425
262728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시인은 모든 리익과 다툼에서 손해보는 사람이다...
2016년 12월 31일 23시 43분  조회:3437  추천:0  작성자: 죽림

 

<민속도>

 

 






옛 중국 시인들의 노래가 있다. 들어본 듯 익숙한 노래도 있고, 생경한 노래도 있다. 어떤 노래는 삶에 대한 하소연이고, 어떤 노래는 관조다. 이 책에서는 하소연의 노래를 ‘시인의 노래’라고 하고, 관조하는 노래를 ‘어부의 노래’라고 했다.

시인은 다툼에서 지고, 이익 앞에서 손해를 자처하는 사람이다. 모든 생명은 한 그루 나무에서 피고 지는 꽃들에 비유할 수 있다. 이 책은 같은 나무에서 피고 지는 모든 생명의 아픔을 옛 사람들이 어떻게 승화시켰는지 보여준다.

책의 앞부분에서는 옛 시인들의 서정시를, 그 배경과 함께 설명하고 있다. 각각의 꽃들이 피고 지는, 웃고 우는 유아지경을 말한다. 뒷부분에서는 나와 남, 세상과 내가 연결돼 있음을 보여주는 시적 무아지경을 이야기한다.

이백, 백거이, 두보, 설도, 어현기, 이욱, 송휘종, 이청조, 소식, 도연명, 맹호연, 왕유 등의 시를 담고 있다.

「棄我去者昨日之日不可留(기아거자작일지일불가유)

亂我心者今日之日多煩憂(난아심자금일지일다번우)

長風萬里送秋雁(장풍만리송추안)

對此可以酣高樓(대차가이감고루)」

이백 -‘宣州謝朓樓餞別校書叔雲’(선주사조루전별교서숙운)- 중에서

이백의 시 ‘선주의 사조루에서 교서 이운을 전별하다’는 시는 우리나라 독자들에게 비교적 많이 알려진 작품이지만, 지금까지 우리가 읽은 방식은 대체로 이런 식이다.

「나를 버리고 가 버린 어제는 머물게 할 수 없고

내 마음을 어지럽히는 오늘은 근심만 많다

긴 바람은 만 리에 가을 기러기 보내는데

이렇게 마주하니 흥겨워라 높은 누각」

글자 그대로 번역한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 그러나 이 책에서는 한문의 글귀에 엄격하게 얽매이기보다는 우리말의 운율과 느낌에 맞추어 감각적으로 번역한다. 이런 식이다.

「나를 두고 가 버린 지나간 세월/

남은 것은 내 마음 휘젓는 오늘/

아득한 가을바람 기러기 난다/

풍경을 마주하고 술잔을 들자」

중국 당나라 290년 동안 207명의 여성 시인이 있었다. 이 숫자가 전부는 아닐 것이다. 단 한 편이라도 시가 전해오는 여성 시인들만 챙긴 것이다. 그중 눈에 띄는 시인이 설도(768∼832)다. 설도는 유채춘, 어현기, 이야와 함께 당대 4대 여성 시인이었다. 생활고에 쫓긴 설도는 16세에 모친의 권유로 기녀로 등록했다.

설도는 재능이 뛰어났다. 절도사로 온 사람의 눈에 띄어 관청의 공문서를 관리하는 직책을 얻기도 했다. 그녀는 42세에 장안에서 감찰어사로 내려온 대시인 원진(779∼831)과 일생일대의 사랑에 빠졌다. 시간이 흘러 원진은 장안으로 돌아갔고, 출세한 원진은 자기보다 나이가 많은데다 기녀인 설도를 돌아보지 않았다. 설도는 원진에게 시를 지어 보냈다. ‘春望詞'(춘망사)다.

「꽃이 펴도 함께 즐길 수 없고/ 꽃이 져도 함께 울 수가 없네/ 묻노니 그리운 이 어디 계신가/ 꽃은 피고 그 꽃 또한 지고 있는데/ 풀 뽑아 묶어 보네 사랑의 약속/ 동심초 그대에게 보내려는데/ 봄의 슬픔 한없이 가슴 아플 때/ 봄 새도 목이 멘 듯 구슬피 우네/ 꽃잎은 하루하루 바람에 지고/ 우리가 만난 날은 아득하구나/ 어째서 사랑은 묶지 못한 채/ 공연히 동심초만 묶고 있을까/ 어쩌랴 가지마다 가득한 저 꽃/ 날리어 그리움만 더하는 것을/ 거울 보며 흘리는 두 줄기 눈물/ 아느냐, 봄바람은 알고 있느냐」

연작시인 이 애달픈 노래 중 세 번째 시 '꽃잎은 하루하루 바람에 지고/ 우리가 만난 날은 아득하구나/ 어째서 사랑은 묶지 못한 채/ 공연히 동심초만 묶고 있을까'는 김성태 작곡의 우리나라 가곡 ‘동심초’가 됐다. 물론 번역한 사람이 다른 만큼 가사는 다르다.

지은이는 “인생이라는 무대에서 우리는 모두 시인이다. 삶의 순간순간, 어떤 사람은 그 느낌을 글로 남기고 어떤 사람은 다른 것으로 남길 뿐이다. 사는 동안 남에게 따뜻함을 느끼게 한다면 그가 바로 시인이다. 남에게 어려운 일이 있을 때 달려간다면 그가 바로 시인이다. (중략) 길거리에 쓰러진 사람이 있을 때 별말 없이 부축해 주고 떠나는 사람, 다툼이 생겼을 때 기꺼이 지고, 이익이 되는 줄 알면서 때로는 손해를 자처하는 사람, 경쟁에서 한 걸음 물러서고, 자신의 작은 성취에 만족하는 사람, 낮은 목소리로 얘기할 줄 아는 사람, 그런 사람이 시인이다”고 말한다.

지은이 안희진은 단국대학교 중국어과 교수로 있다. 어린 시절 조부에게 천자문을 배웠고, 한문에 익숙했다. 고등학교를 마치고는 서예공부를 했다. 그 모든 경험들이 중국 시에 빠져드는 배경이 됐다고 한다.

가끔 틈 날 때마다 아무 쪽이나 펼쳐 읽으면 좋을 성싶은 책이다.

「위성 마을 아침 비에 흙먼지 젖고/ 객사에는 파릇파릇 버들잎 핀다/ 그대여 가득한 술 한 잔 더 들라/ 양관 밖 서역 가면 아는 이 없네.」 -왕유, 위성곡(渭城曲)-

원이(元二)라는 관리가 조정의 발령을 받아 안서도호부(현재의 신장 위구르 지방)로 떠나게 됐을 때, 친구들이 자리를 만들었고 왕유가 시를 썼다. 384쪽, 1만8천원.

 

/조두진 기자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30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 ㅡ어릴 때부터 바른 글씨체를... 2017-01-22 0 2864
129 [시문학소사전] - "오마주"란?... 2017-01-22 0 4841
128 현대시는 외형률보다 내재률을 통해 음악성을 강조해야... 2017-01-21 0 3291
127 시인은 "버려진 집"에서 살며 시작해야... 2017-01-20 0 2655
126 시는 목적없이 그 무엇을 "찾는" 행동이다... 2017-01-20 0 2713
125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 ㅡ 외래어도 알고 쓰자... 2017-01-20 0 2687
124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 ㅡ 한글과 일본어 대조표 2017-01-20 0 3018
123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 ㅡ 순수 우리말로 하면 촌스러운가... 2017-01-20 0 3909
122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 ㅡ순수 우리말 있을 땐 외래어 쓰지 말기... 2017-01-20 0 3871
121 시작에 공부 좀 하이쏘.. 2017-01-18 0 5348
120 시작의 길잡이는 오로지 "나도 시를 쓸수 있다" 이다... 2017-01-18 0 3046
119 시는 시시한 물건짝이 옳다?... 아니다!... 2017-01-18 0 2718
118 [시문학소사전] - "벽화"와 "그래피티" 차이점?... 2017-01-16 0 3927
117 시작(詩作)의 비법 = 다독(多讀), 다사(多思), 다작(多作)... 2017-01-16 0 3017
116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 ㅡ"딸님"과 "따님" 2017-01-15 0 2841
115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 ㅡ"부딪히다"와 "부딪치다" 2017-01-15 0 3198
114 [쉼터] - 사랑의 노래는 학습되지 않는 막무가내의 모든 것... 2017-01-15 0 3212
113 [쉼터] - 그림자 이끌고 떠나가야겠네... 2017-01-15 0 2609
112 살맛나는 세상과 무서운 세상, 그리고 "거짓 글" 2017-01-14 0 3545
111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 ㅡ글쓰기, 토론식 례찬 2017-01-14 0 2957
110 문학은 "퇴고, 다시 퇴고"의 련마작업을 거치는 고된 작업... 2017-01-14 0 2836
109 詩作에서의 퇴고, 퇴고, 퇴고 끝에 탈고와 등고의 희렬!~~~ 2017-01-14 0 3058
108 시작할 때 늘 시어(詩語)의 생사존망(生死存亡)문제를 따져야... 2017-01-13 0 2644
107 섬은 늘 거기에 있지만 사람들은 그 섬을 떠나 돌아오지 않는다... 2017-01-11 0 2626
106 시적언어가 탄생과정을 거치지 않은 언어는 독자의 마음을 파고들수 없다... 2017-01-11 0 3042
105 시조라는 정형틀을 지키면서 동시에 시적 심상의 확장과 응축 등으로 새로운 시조의 미학을 창조해야... 2017-01-11 0 2724
104 "선생님은 퇴고를 하십니까, 안 하십니까?..." 2017-01-08 0 2595
103 시는 희, 로, 애, 락, 욕, 지, 의, 정 등의 복합적 예술품이다... 2017-01-08 0 2720
102 문학예술가와 病, 그리고 창작 2017-01-07 0 2644
101 2017년 <<신춘문예>> 시조 당선작 모음 2017-01-06 0 2753
100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 ㅡ"~ 위하여" 건배!... 2017-01-06 0 2830
99 금서, 70, 베스트셀러 그리고 독재자... 2017-01-06 0 2683
98 시는 늘 육화(肉化)된 언어를 찾아 써야... 2017-01-05 0 2759
97 무지하고 께제제한 눔들 하곤 할 말이 있다?... 없다!... 2017-01-04 0 3888
96 시는 불필요한 관념성, 난해성, 상투성, 피상적, 추상적인식에서 머물지 말아야... 2017-01-04 0 3066
95 [시문학소사전] - "판도라의 상자"란?... 2017-01-03 0 3762
94 [시문학소사전] - "판도라"란?... 2017-01-03 0 3893
93 시문학이 이땅에서의 생존의 길, 그것은 곧 "사랑"과 "고뇌". 2017-01-02 0 3150
92 5천권의 책을 읽고 만장의 글을 써라... 2017-01-02 0 3141
91 글쓰기 비법 아닌 비법 12 2017-01-02 0 3607
‹처음  이전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