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닭(2)
2019년 01월 06일 22시 25분  조회:3007  추천:0  작성자: 죽림

 

윤동주 /닭 (동요)

 

 

ㅡ닭은 나래가 커도

왜 날잖나요

ㅡ아마 두엄 파기에

홀 잊었나봐.

 

 

이 시는 큰 날개를 가진 닭이 날지 않는 이유를 먹이를 찾으려다가 잊었다고 추측하는 내용이다.
질문과 답으로 이루어져 있다. 모두 두 문장으로 되어 있고 문장의 글자 수도 의식적으로 맞추었다.
동요로 생각하지 않고 잠언이 담긴 시로 볼 수도 있다.
날개는 자유를 의미하고 ‘두엄 파기’는 ‘먹이’를 구하는 행위이므로
먹이를 위해서 자유를 잊어버린 사람들을 비판하는 내용으로도 볼 수 있다.
‘홀’은 ‘홀라당’으로 ‘모두’의 의미로 보인다. ///전한성

 
 
=====================///

 

윤동주 /눈(동시)

 

눈이

샛하얗게 와서

눈이

새물새물 하오.

 

이 시는 눈이 새하얗게 와서 화자의 눈이 자꾸 웃는 모양이 된다는 내용으로
눈[雪 ]과 눈[目]의 동음이어를 이용하였다.
눈이 와서 좋다는 의미를 동음이어를 이용하여 표현하였다.
‘새물새물’은 ‘입술을 한쪽으로 약간 비틀며 소리 없이 자꾸 웃는 모양을 나타내는 말’이다.
한 문장으로 되어 있고 이어진 문장으로 구성되어
원인과 결과로 이루어져 있고 언어상징을 잘 이용한 시이다. ///전한성

 

 

윤동주 /눈2

 

 

지난밤에

눈이 소오복이 왔네

지붕이랑

길이랑 밭이랑

추워한다고

덮어주는 이불인가봐

그러기에

추운 겨울에만 나리지

 

 

이 시는 지난밤에 소복히 온 눈은 지붕과 길과 밭이
겨울에 추워하는 것을 보고 덮어주는 이불이라고 생각하는 따뜻한 마음으로 쓴 시이다. ///전한성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330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창구멍 2018-12-20 0 2804
132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병아리 2018-12-19 0 2781
1328 윤동주와 꿈 2018-12-19 1 2703
1327 ... 2018-12-19 0 3178
1326 ... 2018-12-19 0 2483
1325 ... 2018-12-18 0 2922
1324 ... 2018-12-18 0 2529
1323 ... 2018-12-18 0 2615
1322 ... 2018-12-18 0 2797
1321 ... 2018-12-18 0 2527
1320 ... 2018-12-18 0 2783
1319 시 한수에 그림책 한부 나오다니... 2018-12-18 0 2897
1318 ... 2018-12-18 0 2553
1317 ... 2018-12-18 0 3296
1316 {자료} - 해방전 조선인 시선 2018-12-17 0 3211
1315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꿈은 깨여지고 2018-12-17 0 3041
1314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봄(2) 2018-11-30 0 6650
1313 윤동주와 "이상한 주사" 2018-11-30 0 3125
1312 [작문써클선생님께] - 시를 어떻게 쓸가ㅠ.. 2018-11-27 0 3606
1311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산울림 2018-11-27 0 3534
1310 윤동주와 "원산 송도원" 2018-11-26 0 3966
130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바다 2018-11-26 0 3460
1308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비로봉 2018-11-25 0 3378
1307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산협의 오후 2018-11-25 0 3606
1306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서시" 분석 2018-11-25 0 4356
1305 윤동주, 그 뒷이야기???... 2018-11-24 0 3212
1304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개(2) 2018-11-24 0 3071
1303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나무 2018-11-23 0 2636
1302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황혼이 바다가 되여 2018-11-20 0 3502
1301 백두산 / 조기천 2018-11-18 0 3257
1300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둘 다 2018-11-17 0 3257
1299 "한국의 안데르센" - 강소천 2018-11-17 0 2733
1298 윤동주와 강소천 2018-11-17 0 4677
1297 {자료} - 남영전시인이 보는 중국조선족문학 2018-11-17 0 2623
1296 윤동주가 좋아했던 아동문학가 - 윤석중 2018-11-16 0 2730
1295 윤동주와 윤석중 2018-11-15 0 3230
1294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아침 2018-11-15 0 3309
1293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겨울 2018-11-15 0 3239
1292 한춘&김혁 2018-11-15 0 2659
1291 리상(이상)이 동시를 썼다???!!! 2018-11-14 0 2647
‹처음  이전 2 3 4 5 6 7 8 9 10 11 12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