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그대들은 "단발머리"를 떠올려 보았는가...
2018년 03월 28일 01시 00분  조회:2540  추천:0  작성자: 죽림
 

 

/조용필

단발머리

 

 

 

그 언젠가 나를 위해 꽃다발을 전해주던 그 소녀
오늘따라 왜 이렇게 그 소녀가 보고 싶을까
비에 젖은 풀잎처럼 단발머리 곱게 빗은 그 소녀
반짝이는 눈망울이 내 마음에 되 살아나나네
내 마음 외로워 질때면 그날을 생각하고
그날이 그리워질때면 꿈길을 헤메는데
우-- 못잊을 그리움 남기고
그 소녀 데려간 세월이 미워라 

그 언젠가 나를 위해 꽃다발을 전해주던 그 소녀
오늘따라 왜 이렇게 그 소녀가 보고 싶을까
비에 젖은 풀잎처럼 단발머리 곱게 빗은 그 소녀
반짝이는 눈망울이 내 마음에 되 살아나나네
내 마음 외로워 질때면 그날을 생각하고
그날이 그리워질때면 꿈길을 헤메는데
우-- 못잊을 그리움 남기고
그 소녀 데려간 세월이 미워라

그 언젠가 나를 위해 꽃다발을 전해주던 그 소녀
오늘따라 왜 이렇게 그 소녀가 보고 싶을까
비에 젖은 풀잎처럼 단발머리 곱게 빗은 그 소녀
반짝이는 눈망울이 내 마음에 되 살아나나네 
 

 




========================



 

레코드사, 히트곡 31곡의 배포·복제권 이전에 합의 



(서울=연합뉴스) 이은정 기자 =
'가왕' 조용필(64, 2014년도)이 자신의 히트곡 31곡에 대한 저작권을 완전히 되찾았다. 


...한국음악저작권협회에 따르면 조용필의 과거 음반을 발매한 레코드사 측이 지난해 10월 한국음악저작권협회에 '원저작자인 조용필에게 '단발머리', '창밖의 여자' 등 히트곡 31곡에 대한 배포권과 복제권을 이전한다'는 내용의 공증서류를 접수했다. 양측이 합의한 공증 서류에는 향후 5년간 계약 내용과 관련해 비밀을 유지한다는 조항도 담겼다. 

이에 지난해 가을부터 복제권 저작권료가 조용필에게 분배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조용필은 1986년 해당 레코드사와 음반 계약을 하면서 A사장에게 저작권 중 일부를 양도하는 계약을 맺었다. 방송권과 공연권은 조용필이 갖되 배포권과 복제권은 A씨가 보유하는 내용이었다. 당시에는 국내 저작권법이 허술해 조용필은 저작권에 대한 개념이 부족한 상태에서 계약서에 사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10여 년이 지난 1997년 양측은 저작권을 두고 소송을 벌였고, 2004년 레코드사 측이 대법원에서 승소 판결을 받았다.

이에 따라 조용필은 이들 노래가 방송이나 공연에서 연주되거나 불릴 때의 저작권료는 받았지만, 자신이 이 곡들을 재녹음해 음반, DVD 등으로 판매할 때는 A씨 측에 저작권료를 내왔다. 

당시 계약에 포함된 곡은 '고추잠자리', '못찾겠다 꾀꼬리', '여행을 떠나요', '슬픈 미소', '어제 오늘 그리고', '촛불', '너무 짧아요', '그대여', 미지의 세계' 등 대부분 유명한 곡이다. 2006년 A씨가 세상을 뜬 뒤 아들 B씨가 저작권을 이어받았다. 

이 같은 사실은 지난해 4월 조용필의 19집 '헬로'가 큰 인기를 끌 당시 시나위의 신대철이 페이스북에 "(조용필이) 레코드사에 저작권을 뺏긴 슬픈 일이 있었다"는 글을 올리면서 알려졌다. 그로 인해 한 포털사이트 게시판에서는 '가왕 조용필의 31곡 저작권 반환을 요구합니다'라는 청원이 올라오기도 했다. 

조용필의 소속사 YPC프로덕션은 "레코드사 측에서 지난해 공증서류를 접수해 저작권을 되찾았다"며 "지난해 4월 이 내용이 외부로 불거지면서 레코드사 측과 해묵은 감정을 털고 다시 논의해 합의에 이르렀다. 그러나 계약 내용은 밝힐 수 없다. 음악 저작권 보호의 선례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330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창구멍 2018-12-20 0 2807
132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병아리 2018-12-19 0 2781
1328 윤동주와 꿈 2018-12-19 1 2703
1327 ... 2018-12-19 0 3178
1326 ... 2018-12-19 0 2483
1325 ... 2018-12-18 0 2922
1324 ... 2018-12-18 0 2530
1323 ... 2018-12-18 0 2615
1322 ... 2018-12-18 0 2797
1321 ... 2018-12-18 0 2528
1320 ... 2018-12-18 0 2783
1319 시 한수에 그림책 한부 나오다니... 2018-12-18 0 2897
1318 ... 2018-12-18 0 2553
1317 ... 2018-12-18 0 3296
1316 {자료} - 해방전 조선인 시선 2018-12-17 0 3212
1315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꿈은 깨여지고 2018-12-17 0 3042
1314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봄(2) 2018-11-30 0 6653
1313 윤동주와 "이상한 주사" 2018-11-30 0 3126
1312 [작문써클선생님께] - 시를 어떻게 쓸가ㅠ.. 2018-11-27 0 3607
1311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산울림 2018-11-27 0 3534
1310 윤동주와 "원산 송도원" 2018-11-26 0 3969
130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바다 2018-11-26 0 3460
1308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비로봉 2018-11-25 0 3378
1307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산협의 오후 2018-11-25 0 3607
1306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서시" 분석 2018-11-25 0 4356
1305 윤동주, 그 뒷이야기???... 2018-11-24 0 3213
1304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개(2) 2018-11-24 0 3075
1303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나무 2018-11-23 0 2636
1302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황혼이 바다가 되여 2018-11-20 0 3503
1301 백두산 / 조기천 2018-11-18 0 3257
1300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둘 다 2018-11-17 0 3258
1299 "한국의 안데르센" - 강소천 2018-11-17 0 2733
1298 윤동주와 강소천 2018-11-17 0 4679
1297 {자료} - 남영전시인이 보는 중국조선족문학 2018-11-17 0 2623
1296 윤동주가 좋아했던 아동문학가 - 윤석중 2018-11-16 0 2730
1295 윤동주와 윤석중 2018-11-15 0 3234
1294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아침 2018-11-15 0 3315
1293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겨울 2018-11-15 0 3240
1292 한춘&김혁 2018-11-15 0 2661
1291 리상(이상)이 동시를 썼다???!!! 2018-11-14 0 2649
‹처음  이전 2 3 4 5 6 7 8 9 10 11 12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