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6월 2024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29
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그것이 알고싶다] - 미국 국가의 뒷이야기...
2017년 04월 23일 23시 45분  조회:4768  추천:0  작성자: 죽림

 

                미국 국가(國歌)

 

National Anthem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The Star Spangled Banner(별이 빛나는 깃발 : 성조기)

 

미국의 국가 성조기(The Star-Spangled Banner, 별이 빛나는 깃발)는

법률가이자 시인이었던 프랜시스 스캇 키(Francis Scott Key)가 작사했고,

곡조는 존 스태포드 스미스가 작곡한, 영국의 한 클럽에서 술을 마실 때 부르던

'천국의 아나크레온에게'(To Anacreon in Heaven)라는 노래를 사용한다.

 

 

 

1. 미국 국가의 가사 이야기

 

미국 국가의 가사(歌辭)는 Francis Scott Key라는 워싱턴 출신 미국의 법률가가 
1814년 볼티모어의 맥헨리 전투를 보고 쓴
‘맥헨리 요새의 방어’(The Defence of Fort McHenry)라는 詩에서

유래하는데, 이 시는 다음과 같은 배경을 바탕으로 쓰여졌다.

 

 

1814년 9얼 13일 아침, 영국함대가 볼티모어 만의 입구에 위치해 있던 작은 규모의 맥헨리 요새에

집중포격을 가하기 시작했다. 포격은 낮과 밤을 가리지 않고 지속되었다.

맥헨리 요새에서는 천여명의 미국측 방어군들이 영국군의 포격에 대항했지만 역부족이었다.

맥헨리 요새에서 영국함대에 대포를 쏘아도 대포의 사정거리가 영국군 함대에 이르지 못했기 때문이다.

요새는 무너져 내렸다. 하지만 당시 미국 방어군은  이 요새에서 용케도 영국군의 포격을 견디어냈다.

 

한편 '프랜시스 스캇 키'라는 워싱턴 출신의 변호사가 한 척의 영국 군함에서 이 광경을 지켜보고 있었다.

영미전쟁 당시 볼티모어의 의사 한 명이  영국 배에 억류되는 사건이 발생했고 

이때 미국은 프랜시스 스캇 키를 협상단으로 보내 영국과 협상을 벌이게 하였다. 

억류된 의사의 석방 협상을 위한 협상단의 자격으로 영국의 한 군함에 있었던 스캇 키가

마침 맥헨리 전투를 목격하게 된 것이다.

 

마침내 포격이 끝나고 14일 아침이 밝아왔을 때 

격렬했던 전투의 결과를 보기위해 맥헨리 요새를 바라보게 된 스캇 키,

그가 목격한 것은 포격 당한 맥헨리 요새 위로 당당하게 휘날리는 성조기였다.

엄청난 감동이 그의 가슴을 고동치게 했다.

지난 밤의 그 치열했던 전투에도 불구하고 어스름 새벽 여명에 찬연히 빛나는 성조기를 보자

벅찬 표현들이 마음속에 솟구쳐 올랐고 마침 가지고 있던 편지봉투 뒷면에 그 문구들을 적어 내려갔다.

 

...O say, can you see, by the dawn’s early light, 
What so proudly we hailed at the twilight’s last gleaming, 
Whose broad stripes and bright stars, through the perilous fight, 
O’er the ramparts we watched, were so gallantly streaming? 
And the rockets’ red glare, the bombs bursting in air, 
Gave proof through the night that our flag was still there 
O say, does that star-spangled banner yet wave 
O’er the land of the free and the home of the brave.

이른 새벽의 빛에 오, 그대는 보이는가, 
어제 황혼의 마지막 빛 속에서 우리가 그토록 자랑스럽게 환호했던, 
넓은 줄과 빛나는 별들이 새겨진 저 깃발이, 치열한 전투 중에서도 
우리가 사수한 성벽 위에서 당당히 나부끼고 있는 것이, 
포탄의 붉은 섬광과 창공에서 작렬하는 폭탄이, 
밤새 우리의 깃발이 있었던 증거이다. 
오, 성조기는 지금도 휘날리고 있는가
자유의 땅과 용감한 자들의 고향에서. 
 

 

 

 

 

 

 

 

 

 

 

                                


 

         미국 국가도 4절까지 있다.

 

1

O say, can you see, by the dawn’s early light.

What so proudly we hailed at the twilight’s last gleaming,

Whose broad stripes and bright stars, through the perilous fight,
O’er the ramparts we watched, were so gallantly streaming?
And the rockets’ red glare, the bombs bursting in air,
Gave proof through the night that our flag was still there;
O say, does that star-spangled banner yet wave
O’er the land of the free and the home of the brave?
 
2절
On the shore, dimly seen thro’ the mist of the deep,
Where the foe’s haughty host in dread silence reposes,
What is that which the breeze, o’er the towering steep,
As it fitfully blows, half conceals, half discloses?
Now it catches the gleam of the morning’s first beam,
In full glory reflected, now shines on the stream
’Tis the star-spangled banner. Oh! long may it wave
O’er the land of the free and the home of the brave!
 
3절
And where is that band who so vauntingly swore
That the havoc of war and the battle’s confusion
A home and a country should leave us no more?
Their blood has washed out their foul footstep’s pollution.
No refuge could save the hireling and slave
From the terror of flight, or the gloom of the grave,
And the star-spangled banner in triumph doth wave
O’er the land of the free and the home of the brave.
 
4절
Oh! thus be it ever, when freemen shall stand
Between their loved homes and the war’s desolation,
Blest with vict’ry and peace, may the Heav’n rescued land
Praise the Pow’r that hath made and preserved us a nation!
Then conquer we must, when our cause it is just,
And this be our motto: "In God is our trust."
And the star-spangled banner in triumph shall wave
O’er the land of the free and the home of the brave.

 

 

 

 
1절
오, 그대는 보이는가, 이른 새벽 여명 사이로
어제 황혼의 미광 속에서 우리가 그토록 자랑스럽게 환호했던,
넓직한 띠와 빛나는 별들이 새겨진 저 깃발이, 치열한 전투 중에서도
우리가 사수한 성벽 위에서 당당히 나부끼고 있는 것이.
포탄의 붉은 섬광과 창공에서 작렬하는 폭탄이
밤새 우리의 깃발이 휘날린 증거라.
오, 성조기는 지금도 휘날리고 있는가
자유의 땅과 용자들의 고향에서!
2절
저 깊은 안개 사이로 희미하게 보이는 해안,
오만한 적군도 공포의 적막 속에서 숨어 있는 그 곳에서
드높이 치솟은 절벽 위로 변덕스런 산들바람 따라
반쯤 가려졌다 반쯤 드러나 보이는 저것이 무엇이냐?
이제 아침의 첫 광휘를 받아
충만한 영광에 반사되어 강물 위로 빛나는,
그것은 바로 성조기. 오! 영원토록 휘날리소서
자유의 땅과 용자들의 고향에서!
3절
그토록 자신만만 호언장담했던 그 무리는 어디 있느뇨?
그리고 전쟁의 파괴와 전투의 혼란 속에서
우리에게 집이고 조국이고 아무것도 남아있지 않으리라
그들의 피로 더러운 자신의 발자국의 때를 씻어냈도다.
그 어떤 피난처도 그 용병들과 노예들을
패주의 공포와 무덤의 암흑으로부터 구해주지 못했고,
성조기는 승리차게 휘날리누나
자유의 땅과 용자들의 고향에서!
4절
오! 그리하여 자유로운 사람들이
사랑하는 그들의 고향과 전쟁 폐허 사이에서 언제나 일어서리라.
승리와 평화로 축복을 받으며 하늘이 구한 이 땅이
우리의 나라를 만들고 지켜 준 신의 권능을 찬양하게 하소서.
대의가 정당하면 우리는 필승할 것이오,
우리의 좌우명은 "하느님 안에 우리의 믿음이".
그리고 성조기는 승리차게 휘날리리라
자유의 땅과 용자들의 고향에서!

 

 

     

 

 2. 미국 국가의 곡 이야기

 

 

 

 

그런데 이렇게 엄숙한 가사에 붙여진 곡이 권주가(勸酒歌)라는 사실이 좀 의외다.

즉, 스캇 키가 쓴 가사에 영국에서 술을 마실 때 부르는 일종의 권주가인 
‘천국의 아나크레온에게’(To Anacreon in Heaven)라는 노래의 곡조를 갖다 붙여 국가로 사용한 것이다.

 

"To Anacreon in Heaven"이라는 노래는 존 스태포드 스미스라는 영국사람이 작곡하여

영국의 "the Anacreonic Club"이라는 사교클럽에서 클럽 회원들이 술울 마실 때 부르던 권주가였다.

 "마시자~ 한 잔의 술~"이런 식으로 술을 마실 때 흥을 돋우던 노래였던 것이다.

 

 

 

 

 

 

 

 

 

 

 

 

                        

 

 

3. 가사와 곡의 만남 그리고 國歌로 채택

 

 

프랜시스 스캇 키의 시는 '맥헨리 요새의 방어(The Defense of Fort McHenry)'라는 제목으로

1814년 처음 출판되었고 출판되던 그 해에 가사와 곡이 어우러진 노래가 낱장 악보로 다시 출판되면서

제목이 바뀌었다.

 

이후 이 미국 국가는 오랫동안 출판이 거듭되면서 가사와 곡조 모두 조금씩 바뀌었으며

많은 편곡도 이루어졌는데 행진곡으로 유명한 존 필립 수자가 미국 육·해군을 위해 편곡했고

그밖에도 여러 음악가들이 다양한 편곡을 남겼다.

 

전체 4절로 이루어진 이 곡은 이후 지속적으로 불려지다가

1889년에 해군으로부터 인정 받았고,

1916년에 백악관으로부터 인정 받았으며

1931년 당시 미국의 대통령이었던 후버의 요청으로 의회로부터 공식 국가로 채택되었다.

 

1931년 이전에는 '컬럼비아 만세'라는 곡 등이 국가로 쓰이기도 했다.

 

 

 

 

 

 

 

 

 

 

                               

 

 

4. 비공식적인 미국국가 "America The Beautiful"

 

우여곡절 끝에 미국국가로 채택된 "별이 빛나는 깃발" ....
 

그러나 현재 미국 국가인 "별이 빛나는 깃발"의 국민 지지도는 30%가 되지 않는다고 하는데, 

그 이유는 4절까지 되는 긴 곡이어서 외우기도 만만치 않은데다가,

어려운 박자가 많아 따라 부르기도 힘들기 때문이다.

 

미국 국가가 연주되면 미국인 모두 의기롭게 따라 부르다가 점점 더 목소리가 잦아든다.

부르기가 결코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수퍼보울 등의 행사가 있으면 유명한 가수들이 국가를 부르는 모습을 많이 볼 수 있는데

따라 부르기 어려운 국가를 친숙하게 하기 위한 의도가 있는 것이다. 

 

 

그래서일까 여류시인이자 교수인 Katharine Lee Bates가 1893년에 작사하고  

오르가니스트이자 교회성가대 지휘자인 Samuel A. Ward가 작곡한

"America the Beautiful" 이라는 노래가 오히려 더 많은 미국인의 사랑을 받고 널리 불려지고 있다.  

 

"아름다운 아메리카"는사실상 '비공식적인 미국 국가'가 되었고 정식 국가 대신 많이 연주된다. 

미국 프로야구 게임에서는 시작전에 공식국가를 부르고 7회 중반에 이 노래를 또 부른다고 한다.

 

이 곡은 공식 국가에 비해 훨씬 더 서정적이고 평화롭고 따라 부르기도 쉽다.

따라서 "별이 빛나는 깃발" 대신에 이 노래를 공식 국가로 바꾸자는 움직임이 예전부터 있었다.

그러나 "별이 빛나는 깃발"을 사수하려는 여론도 만만치 않아
"비공식적으로만" 미국의 국가처럼 연주되고 있다.

 

 

 
                           

 

 

 

 

 

 

 

 

 

 

 

         

 

   America The Beautiful

 

 

 

O beautiful for spacious skies,
For amber waves of grain,
For purple mountain majesties
Above the fruited plain!

America! America!
God shed His grace on thee,
And crown thy good with brotherhood
From sea to shining sea!

 

O beautiful for pilgrim feet
Whose stern impassion'd stress
A thoroughfare for freedom beat
Across the wilderness.

America! America!
God mend thine ev'ry flaw,
Confirm thy soul in self-control,
Thy liberty in law.

O beautiful for heroes prov'd
In liberating strife,
Who more than self their country loved,
And mercy more than life.

America! America!
May God thy gold refine
Till all success be nobleness,
And ev'ry gain divine.

O beautiful for patriot dream
That sees beyond the years
Thine alabaster cities gleam
Undimmed by human tears.

America! America!
God shed His grace on thee,
And crown thy good with brotherhood
From sea to shining sea.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11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113 [그것이 알고싶다] - 바이올린의 유래?... 2017-05-01 0 4478
1112 [쉼터] - 료동에 "과수박물관" 없다?... 있다!... 2017-04-30 0 3557
1111 [그것이 알고싶다] - 피아노의 유래?... 2017-04-25 0 6076
1110 [작문써클선생님들께]-식사시간, 잠자는 시간, 스마트폰= 0 2017-04-24 0 3674
1109 [그것이 알고싶다] - 미국 국가의 뒷이야기... 2017-04-23 0 4768
1108 [그것이 알고싶다]-"도, 레, 미, 파, 솔, 라, 시" 계이름 유래?... 2017-04-23 0 4232
1107 [그것이 알고싶다] - 거문고의 유래?... 2017-04-23 0 3947
1106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임금은 "배", 백성은 "물" 2017-04-23 0 4602
1105 [그것이 알고싶다] - 지휘대에서 최초로 지휘한 인물은?... 2017-04-23 0 3657
1104 [고향문단소식]-화룡출신 김영자 소설가 "거부기" 등을 타다... 2017-04-23 0 3512
1103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생각을 바꾸면 세상이 바뀐다... 2017-04-20 0 3390
1102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동북범"아, 맘대로 뛰여 놀아라... 2017-04-20 0 3192
1101 한반도에서 가장 높은 산의 높이는 2,750메터이다... 2017-04-20 0 6791
1100 [쉼터] - "네시"야,- 네시(四時)에 나올수 있는 확률은 얼마?... 2017-04-20 0 5935
1099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남의 일이 아니다... 2017-04-20 0 3841
1098 [쉼터] - "네시"야,- 네시(四時)에 나와 놀자!... 2017-04-19 0 5575
1097 [회음]=2014년도에 제기되였던 일인데 지금의 실시상황은?... 2017-04-19 0 3556
1096 [쉼터] - 세기의 도서 100 2017-04-18 0 5288
1095 한국 국내 최초 주간문예지를 알아보다... 2017-04-18 0 4500
1094 [쉼터] - 고봉에 고봉을 올라 조선족의 자존심 세우기만을... 2017-04-18 0 3165
1093 [쉼터] - 꼬마축구팬 행동거지에 그만 나도 눈물이 왈칵!... 2017-04-18 0 3278
1092 세계 영화사 100 2017-04-10 0 4138
1091 [쉼터] - 먹는 꽃과 먹지 못하는 꽃 알아보기 2017-04-02 0 4096
1090 "6.10 "과 10억 2017-03-29 0 3195
1089 [고향문단소식]- "흑토 녕안 파수군=최화길 "사랑" 출산하다... 2017-03-27 0 5097
1088 전통예술은 절대로 포기할수 없다... 2017-03-23 0 5501
1087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몰상식한이 호랑이를 죽여버리다... 2017-03-22 0 3958
1086 [고향문단소식] - 화룡 출신 정세봉 평론집 출간되다... 2017-03-22 0 3247
1085 [록색문학평화주의者]-중국 훈춘 경신벌에 기러기 날아들다... 2017-03-21 0 6012
1084 "竹林七賢"을 알아보다... 2017-03-20 0 3745
1083 11개의 세계기록을 보유한 99세 할머니 2017-03-20 0 3282
1082 윤동주 재판 기록 판결문 공개되다... 2017-03-18 0 3271
1081 중국 연변 가야금의 산증인들을 알아보다. 2017-03-16 0 5359
1080 중국 길림성 연변 룡정시 동불사진에서 공룡발자국 발견하다 2017-03-16 0 2984
1079 [록색문학평화주의者]= 동북범, 표범 국가공원을 설립해야... 2017-03-13 0 3520
1078 윤동주 유품을 보다... 2017-03-12 0 3900
1077 일본에서 일본인의 손으로 윤동주 시비를 세우려 하다... 2017-03-11 0 3698
1076 중국조선어사정위원회에서 새 "조선말규범집"을 만들다... 2017-03-11 0 3160
1075 매사냥이 유네스코 지정 세계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되다... 2017-03-10 0 3100
1074 매로 까마귀떼를 쫓다... 2017-03-10 0 3424
‹처음  이전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