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6월 2024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29
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임금은 "배", 백성은 "물"
2017년 04월 23일 22시 57분  조회:4602  추천:0  작성자: 죽림

군주민수(君舟民水)의 한자유래

古今東西/四字成語 2016.12.26 15:15

◎ 글자풀이 임금 군(배 주(백성 민(물 수()

◎ 뜻풀이 : “강물(백성)이 화가 나면 배()를 뒤집을 수 있다는 것.

◎ 설명 올해 교수(敎授)들이 선정한 2016년 사자정어(四字成語군주민수(君舟民水)의 뜻은 강물(백성)이 화가 나면 배()를 뒤집을 수 있다는 것으로서 교수 611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設問調査)를 통해 32.4%의 선호도(選好度)를 얻었.

임금 군()의 구성(構成)은 다스릴 윤()과 사람의 입모양을 본뜬 입 구()로 이루어졌다()은 지휘봉(指揮棒역할을 하는 지팡이(丿)를 오른손(=)으로 쥐고 있는 모양(模樣)을 그려낸 것으로권위(權威)의 상징인 지팡이를 쥐고 있기에 다스리다는 뜻을 부여(附與)하였다이에 따라 군()의 의미는 통치(統治)의 상징인 지팡이를 오른손에 쥐고()서 입()으로 명령을 내릴 수 있는 사람이 곧 임금이나 주권자라는 뜻이다. 

 

배 주()의 구성(構成)을 설문(說文)”에서는 ()는 배를 말한다옛날에 공고(共鼓)와 화적(貨狄)이 나무를 쪼개어 배를 만들고 나무를 깎아 노를 만들어 통하지 못했던 곳을 건너게 하였다상형글자(象形字)이다.”고 하였다갑골문(甲骨文)을 보면 여러 개의 판자(板子)를 덧대어 만든 직사각형(直四角形)의 네모진 배를 그리고 있다. 

 

백성 민()은 상형글자(象形字)로 갑골문(甲骨文)을 살펴보면 뾰족한 바늘과 같은 꼬챙이로 한쪽 눈을 찔린 사람을 뜻하는데고대(古代)에는 주로 죄수(罪囚)나 포로(捕虜)를 지칭(指稱)하는 글자다즉 지배계층(支配階層)이 아닌 노예(奴隸)와 같은 하층의 사람을 뜻한다그러다 후대로 내려오면서 일반적인 사람 모두즉 평민(平民)을 뜻하게 된다()은 금문(金文)에서 예리한 침 같은 것에 한쪽 눈이 찔린 사람의 모습(模襲)이다옛날 전쟁(戰爭)에서 포로를 잡을 경우남자이면 한쪽 눈을 찔러 노동력(勞動力)은 보존(保存)하되 반항능력(反抗能力)은 줄여 노예로 삼는다이러한 모습은 착할 장()이나 아이 동()에서도 그 흔적(痕迹)을 찾을 수 있다그래서 민()의 원래 뜻은 노예(奴隸)이며이후 지배자(支配者)의 통치(統治)를 받는 계층(階層)이라는 의미에서 백성(百姓)’이라는 뜻이 나왔고다시 사람()’이라는 일반적 의미로 확장(擴張)된다. 

 

물 수()자는 흐르는 냇물의 물줄기()와 반짝이는 물결 꼴을 본뜬 상형자(象形字)'()'이라는 뜻의 4획 글자이다그런데 수()자는 글자 내에서 물 수(), 꼴로 변형(變形)되거나 본래 꼴인 ’ 모습(模襲)으로 나타난다물은 고대(古代)부터 우주 만물(宇宙萬物)의 근원(根源)으로 인식(認識)되어져 왔으며지구(地球)의 약 70%가 물로 구성(構成)되어 있고신체의 70% 이상을 차지(借地)하고 있다물은 자연(自然)과 인간의 구성비(構成比)를 보더라도 우리들과 얼마나 친숙(親熟)한지 쉬 알 수 있다.그래서인지 우리가 사용(使用)하는 한자 가운데 수(부수(部首)에 속하는 글자가 가장 많이 사용(使用)한다()자는 '강 강()'이나 '바다 해()'자처럼 왼쪽에 쓰일 때 ''의 꼴은 '삼수변()'이라 칭한다삼수변()은 세(점을 찍은 꼴로 물()을 나타내며 글자의 왼쪽 끝인 변()에 놓여서 '삼수변(三水邊)' 이라 일컫게 된 것이다또한 수()자는 '클 태()'자나 '사나울 폭()'자처럼 글자의 밑에 놓이면서 형태가 변형(變形)된 ''의 꼴로 쓰이기도 한다물의 '꼴은 폭포에서 떨어지는 물줄기(양옆으로 물이 끊어져 떨어지는 물방울(::)처럼 매우 동적(動的)인 장면을 연상(聯想)시킨다이와는 대조적(對照的)으로 수()자는 수부(水部글자인'샘 천()'이나 '미음 장(漿)'자 또는 전부(田部글자인 '논 답()'자의 위나 아래에서 ''의 꼴로 쓰이는 예도 있다이런 쓰임은 물이 고요하게 고여 있는 물의 정적(靜的)인 장면을 연상시킨다따라서 삼수변()은 물의 움직임 관점(觀點)에서 보면 글자 내에서 동적(動的)인 '꼴과 정적(靜的)인 ''의 중간 정도(程度)의 움직임으로 여기면 된다이처럼 한자(漢字)는 보편적인 것을 중심으로 양쪽 극단(極端)의 현상까지를 보여주는 경우(境遇)가 많다(부수는 대부분 왼쪽 가장자리에 놓이는'삼수변()'으로 쓰이고간혹 글자 밑에 놓여 '꼴로 변형(變形)되어 쓰인다.(부수에 속하는 글자는 1) 물의 명칭(名稱)이나 종류물이 놓인 장소, 2) 물의 성질(性質)이나 상태, 3) 물의 움직임이나 사람의 행위(行爲)나 동작에 관한 의미(意味)들이 스며있다()자는 육지(陸地)의 상대 개념홍수(洪水), 액체(液體), 평평하다-수평(水平), 수준(水準), 오행(五行)의 하나수성(水星)등을 뜻한다이 중에서 물의 의미(意味)와 우리 전통과 밀접(密接)한 관계가 있는 오행과 결부(結付)시켜 물의 속성(屬性)에 대한 상징성(象徵性)을 맛보자먼저 수()자가 물의 의미로 쓰인 예는 수어지교(水魚之交)나 산전수전(山戰水戰등이 있다수어지교(水魚之交)는 물속의 고기처럼 매우 친밀하게 사귀는 '물과 고기의 사귐'이란 뜻으로 서로 떨어질 수 없는 사이를 비유(比喩)하는 말로주로 임금과 신하 사이의 친밀(親密)함을 이른다그리고 산전수전(山戰水戰)은 산에서 싸우고 물에서 싸운다는 뜻으로 세상일의 온갖 고난을 겪은 경험(經驗)을 비유한 말이다보통 임금과 신하는 수어지교(水魚之交)와 같이 떨어질 수 없는 사이인 만큼 산전수전(山戰水戰다 겪으며 친밀한 관계를 유지(維持)하는 것이 일반적(一般的)이다다음으로 수()자는 오행(五行)의 하나이다물은 음()의 기운을 갖으며 오행(五行)의 하나로 여겨졌는데이는 고대인(古代人)에게 물이 우주(宇宙)를 구성하는 원소(原素)로 생각되었기 때문이다또한 수()자는 혹성 중에서 가장 작고 태양(太陽)에 가장 가까운 별인 수성(水星)을 상징하며 오색(五色중에서 흑색(黑色)을 상징한다그리고 물()은 나무()를 만들고 불()을 극복하는 팔괘(八卦)의 북()쪽을 가리킨다북쪽하면 연상(聯想)되는 색깔은 흑색(黑色)이며 북망산으로 가신님을 생각하며 슬프게(울어 옷깃에 눈물 적시는 애닮은 감정(感情)과 통한다또한 수()자는 사람의 오장(五臟중에서 콩팥인 신장(腎臟)에 해당하여 인체의 노폐물(老廢物)을 오줌과 함께 내보내며 체액의 균형(均衡)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그리고 오행 중의 물이 짠맛()과 관련이 있는 것은 짠 음식을 많이 먹으면 물을 많이 들이키는 것으로 쉬 알 수 있는데이는 체내의 염분농도(鹽分濃度)를 희석(稀釋)시키려는 작용(作用)이다마지막으로 수()자는 유교에서 일컫는 다섯 가지 덕목인 오상(五常)에서 지혜()를 나타내는 것으로 어진 사람은 나무가 많은 산을 좋아하고 지혜(智慧)로운 사람은 물이 많은 바다를 좋아한다는 "인자요산(仁者樂山지자요수(智者樂水)"란 말을 보아도 쉽게 이해(理解)할 수 있다인자(仁者)는 중후한 산처럼 변치 않는 의리 때문에 산을 좋아하는 것과는 대조적(對照的)으로 지자(智者)가 물을 좋아하는 이유(理由)는 물과 같이 막힘없이 사리(事理)에 통달(通達)하고자 하는 성향(性向때문이다.

◎ 유래 : 군주민수(君舟民水뜻 자세히 살펴보면 군주민수(君舟民水)’는 순자(苟子왕제(王制)편에 나오는 사자성어(四字成語)로서 원문(原文)은 군자주야 서인자수야(君者舟也 庶人者水也). 수즉재주 수즉복주(水則載舟 水則覆舟). 군이차사위 즉위장언불지의(君以此思危 則危將焉而不至矣).’로 풀이하면 백성은 물임금은 배니강물의 힘으로 배를 뜨게 하지만 강물이 화가 나면 배를 뒤집을 수도 있다는 내용(內容)이 담겨져 있다.(한국뉴스투데이)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11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113 [그것이 알고싶다] - 바이올린의 유래?... 2017-05-01 0 4478
1112 [쉼터] - 료동에 "과수박물관" 없다?... 있다!... 2017-04-30 0 3557
1111 [그것이 알고싶다] - 피아노의 유래?... 2017-04-25 0 6075
1110 [작문써클선생님들께]-식사시간, 잠자는 시간, 스마트폰= 0 2017-04-24 0 3674
1109 [그것이 알고싶다] - 미국 국가의 뒷이야기... 2017-04-23 0 4767
1108 [그것이 알고싶다]-"도, 레, 미, 파, 솔, 라, 시" 계이름 유래?... 2017-04-23 0 4232
1107 [그것이 알고싶다] - 거문고의 유래?... 2017-04-23 0 3947
1106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임금은 "배", 백성은 "물" 2017-04-23 0 4602
1105 [그것이 알고싶다] - 지휘대에서 최초로 지휘한 인물은?... 2017-04-23 0 3657
1104 [고향문단소식]-화룡출신 김영자 소설가 "거부기" 등을 타다... 2017-04-23 0 3512
1103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생각을 바꾸면 세상이 바뀐다... 2017-04-20 0 3390
1102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동북범"아, 맘대로 뛰여 놀아라... 2017-04-20 0 3192
1101 한반도에서 가장 높은 산의 높이는 2,750메터이다... 2017-04-20 0 6790
1100 [쉼터] - "네시"야,- 네시(四時)에 나올수 있는 확률은 얼마?... 2017-04-20 0 5934
1099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남의 일이 아니다... 2017-04-20 0 3840
1098 [쉼터] - "네시"야,- 네시(四時)에 나와 놀자!... 2017-04-19 0 5575
1097 [회음]=2014년도에 제기되였던 일인데 지금의 실시상황은?... 2017-04-19 0 3556
1096 [쉼터] - 세기의 도서 100 2017-04-18 0 5288
1095 한국 국내 최초 주간문예지를 알아보다... 2017-04-18 0 4500
1094 [쉼터] - 고봉에 고봉을 올라 조선족의 자존심 세우기만을... 2017-04-18 0 3165
1093 [쉼터] - 꼬마축구팬 행동거지에 그만 나도 눈물이 왈칵!... 2017-04-18 0 3278
1092 세계 영화사 100 2017-04-10 0 4137
1091 [쉼터] - 먹는 꽃과 먹지 못하는 꽃 알아보기 2017-04-02 0 4095
1090 "6.10 "과 10억 2017-03-29 0 3194
1089 [고향문단소식]- "흑토 녕안 파수군=최화길 "사랑" 출산하다... 2017-03-27 0 5097
1088 전통예술은 절대로 포기할수 없다... 2017-03-23 0 5501
1087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몰상식한이 호랑이를 죽여버리다... 2017-03-22 0 3958
1086 [고향문단소식] - 화룡 출신 정세봉 평론집 출간되다... 2017-03-22 0 3247
1085 [록색문학평화주의者]-중국 훈춘 경신벌에 기러기 날아들다... 2017-03-21 0 6012
1084 "竹林七賢"을 알아보다... 2017-03-20 0 3744
1083 11개의 세계기록을 보유한 99세 할머니 2017-03-20 0 3282
1082 윤동주 재판 기록 판결문 공개되다... 2017-03-18 0 3271
1081 중국 연변 가야금의 산증인들을 알아보다. 2017-03-16 0 5359
1080 중국 길림성 연변 룡정시 동불사진에서 공룡발자국 발견하다 2017-03-16 0 2984
1079 [록색문학평화주의者]= 동북범, 표범 국가공원을 설립해야... 2017-03-13 0 3520
1078 윤동주 유품을 보다... 2017-03-12 0 3900
1077 일본에서 일본인의 손으로 윤동주 시비를 세우려 하다... 2017-03-11 0 3698
1076 중국조선어사정위원회에서 새 "조선말규범집"을 만들다... 2017-03-11 0 3160
1075 매사냥이 유네스코 지정 세계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되다... 2017-03-10 0 3099
1074 매로 까마귀떼를 쫓다... 2017-03-10 0 3424
‹처음  이전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