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7월 2024 >>
 123456
78910111213
14151617181920
21222324252627
28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 "부고" ] - "금강이"야! "금강이"야!... 운명을 달리하다...
2017년 02월 10일 20시 05분  조회:3289  추천:0  작성자: 죽림

-한국의 범-

백두산호랑이(Korea Tiger/虎狼)

 

 

백두대간으로 주거를 옮긴 백두산호랑이 금강이가 죽었다는 뉴스를 듣고 안타까움을 금할길이 없다.

대전오월드에 자주가는편 이라 금강이 의 아름다운 모습을 내가 잘 알고 있어서 더욱 안타깝다.

금강이는 다른동물원 호랑이와 다르게 뱃살이 없이 날씬하고 키도 크고 털색도 진하고 아름다워서

내가 항상 갈때마다 칭찬을 해 주었는데...

 

 

 

지난달 25일 대전 오월드 동물원에서 백두대간 수목원으로 이송된 11 살배기

백두산 호랑이 금강이가 이송 9일 만인 지난 3일 오후 4시 20분 폐사했다는 뉴우스.

 

수의사 들이 1차로 부검을 한 결과 금강이 의 사인은 만성신부전증 으로 밝혀 졌으며,

오래전 부터 병을 앓았다는 진단이 나왔다고 한다.

금강이가 만성신부전증을 앓고 있는 가운데 대전에서 경북봉화 까지 250

5시간에 걸쳐 이동하면서 스트레스가 가중돼 폐사한 것으로 보고 있다.

 

수목원은 현재 폐사한 금강이의 조직을 떼어내 정밀검사를 벌이고 있으며,

결과는 23주 후 나올 예정이다.

오월드 측은 금강이가 만성신부전증 에 걸린 사실을 파악하지 못하고 있었고,

외견상 별 이상이 없었다는 입장이다.

 

산림청은 예민하기로 유명한 호랑이를 다른 시설로 이송하기 위해 무진동 항온항습

차량에서 수의사와 사육사들이 보살피는 가운데 시속 70의 속도로 조심스럽게

이동 했다고 하는데...

1시간마다 15분씩 휴식을 취하며 신중하게 이송작전을 펼쳤지만 질병으로 쇠약했던

금강이 는 결국 장거리 이동 스트레스를 견디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금강이 와 함께 경기도 포천 국립수목원에서 백두대간 수목원으로 옮겨온 15 살배기

백두산 호랑이 두만이는 매우 건강한 상태다.

산림청 관계자는 두만이 가 건강한 상태를 유지한다면 4월에 1마리든 2마리든

암컷 백두산 호랑이를 당초 계획대로 이송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금강이 와 두만이 모두 한·중 산림협력회의를 통해 산림청이 중국에서 기증받은 것으로,

산림청은 안정과 적응 훈련을 거친 뒤 관람객에게 공개할 예정이었다.

산림청은 오는 4월 서울대공원에서 암컷 백두산 호랑이 2마리를 추가로 백두대간

수목원으로 옮겨와 번식을 유도할 계획이었지만 금강이의 폐사로 차질이 예상된다.

 

한편 국내에서 발견된 마지막 백두산 호랑이는 1921년 경주 대덕산에서 잡힌

호랑이로 알려졌으며 백두산 호랑이가 한반도 남쪽 숲에 방사되는 것은 100여년 만이다.

 

대형고양이류 로서 힘과 용감성 체구에 있어 호랑이에 버금가는 것으로는 단 하나 사자(獅子)가 있을 뿐이지만

평균 체구에서 호랑이가 앞선다.

 

호랑이는 현재는 러시아 극동지방 에서 중국·인도·동남아시아 의 일부 지역에 걸쳐 조금씩 분포 알려졌다 

호랑이 의 크기와 특징적인 털색 줄무늬는 서식지역과 아종에 따라서 차이가 확연 하다고 하는데...

 

남부지방(인도벵골)의 호랑이는 우리나라 백두산 호랑이 보다 체구가 작고 털색이 더 밝다고...

벵골호랑이(Bengal tiger)와 동남아시아의 섬에 살고 있는 호랑이들은 선명한 불그레한 황갈색 바탕에 몸을 가로지르는

검은색에 가까운 줄무늬가 있다.

그러나 이들의 복부와 다리의 안쪽양 눈 위의 큰 반점은 흰색이다.

이에 비해 몸집이 매우 크고 그 수가 매우 적은 만주 북부와 러시아 의 시베리아호랑이 는 털이 길고 부드럽지만 색이 엷다. 

백두산 호랑이 종중 흑백색의 호랑이도 가끔씩 보고되고 있으며 순백의 백호(白虎)도 많이 보고되고 있다.

 

호랑이는 갈기가 없지만 늙은 수컷은 뺨 위의 털이 다소 길고 쫙 펼쳐져 있다.

수컷은 암컷보다 체구가 큰데 어깨높이는 약 1m이상 이고두동장은 2.2m 이상 되며 꼬리길이는 약 1m이다.

뱅골 호랑이의 평균 몸무게는 약 160~230kg 정도인데 한국 호랑이 최대몸무게는 약 350kg 이상 더큰 개체 가 있을 것으로 본다.

호랑이는 풀밭·늪지대·숲에 서식하며 사원이나 궁전처럼 폐허가 된 건물에 가끔 나타나기도 한다.

힘이 대단히 세고 보통 단독생활을 하는데 헤엄을 잘 치고 목욕을 즐기는 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아직은

알려지지 않은 부분이 더 많다.

 

호랑이는 나무 위로 기어오를 수 있는 능력도 있다.

주로 밤에 사냥하며 여러 종류의 동물들을 사냥해 먹고 사는데 사슴· 멧돼지 와 조류 등도 가리지 않고 사냥 한다.

사냥 에서 몸체가 큰 포유동물은 대충 피하지만 때에 따라서는 덩치큰 코끼리와 물소를 사냥 했다는 기록도 있다.

때때로 인가(人家)에서 소(牛)를 공격하기도 하는것이 사실 이다.

 늙거나 불구인 호랑이 또는 새끼가 있는 암컷은 사람이 손쉬운 먹이라는 것을 알아차리고 공격 하기도 한적이 있어서

많은 사람 들에 소탕(掃蕩의 대상이 되기도 해서 현재 멸종위기를 초래한것 같다

 

 

한국산 호랑이는 시베리아호랑이(Panthera tigris altaica)로 분류되며 세계적으로 불과 몇백개체 내외가 잔존하고있는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 에서는 1921년 경상북도 경주의 대덕산에서 1마리가 발견된 후 더 이상의 포획기록이 없다.

일부 전문가들은 한국호랑이 를 시베리아호랑이 로부터 구분시키기도 한다.

 

 

-露傘以善勝之-

 

 

지난달 25일 백두대간으로 옮겨진 직후의 사진 인데 이때까지만 해도 건강해 보였다고 한다.

 

 

대전에서 건강하게 삶을 살았던 금강이의 모습이다.

몸매가 날씬하고 피부에 탄력이 있어서 너무나 아름답고 건강해 보였는데... 안타깝습니다.

 

 

금강이가 ㅇㅣ런모습 이였는데...

 

 

 

고양이과 동물중에 이렇게 아름답고 거대한 동물은 없다.

 

 

참으로 늠늠하지 아니한가?

 

 

금강이의 사진이 많치않아서 야생의 백두산 호랑이와 같은종인 시베리아 범 사진을 퍼온 것이다.

 

 

호랑이의 수염이 너무나 아름답지 아니한가.?

 

 

아무리 보아도 백두산 호랑이는 멋지다.

 

 

우리나라 야생 에서는 볼수가 없는 호랑이(범)

 

 

이런 아름다운 동물을 보존하려 노력하는 사람들이 있어서 결실맺기는 바란다.

 

 

우리 선조님들은 호랑이를 영물로 산신령의 호위무사로 섬겼다고 한다.

 

 

용맹성 에서도 타의 추종을 불허 한다.

 

 

권투선수 타이슨은 집에서 호랑이를 키웠다고 하던데...

 

 

백두산 호랑이는 이렇게 배가 뚱뚱하지가 않고 날씬하면서 키는 더 커 보인다.

 

 

감히 호랑이에게 대적할 짐승은 없다.

 

 

어떻게 보면 유순해 보이기도 하지만.~!

 

 

동물원의 호랑이는 많이 불쌍해 보인다.

 

 

어찌하다 사람에 잡혀서 같혀사는 신세가 되었느냐~?

 

 

지금 동물원의 많은 동물들이 야생성을 잃었다고 하더라...

 

 

호랑이 너 참 잘생겼다

산에서 이런넘을 만난다면 정말 정신을 잃을만 하지않은가?

 

 

나는 누구야~! 하는것 같다. ㅎㅎㅎ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11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873 [쉼터] - 축구선수, 축구화, 그리고 색상세계 2016-12-25 0 3642
872 [쉼터] - 축구스타, 발롱도르, 그리고 축구샛별... 2016-12-25 0 3271
871 [록색문학평화주의者]동북호랑이 일부를 자연속에 놓아주었으면!... 2016-12-25 0 3250
870 [쉼터] - 고유종, 멸종위기, 천연기념물, 그리고 지구의 자산 2016-12-24 0 5583
869 우리 고향 하천에도 "깡종개"라는 물고기가 있었었는데... 2016-12-24 0 5636
868 [자료] - "태양광전자판도로", 세계 최초, 록색문학평화주의者 2016-12-23 0 3646
867 [자료] - 사막, 37, 눈... 2016-12-23 0 3350
866 [그것이 알고싶다] - 히틀러가 전쟁광이기전 아마추어화가... 2016-12-23 0 3642
865 [그것이 알고싶다] - 운석 대폭발 순록의 참변 2016-12-23 0 3365
864 [그것이 알고싶다] - 천자문의 유래 2016-12-23 0 3697
863 [그것이 알고싶다] - 야구감독 유니폼 왜 입나?... 2016-12-22 0 3402
862 [그것이 알고싶다] - 바둑선수들 유니폼 없다?... 있다!... 2016-12-22 0 4001
861 [쉼터] - 암투병 소년, 명공격수의 꿈, "영원한 해맑은 미소" 2016-12-22 0 3347
860 [쉼터] - "금수저"아이, "흙수저"아이, 그리고 반칙없는 세상 2016-12-22 0 3694
859 [쉼터] - 축구선수들과 아이들 2016-12-22 0 4370
858 [쉼터] - "축구경기중계치료법", "반죽음 소년축구팬" 일어나다... 2016-12-22 0 5144
857 [쉼터] - 축구 유니폼 "전쟁" 2016-12-22 0 5039
856 [쉼터] - 축구스타의 매력, 스포츠의 마력 2016-12-22 0 5200
855 [쉼터] - 월드컵 비사 2016-12-22 0 3403
854 [쉼터] - 축구스타, 발롱도르, 그리고 축구의 기적... 2016-12-22 0 4083
853 [쉼터] - 축구스타, "황금빛 공", 그리고 축구세계... 2016-12-22 0 4861
852 [쉼터] - 축구선수들의 명언 2016-12-22 0 8413
851 [쉼터] - 수영황제, 금메달, 그리고 스포츠정신... 2016-12-22 0 4270
850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우리 고향에서도 축산물관리제도가 잘 되였으면... 2016-12-22 0 4509
849 [쉼터] - 착시현상과 상상과 그리고 요지경세상... 2016-12-22 0 5836
848 [쉼터] - "그 녀자는 엄마가 될 자격이 있다?...없다!!!..." 2016-12-22 0 3263
847 [쉼터] - 비행기 추락직전 좌석 옮겨 구사일생 하다... 2016-12-22 0 3771
846 서예계에서도 대필 된다?... 안된다!... 2016-12-21 0 3821
845 "정도를 지나치면 미치지 못함과 같다"... 2016-12-21 0 3860
844 "대필작가" 없다?있다!...하지만 문학, 미술창작엔 대필 없다... 2016-12-21 0 3506
843 내 삶에서 문학을 제거하면 그냥 "잡부 인생살이" 2016-12-21 0 3666
842 관행, 가난한 무명작가, 신인작가, "대필공장", 로동가치... 2016-12-21 1 3591
841 대작(代作), 대필(代筆), 그리고 "비륜리적 분업" 2016-12-21 0 4023
840 대작 미술계 관행... 대필 문학학술계 불관행... 2016-12-21 0 3906
839 꾸미지도 말고 속이지도 말며 있는 그대로 살아라... 2016-12-21 0 3525
838 미술계, 대작(대필) 논란, 그리고 화가의 량심... 2016-12-21 0 4111
837 [쉼터] - 재미로 보는 축구 뒷이야기... 2016-12-20 0 4072
836 [쉼터] - 축구스타, 전쟁, 그리고 축구꿈나무... 2016-12-20 0 4145
835 [쉼터] - 한국 축구 유니폼 변천사 2016-12-20 0 3621
834 [쉼터] - 축구와 비사 2016-12-20 0 3402
‹처음  이전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