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11월 2024 >>
     12
3456789
10111213141516
17181920212223
242526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시는 발효와 숙성의 간고하고 처절한 시간과의 결과물이여야...
2017년 02월 21일 00시 42분  조회:2762  추천:0  작성자: 죽림

 빈둥거리고 어슬렁거리고 게을러져라

 

 

발효와 숙성 -

 

젊은 이형기 시인이 대선배 조지훈에게 어떻게 하면 시를 잘 쓸 수 있느냐고 물었다. “그것은 그저 방치해둘 수밖에 없는 일이오라고 말했다 한다시를 방치하는 일그게 시를 잘 쓸 수 있는 길이라니 무슨 뚱딴지같은 소리인가그러나 오해하지 마라좋은 시를 쓰기 위해 무조건 한가하고 낭만적인 시간을 보내야 한다는 뜻은 아니다.

 

나는 빈둥거리며 노는 시간을 발효와 숙성의 시간이라고 부르고 싶다만약에 당신이 맛있는 술을 마시고 싶거든 술이 제대로 익기를 기다려라좋은 술일수록 절대로 혼자 병마개를 따고 홀짝이며 마셔서는 안 된다함께 마실 친구가 저녁 어스름에 당신을 찾아올 때가지 기다려라.

 

나는 어슬렁거리며 걷는 시간을 좋아한다어슬렁거려야 미세한 데 눈길을 줄 수 있고 세상의 뒤편을 응시할 수 있기 때문이다시를 공부하는 학생에게 나는 특별한 이유 없이 되도록 많이 걸을 것을 주문한다한적한 오솔길이나 들길이 아니더라도 좋다모든 길은 세상과 대화를 나눌 수 있는 훌륭한 통로그러나 시가 오지 않으면 아등바등 시를 찾아 나서지 마라그냥 놀아라시를 써서 무슨 이름을 얻겠다는 허영심을 버리고 시가 실패할지 모른다고 초조해하지도 마라.

 

 

쓰지 않고는 배길 수 없는 시간 -

 

 

시를 쓰다가 슬럼프에 빠지면 어떻게 해결하나 물어보지 마라시를 한 편 한 편 쓸 때마다 슬럼프인 것이니 정말 시를 쓰고 싶거든 슬픔마저 사랑하고 즐길 도리밖에 없다.

 

시를 다시 쓰면서부터는 신문을 끊었고 티브이를 거의 끊었고 외출을 거의 끊었다내가 문밖으로 나오는 것은 아침저녁 아파트 옆 구릉 위로 난 산책로를 걷는 때로 한정되어 있었다그 길을 걸으면서 시를 생각하고 머릿속에다 집을 짓듯 시를 짓고 지는 시를 외우며 돌아와서는 외워온 시를 입력하고 한 밤중에도 일어나 앉아 시를 고쳐 쓰곤 했다.

 

이렇게 말하는 위선환 시인은 30년간 시를 끊었다가 근래에 빛나는 시를 생산해내고 있는 분이다.

 

물 먹는 소 목덜미에

할머니 손이 얹혀졌다.

이 하루도

함께 지났다고,

서로 발잔등이 부었다고,

서로 적막하다고,

 

김종삼, <묵화전문

 

비록 여섯 줄밖에 안 되는 짧은 시이지만 행간과 행간 사이에 여백은 무한하고 시행은 끝났지만 마지막 쉼표는 소와 할머니의 상처와 그 둘 사이의 적막이 오래 지속되리라는 것을 암시한다.

이러한 적막을 사랑하라적막에 사로잡힌 적막의 포로가 되라. 적막 속에서 빈둥거리다보면 문득 소란이 그리워질 때가 있다그렇다고 세상의 소란 속으로 단번에 뛰어 들지 말고 가능하면 천천히 발걸음을 옮겨라그러다보면 시를 쓰지 않고는 못 배길 시간이 찾아올지 모른다아무 짝에도 쓸모없는 것을 알면서도 쓰지 않고는 견딜 수 없는 사람이 시인이다.

 

 

감정을 쏟아 붓지 말고 감정을 묘사하라

 

함축인가비유인가 -

 

교과서에서 시를 이렇게 정의한다시는 인간의 사상과 감정을 함축적이고 운율적인 언어로 표현한 글이라고. ‘함축과 운율은 시의 형식적 특성을 나타내는 용어임에 틀림없다.

시에서의 함축은 긴 내용을 줄여 말하기가 아니라 비유해서 말하기이다시의 함축은 감추어 말하기에 가깝다독자의 입장에서 함축의 의미는 시인의 말을 듣는 게 아니라 시인의 마음을 읽는 것이다즉 함축이란 겉으로 드러난 언어의 뜻을 좇는 게 아니라 언어가 내포한 속뜻과 암시하는 바를 살피는 일이라 할 수 있다행간을 읽으라는 말이다시의 함축성보다는 오히려 시가 비유적 표현을 뚜렷이 할 필요가 있다긴 이야기를 짧게 말하는 것이라기보다는 비유적인 표현의 사용이 시의 특성에 가깝다는 말이다라고 이남호는 강조한다매우 정확하고 적절한 의견이다.

 

 

고백 · 감상 · 현학 -

 

감정을 드러내고 쏟아 붓는 일은 시작법에서 가장 경계해야 할 일이다슬프다 기쁘다 보고 싶다 아름답다거나 하는 감정을 그대로 드러내는 것을 우리는 고백이나 넋두리’ 혹은 하소연이라 부른다그런 것은 시의 일부분이 될 수는 있어도 시의 모든 것은 아니다.

 

시가 고백적 양식이라 믿는 사람들이 범하기 쉬운 세 가지가 있다.

첫 번째, 과장이다제발 그리운 척하지 마라혼자서 외로운 척하지 마라당신만 아름다운 것을 다 본 척 하지 마라그런 것들은 우습다.

두 번째감상(感傷)이다세상의 모든 슬픔을 혼자 짊어진 척하지 마라아프지도 않은데 아픈 척하지 마라질질 짜지 마라그런 것들은 역겹다.

세 번째현학이다무엇이든 다 아는 척유식한 척하지 마라시에다 제발 각주를 좀 달지 마라그런 것들은 느끼하다.

시는 감정의 배설물이 아니라 감정의 정화조다. 속에서 터져 나오려는 감정을 억누르고 여과시키는 일이 바로 시인의 몫이다.

 

 

묘사의 힘 -

 

내가 내 감정을 말하지 않아도 사물이 대신 이야기 해준다.” 고 말한 이는 연암이다그렇다면 시인은 감정을 말하는 사람이 아니라 사물이 하는 이야기를 받아 적는 사람이라고 할 수 있다이 때 시인의 받아 적기는 언어를 통해 이루어지고 감정을 언어화 하는 과정을 묘사라고 한다묘사란 감정을 객관적이고 구체적인 언어로 그려내는 것이다시인이 묘사한 언어를 보고 독자는 머릿속에 어떤 그림을 그리게 되고 그 그림을 이미지라고 한다.

 

달개비 떼 앞에 쭈그리고 앉아

꽃 한 하나를 들여다본다

이 세상 어느 코끼리 이보다도 하얗고

이쁘게 끝이 살짝 말린 수술

둘이 상아처럼 뻗쳐 있다.

 

황동규, <풍장58> 부분

 

혹시 들길을 걷다가 당신은 달개비 꽃잎 속에 코끼리 한 마리가 들어 앉아 있는 것을 본 적이 있는가식물을 자세히 들여다봐야 하고 귀에 들리는 새소리를 언어의 그림으로 그릴 준비를 해야 한다.

 

어떤 시가 언어예술로서의 기본적인 꼴을 갖추었는가의 여부는 묘사의 정도에 따라 결정된다사물에 대한 묘사능력으로 시의 품격을 판단할 수 있다는 말이다묘사는 시를 습작하는 사람들이 반드시 오랜 시간을 들여 공부해야 하는 필수과목이다시인은 세상에 대해 이러쿵저러쿵 말하는 자가 아니라 세상을 세밀하게 그리는 자이기 때문이다시인은 자기가 말하고 싶은 것을 최대한 정확하고 절실하게 언어로 그릴 책임이 있다내 마음 속에 있는 감정을 그대로 까발려 드러내면 시가 추해 진다내 마음을 최대한 정성들여 그려서 보여주기그게 바로 시다.

 

산등에 붙은 오막살이 까치둥지 같다

그래도 울타리에는 가지마다 봄꽃이 곱다

집이 너무 헐어서 바람도 딱하게 여기나 보다

꽃이파리 휘몰아다가 낡은 지붕을 깁는다

 

조선 후기 한욱의 한시

 

서정시에서 자아가 대상에 스미는 것을 동화’ 혹은 감정이입이라 하고대상한테 자아를 맡기고 비춰보는 것을 의탁’ ‘투사’ 혹은 투영이라 한다주체와 객체의 동일시라는 전통적인 서정시의 문법이 여기서 발생한다이 시에서 1, 2연은 자아가 풍경에 동화되는 순간을 제시한다. 3, 4연은 자아의 감정을 바람에 의탁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산등성이 오막살이집의 낡은 지붕을 안쓰럽게 바라보는 화자의 심정을 바람이라는 자연현상에 투사하고 있는 것이다애처롭고 딱한 감정을 단순 토로하는 게 아니라 꽃잎이 낡은 지붕을 덮는 객관화된 풍경과 동일시하는 이 기법은 묘사가 아니면 불가능하다묘사는 무엇보다도 구체적 형상화에 반드시 필요한 조건이다시에서 구체성은 감동의 원천이고 삶의 생생한 근거이기 때문이다.

 

시에서 묘사에 충실해야 하는 이유는 대상의 현상을 생생하게 그리기위해서만 아니라 대상의 본질에 이르는 관문이기 때문이다묘사는 시의 화자인 를 객관화하는 데 기여하는 형상화 방식이므로 묘사를 통해서 대상과 시적 화자는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게 된다시로써 말할 수 있는 게 많은가처음부터 끝까지 묘사 한 줄 없이 뱃속에 든 것을 줄줄이 쏟아 놓기만 하는 시는 우리를 슬프게 한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370 시인은 작품속에 삶의 몸부림과 고통을 버무려야 한다... 2017-04-03 0 2528
369 당신은 왜 시인의 험난한 길을 걸어가려 하십니까?... 2017-04-03 0 2186
368 시는 누구나 쓸수 있으나 아무나 시인이 되는것은 아니다... 2017-04-03 0 2350
367 시인은 시상(詩想), 시정(詩情), 시흥(詩興)을 깨울줄 알아야... 2017-04-02 0 2255
366 시인은 시상이라는 "낚시 찌"에 전신전령을 기울려야... 2017-04-02 0 2682
365 시인은 詩나무그루터에 오줌을 싸고 있었다... 2017-04-02 0 2306
364 형이상시에서 이질적인 이미지들을 폭력조합시켜라... 2017-03-29 0 2755
363 형이상시는 불협화음속에서 기상천외의 조화로운 분위기를... 2017-03-29 0 2564
362 시인은 언어를 잘 다룰줄 아는 고급동물이다... 2017-03-29 0 2391
361 형이상시는 즉물시와 사물시를 포괄한 제3류형의 시이다???... 2017-03-29 0 2667
360 형이상시에서 객관적 상관물의 발견으로 통합된 감수성을... 2017-03-29 0 2233
359 형이상詩는 21세기의 시운동의 모델이라고???... 2017-03-29 0 2436
358 시인은 자연과 타인의 생을 기웃거리는 촉매자이다... 2017-03-29 0 2484
357 시에서 아방가르드 정신을 꿈꾸는 자는 늘 고독하다... 2017-03-29 0 2378
356 [시문학소사전] - 시쓰기에서 알아야 할 용어들 2017-03-29 0 2890
355 현대시는 탈관념의 꿈꾸기이며 언어적 해체인것이다... 2017-03-29 0 2517
354 후기산업혁명사회의 현대인들의 병을 시로 치료하라... 2017-03-29 0 2368
353 시란 희노애락을 부르짖는 소리이다... 2017-03-29 0 2776
352 "전통시인"이나 "실험시인"이나 독자를 외면하면 안된다... 2017-03-29 0 2270
351 현대시쓰기 전 련상단어 100개 쓰기부터 하라... 2017-03-29 0 2980
350 현대시의 실험적 정신은 계속 진행형이다... 2017-03-29 0 2254
349 현대시의 흐름을 알고 시작(詩作)을 시작(始作)하자... 2017-03-29 0 2211
348 현대시는 "단절의 시대"에 직면하고 있다... 2017-03-29 0 2467
347 시는 추상적인 표현과 원쑤지간이다... 2017-03-29 0 2729
346 시심의 모든 밑바탕은 지, 정, 의를 근본으로 한다... 2017-03-29 0 2149
345 시가 "디지털혁명시대"와 맞다들다... 2017-03-27 0 2398
344 프랑스 시인 - 폴 엘뤼다르 2017-03-27 0 3288
343 시어는 삶과 한 덩어리가 된, 육화적인 언어로 련금술해야... 2017-03-27 0 2318
342 시는 한점의 그늘 없이 화창해야 한다... 2017-03-27 0 2424
341 시인아, 어쨌든 있을 때 잘해야지...그리고...상투는 없다... 2017-03-24 0 2071
340 시인의 "적막한 키스"는 이제 어디로 가야 할것인가... 2017-03-23 0 2320
339 시와 련관성이 없는 "무의미시"의 낱말로 제목화할수도 있어... 2017-03-22 0 2451
338 이순신 장군 시 모음 2017-03-21 0 3010
337 저 밑에는 날개도 없는것들이 많단다... 2017-03-21 0 2515
336 류시화 시 모음 2017-03-21 0 5845
335 새가 나무가지를 못떠남은?!ㅡ 2017-03-21 0 2506
334 <새(鳥)> 시 모음 2017-03-21 0 2698
333 시제는 그 시의 얼굴로서 그작품의 질과 수준을 예감할수도... 2017-03-21 0 2796
332 시의 제목을 첫행이나 끝행으로 할수도 있다... 2017-03-20 0 2451
331 시의 제목에 의하여 시의 탄력이 생긴다... 2017-03-18 0 2494
‹처음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