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송죽
http://www.zoglo.net/blog/jinsongzhu 블로그홈 | 로그인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홈 > 전체

전체 [ 631 ]

491    대종교 경전(한글판) 댓글:  조회:2341  추천:0  2015-08-06
                      대종교 경전(한글판)                      대종교 종경 종사 편수 위원회 편찬                           대종교 총본사 발행          (종교선전이 목적이 아님. 선조에 대한  리해와 인식을 돕기위해  올리니 참고하기 바란다)                                        범례                              1. 한울ㅡ 하늘(天)을 말함이니 대종교에서 예로부터 써 온 말임.                     2. 한얼ㅡ 신(神)을 말함.                     3. 한검ㅡ 신인(神人)을 말함.                     4. 한배검ㅡ 천조신(天朝神)을 말함.                     5. 가달ㅡ 대종교 교리상에서 참함(眞)과 상대되는 망(妄)을 말함.                                                             경전차례                                            (1) 삼일신고(三一신誥)                                                삼일신고 머리말                                                임금이 지은 삼일신고 예찬                                                제1장  한울에 대한 말씀                                                제2장  한얼님에 대한 말씀                                                제3장  한울집에 대한 말씀                                                제4장  누리에 대한 말씀                                                제5장  진리에 대한 말씀                                                   삼일신고 간직해 온 내력                                                  (2) 삼일신고 해설                                                     제1장  한울에 대한 말씀                                                     제2장  한얼님에 대한 말씀                                                     제3장  한울집에 대한 말씀                                                     제4장  누리에 대한 말씀                                                     제5장  진리에 대한 말씀                                                       (3) 신리대전                                                           머리말                                                      제1장  한얼님 자리                                                      제2장  한얼님 도                                                      제3장  한얼 사람                                                      제4장  한얼님 교화                                                      책 끝에 써 붙임                                                       (4)  신사기                                                      제1장  조화의 내력                                                      제2장  교화의 내력                                                      제3장  치화의 내력                                                      신사기 끝에 적는 말                                                        (5)  회삼경(會三經)                                                            머리말                                                            백포종사 지음                                                            제1장  세 검(三神)                                                             제2장  세 밝은이(三  )                                                             제3장  세 가달(三妄)                                                             제4장  세  길(三途)                                                             제5장  세  나(三我)                                                             제6장  세 윤리(三倫)                                                             제7장  새 누리(三界)                                                             제8장  세 모음(三會)                                                             제9장  하나로 돌아감(歸一)                                               (6)  삼법회통(三法會通)                                                    머리말                                                    제1장  삼법명                                                    제2장  삼법약설                                                    제3장  삼법회통                                                        (7)  한얼 노래
490    지옥에 갓다온 화가의 그림 댓글:  조회:2944  추천:0  2015-07-28
                      지옥에 갓다온 화가의 그림         폴란드의 예술거장 그램신스끼는 1998년도에 어느 한 장소에서 우연한 사고로 인하여 심장이 멎었다가 15분만에야 겨우 되살아났다. 허나 그는 숨만 붙었을 뿐 잠을 깨지 못하는 식물인으로 되고말았다. 그러기를 장장 사계절. 내내 그러다 한해가 다되여가는 12월의 어느날에야 그램신스끼는 기적적으로 정신이 제대로 돌아 깨여났거니와 따라서 모든 기능도 원래대로 회복되였던 것이다. 그리하여 퇴원하게 된 것인데 놀라운것은 그후부터 그의 그림재간이 아주 다르게 변해버린 것이다. 사람들은 다가 그가 그린 그림을 보고는 고개를 기우뚱거리게 되였다. 괴이하게 그려진 그의 그 그림의 주제가 대체 뭔지 스타일을 알기 힘들었던 것이였다.      그 본인의 말인즉은 자신이 죽어 저세상에 가있은 기간에 여행했던 지옥에서 직접 보고 감상했던 것들이라는 것이였다. 그램신스끼는 그후 더 오래살지 못하고 2월 22일에 바르샤바의 자택에서 한 괴한의 총에 피살되고말았다. 향년 76세.      그램스끼의 그림들은 바로크와 괴테의 풍격을 함유하고있다.       그의 창작생애를 두단계으로 나눌 수 있는데 첫단계의 작품들이 표현주의색채가 짙은데 비해 둘째 단계의 작품들은 추상적인 공상과 초현실색채가 농후한 것이다. 그 자신이 말하듯이 자기는 사망후의 무서운 지옥의 세계에서 목격한 것들을 그대로 그림으로 옮기다보니 그렇게 된다는 것이다.        아랫것은 그의 그 그림들이다.                                                                                                                                                                                                                                                                                                                                                                                                                                                                                                                                        最真实地狱景象                  
489    스탈린은 히틀러와 같은 전쟁범 댓글:  조회:4646  추천:2  2015-07-25
                      스탈린은 히틀러와 같은 전쟁범                                               (영웅형상에 대한 재조명)      그대가 신고한 관심사에 대해 개인센터공사가 이 글을 추천한다. 믿기어렵겠지만 제2차 세계대전은 스딸린이 히틀러와 같이 일으킨 것이다.     2차세계대전역사: 철혈포럼(铁血社区)http://bbs.tiexue.net/bbs172-0-1.html      여지껏 역사교과서에 오른 일반적인 답안은 독일이 유럽국가의 영토를 계속 침식했기에 제2차 세계대전이 일어난 것으로 돼있지만 사실은 그런것이 아니다. 유럽의 적잖은 정치가들의 주장은 당시 “유럽의 영구한 평화를 실현하려는 목적”에서 히틀러의 요구를 충족시키느라 “유화정책”을 채택한것부터 우선 잘못이였다면서 스탈린은 히틀러와 마찬가지로 제2차대전을 일으킨 전범(戰犯)이였다고 점을 찍고있다.    히틀러의 “뮌헨음모ㅡ 체코의 텐란트장악”은 유럽의 영토들을 독차지하려는 그의 야심에서 나온것이였는데 그 성공이 기실은 히틀러의 야욕을 더 팽창시켰던 것이다.   1939년, 히틀러가 전쟁준비를 다 하였을 때 스탈린은 양쪽충돌위험과 싸움을 피한다면서 히틀러와 을 맺은 것이다. 그가 그같이 하니 히틀러는 더욱더 마음놓고 번개식의 “전격전”으로 폴란드를 들리쳤다.    이로서 유럽정치가들의 “유화정책”은 파탄되고말았던 것이다.    한편 제딴에는 서부가 안정되였다고 여긴 히틀러는 1941년6월22일에 을 파기하고는 소련을 향해 대담히 진공 했다. 하여 독소전쟁이 일어난 것이다.    독일군은 싸움마다 승승장구했다. 그러나 독일군은 엄동설한을 겪어내야 하는 스탈린그라드전역에 들어서는 앞길이 차단되였고 따라서 미국이 참전함으로 하여 결국은 소련과 영국을 위수로 한 동맹국이 승전하고 독일, 이탈리아, 일본을 비롯한 국가들은 결국 패전하는 것으로 결판이 나고만 것이다.                 [철혈포럼(铁血社区) http://bbs.tiexue.net/post_9354098_1.html/ ]     이러한 역사환경에 의해 소련은 어느덧 나치의 강권에 맛서 싸운 나라로 인정되고 스탈린은 영웅으로 부각되였던 것이다. 그런데 안타깝게도 세월이 가면서 그 명예는 차츰 지워지고 세상사람들의 눈에 스탈린의 형상은 변하여 진 것이다. 후세의 전쟁사(戰爭史) 연구자들은 지난 역사에서 어떤 관건적인 링크(环节)가 실제는 위조伪造)된 것임을 간파했거니와 히틀러와 스탈린이 서명한 조약 때 그들 지간에는 이 따로있었다는 것을 알아낸 것이다. 그 협약에 보면 쌍방은 폴란드를 나누어 가지거니와 발트해(波罗的海)를 소련의 세력범위에 넣어주기로 되여있는 것이다        1939년9월1일,나치독일은 75만대군、2400대의 탕크, 2300대의 비행기로 세길로 나뉘어 폴란드에 덮쳐들었다。하여 독일군은 반개월후에 바르샤바의 성문에 이른 것이다。    여기까지의 력사는 세상이 다 알고있다. 그러나 아랫것은 몰랐던 것이다.    9월17일 날이 새기전에 스탈린은 소련에 와있은 독일대사 Schulenburg(舒伦堡)를 만나 한부의 각서를 수교하면서 그와 다음과 같은 말을 한 것이다.    “독일군에 의해 폴란드는 이미 붕괴의 지경에 이르었는데 이제는 우리 소련군이 ‘해방성적인 토벌’에 나설것이다.”    이로부터 4시간후에 소련군은 과연 국경을 넘어 신속히 소련동부ㅡ 1300만의 인구에 20만 평방 킬로미터에 달하는 면적의 령토를 점령하였거니와 그러고나서는 우크라이나와 벨라루스로 돌입했던 것이다. 그것은 양국간의 비밀협정에 따른 행동이였다.     그리고는 9月28일에 독일외무부장 Ribbentrop가 모쓰크바에 와서 몰로토프와 "소독우호와 국경조약"을 맺고는 새로운 비밀협정을 하나 더 보충하여 리익범위를 조정을 함으로서 두 나라는 “친구”간이 된 것이다. 그들이 뜯어 가진것이 물론 주권국가인 폴란드였던 것이다.                                                                 [철혈포럼 http://www.tiexue.net/ ]      독일군은 소련군과 함께 폴란드를 침략한 이틀후에 영국과 프랑스에 선전포고를 했다. 그럼으로 하여서 2차 세계대전이 일어나게 된 것이다.    12月14일,소련은 침략자라는 공개적인 비난을 받고 국제련맹에서 추방되였다. 하기에 폴란드사람들의 눈에 소련은 해방자인 것이 아니라 독일과 똑같은 침략자로 보여진 것이다. 특히 스탈린이 2만여명에 이르는 폴란드의 인재ㅡ정령(精靈)들의 생명을 빼앗아내고도 그 정체를 숨겨왔던 카틴숲(Katyn) 학살사건은 폴란드 백성들의 가슴속에 영원히 지울 수 없는 원한을 심었거니와 스탈린은 히틀러와 짝지지 않은 꼭같은 살인악마로 각인 된 것이다.      한데도 제2차세계대전 후 소련은 독일과 음모가 있은것을 그냥 부인해왔다. 그러나 소련이 해체되고 독일이 통일됨에 따라서 비밀들은 만천하에 드러나고말았다. 로씨야는 과거 스탈린시절에 감추어졌던 비밀들을 하나하나 제대로 밝히고 그것들을 다 승인한 것이다.       The negotiations with the Soviet Union, in reality the arch-enemy of National Socialism, went positively. On 23 August 1939, Ribbentrop travelled to Moscow and signed a German-Soviet Non-Aggression Pact with Foreign Minister Molotov in the presence of Stalin. In an unpublished supplementary protocol, both sides agreed on a renewed partition of Poland。      올해는 제2차 세계대전승리 70주년이 되는 해인데 세상사람들이 이제는 역사란 것이 여지껏 승리자에 의해 씌여졌음을 알게 된 것이다.  력사의 모지명(墓志铭)에 소련은 2차세계대전의 정의자였다고 새겨졌는데 사실은 그런것이 아니였다. 이제는 소련은 세계대전최초의 선동자였다고 해야 할 것이다, 비록 긴긴 세월부인해왔지만 후대를 위해서그렇게 고쳐야 한다.     The negotiations with the Soviet Union, in reality the arch-enemy of National Socialism, went positively. On 23 August 1939, Ribbentrop travelled to Moscow and signed a German-Soviet Non-Aggression Pact with Foreign Minister Molotov in the presence of Stalin. In an unpublished supplementary protocol, both sides agreed on a renewed partition of Poland.                                             [철혈포럼 http://bbs.tiexue.net/ ]      소련이 사실은 나치의 가장 큰 적이였건만 독일과 협상하여 전쟁을 일으킨것은 사실이다. 1939년 8월 23일,독일의 Ribbentrop는 모스크바에 날아가 스탈린앞에서 소련의 외무장관 몰로토프와 호상불가침조약을 맺었거니와 보충된 밀약에 의해 폴란드를 다시 분할했다. 그리하여 폴란드는 지도에서 사라진 것이다.    acting according to the agreement of the Hitler-Stalin Pact, the Red Army invaded Poland on 17 September 1939. When the fighting ceased, Germany annexed most of its occupied areas, the Soviet Union all the areas it occupied there.With this partitioning the state of Poland disappeared from the map      히틀러와 마찬가지로 독재자는 다가 사람들의 환호성에 떠받들리여 무대에 올라 자신을 표현하는데 그럴때면 저가끔 다가 국가와 민족의 아름다운 미래를 멋스레 펼쳐보이기에 매력적이다. 허나 독재자는 일단 권력을 잡고나면 국민앞에서 다졌던 맹세같은건 구중천에 던져버리고 권력으로 제 개인의 욕구를 채워보려 한다. 그러면서 바로 스탈린의 명언과 마찬가지의 사유를 가지는 혹독하고 잔인한 인간으로 변해버리는 것이다.    “100사람이 죽으면 슬픈지만 1억이 죽으면 그때는 그것이 그저 숫자개념으로나 여겨질 뿐이다.”    과연 그럴가? 독재자의 눈에는 죽음이란것이 그저 수자로만 보여지겠지만 모든 민간인의 관념에는 그렇지 않은 것이다. 그것은 단 하나뿐인 귀중한 생명을 잃는 것이니 그지없이 슬프고 고통스러운 것이다. 가족이 붕괴되고 세상은 불모의 고향으로 돼버리고 마는 처참한 정경인 것이다.                                   마이크로 채널추가:tiexuejunshi(铁血军事)。
488    일본이 이제는 보지 못하게 했던 영화들을... 댓글:  조회:4851  추천:1  2015-07-22
     일본이  이제는 보지 못하게 했던 영화들을...                                                (1)         지난 15일,일본 최대의 동영상 사이트인 NICO는 여지껏 온갖 쟁의가 있었던 일련의 전쟁소재 영화들을 이제는 곧 돌리게 될 것이라고 선포했다.  이 사이트는 도쿄에서 있은 기자회견에서 7월하순 ~ 8월기간에 중국의 감독 륙천(陆川) 등이 촬영한 을 비롯한 여러 편의 반파쇼 다큐멘터리 영화도 개봉하리라면서 그같이 하는 목적은 일본 민중들로 하여금 이제는 지난날의 력사 진상을 제대로 알게끔 하기 위함이라 했다.    그 영화들은 다가 일본 우익세력이 줄곧 방해하였기에 제작은 했지만 돌리지 않아 일본 민중들은 거의가 보지 못한 것들이다.            전부가 일본말로 되어진 그 비디오 작품들에 대해서 일본의 우익세력은 “반일 탭”이라는 리유로 원래의 출시 계획을 파탄시켰던 것이다. 그랬으니 “표현의 자유국”으로 표방 해 온 일본은 여지껏 너무나 솔직하지 못했음을  이제는 반성하는 표현으로 되겠다.                                            (2)      일본 동영상 사이트 NICO는 두개의 주식회사가 운영하고있는데 주로 전쟁년대의 소재를 다룬 영화를 찍는데 더 힘써왔다. 례를 들면 영화는 제목이 는 것이 있는가 하면 또한 영국회사와 같이 만든 《日本&韓国ネクタイと結合します(일본& 한국 넥타이와 결합 합니다)>>라는  괴이한 이름을 가진 전쟁편도 있어서 돌리게 되는데 그것들은 다른각도에서 일본과 한국을 직시했다. 제3자의 시각에서 한일 양국 간의 위안부문제와 영토 문제 를 다룬 것이다。                                                                           (3)                                중국 감독 리 잉(李缨)이 촬영한 영화《야스쿠니>>를 8월 15일에 돌리것이라 한다。이 영화는 2007년 12월 동경에서 발행한 미디어 시사회 포스트,일본 잡지에 이미 소개된바있다. 중국사람이 제작한 “반일 영화”로서 당시 일본 문화홀의 후원을 받았는바 국회의원들 까지 보고는  우익분자들의 무리한 방해로 상영계획이 수포로 돌아가고 말았던 것이다.                                                                   (4)                               영화 《 난징! 南京!》은 2009년에 상영되였는데 그때 벌써 인기가 좋아 관객을 많이 끌것이이라 예상했다. 그 영화는 한 일본병사의 경력을 서술한 것인데 전쟁의 잔혹성을 적라라하게 드러냈다. 그러나 우닉세력들의 무단적인 방해로 하여 그역시 관중앞에 내놓을  수 없었던 것이다.                                         (5)        다른 한 영화 은 8월 24일에 공개적으로 널리 돌릴 예산이다. 이 영화는 중국계 녀작가 아이리스 장(张纯如)이 쓴 소설을 개편한 다큐멘터리로서 2011년에 한번 돌리였다가 저작권문제로 분쟁이 생긴데다가 우익분자들의 저지를 받아 상영이 중지 된 상태였던 것이다.                                     (6)       NICO운영 회사는 기자회견시에 표시하기를 일본에서 오로지 네트워크를 통해  방송이 되지만 그 충격은 결코 적지 않으리라면서 전에 본 사람은 실제로 극히 소수였던만큼, 그것들이 “반일드라마”,  “반일영화”이긴 하지만 다시돌린다면 이 기회를 빌어서 많은 민중이 우선 지난 때의 력사진실들을 한층더 알게 될 것이니 매우 반가운 일이라  했다.                                        (7)      지난 15일, 일본 자민당은 야당과 민중의 강열한 반발에도 불구하고 집단 자위권 금지령을 포함한 새 안보 법안을 강제로 통과했다.    이에 대해서 카와카미는 새로운 니코(NICO)동화코너 반포는 “중대한 정치결정으로서 꽤나 풍자적인 의미가 있다" 고 의미있는 말을 했다。조사에 따르면 DWANGO와  NIWANGO 그 두 회사가 장차 필름을 계속 내놓을지 아니면 금지당할지는 딱히 모를 일이라는 것이다。정녕 그렇다면 두고봐야 할 일이다.                                                  (8)       현재 전 세계 많고 많은 사이트 들 중에서 그 순위가 80번째로서 방문수가 약 5.6억에 이르고있는 NICO는 인기가 대단히 높은바 특히 일본 젊은이들의 환영을 많이 받고있다. 탄막 동영상 사이트 비조로 인정되고있는 이 사이트는 보는이가 현재까지 이미 4,800만 명이나  등록되였다. 유료회원(付费会员)만도 현재 200만이 넘는다고 한다. 그러니 그 영향력이 어느 정도에 이르리라는것은 사람마다 가히 짐작 할 수 는 것이다.     우익분자들이 방해로 돌리지 못햇던 2차대전때의 영화들을 일본에서 이제는 돌리게 되였다.      아무튼 환영해야 할 반가운 일이 아니겠는가!                                                                                                                                                                                                                        자료래원: 세계 인터넷                                                 아래것은 일본의 선전화           
487    弘益人間 9. 댓글:  조회:2620  추천:0  2015-07-20
                                                          결     론      대종교가 한국독립운동사에 끼친 영향은 지대하다. 구한말 일제에게 국권을 빼앗기자 한국민족은 국권회복을 위한 사상과 종교운동으로 가 반포되었고, 대종교의 중광이 이루어졌다.    민족사의 심연속에 면면히 흘러온 단군신앙은 짧은 시간속에 민족종교, 세계적 종교로서 등장하게 되었다. 당시 대종교는 민족적위기를 극복하는 국교적 정서로서 인식되었고, 특히 애국계몽파의 지식인들은 단군구국론을 천명하였다. 로 출발한 대종교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의 본산으로 나타났다.      대종교는 국내보다는 만주와 상해에서 독립운동을 전개하였으며, 내재적으로 민족문화수립운동에 매진하였다. 한글 연구와 만주무장투쟁은 대종교 독립운동에 큰 두가지 줄기였다. 중광은 독립운동에 정신적토대를 제공하였으며, 상해임시정부를 끌고 간 국무위원급 대종교 인물들은 국교적 대종교관을 피력하였다.    민족의 위기마다 단군민족주의는 에너지를 분출하였고 대종교의 항일독립운동은 총체적 저항의 사표가 되었다.    홍암 나철이 주장한 “국수망이도가존(國須亡而道可存)”이라는 민족적 경구는 사실로서 증명되었다. 단군신앙을 가슴에 품은 대종교들은 살신성인의  길로 나라를 위해 순명하였다. 나라는 망하였으나, 정신이 지킨다는 구호는 그 정신이 바로 단군이요, 그 단군정신이 대종교였던 것이다.    나철은 국운쇠망의 시기에 대종교를 중광함으로 민족사의 새 지평을 개척하였다. 대종교 지식인들은 국교와 국사가 망하지 않으면 그 나라는 망하지 않는다는 신념으로 민족정신, 민족종교 국어와 국사를 지키는데 혼신을 다하였다.    대종교의 민족문화수호운동은 만주의 무장투쟁 못지않게 값진 것임을 상기해야 할 것이다.                                                                 결론부분: 서굉일 (사)국학연구소 소장                                                             자료출처: 國學硏究  2009. 제13집.   
486    弘益人間 8. 댓글:  조회:2471  추천:0  2015-07-18
                                       이극로의 널리 펴는 말        천운은 빙빙 돌아가는 것이라. 한번 가고 다시 아니오는 법이 없다. 날마다 낮이 가면 밤이 오고 밤이 가면 낮이 오며, 또한 춘하추동 四철은 해마다 돌아온다. 이와 같이 영원토록 돌아가고 돌아오는 법이 곧 한얼님의 떳떳한 이치다. 이런 순환하는 천리에서 인간사회의 변천도 끊임없이 생긴다. 부자가 가난하여지고 가난한 사람이 부자가 되며 귀한 사람이 천하여지고 천한 사람이 귀하여진다.    동방에는 밝은 빛이 비치였다. 이는 곧 대종교가 다시 밝아진 것이다. 한동안 밤이 되어 지나던 대종교가 먼동이 튼지도 三十여년이 되었다. 아침햇빛이 땅위를 비치어 어둠을 물리치는 것과 같이 대중의 큰 빛이 캄캄한 우리의 앞길을 비추어준다. 어리석은 뭇사람은 제가 행하고도 모르며 또 모르고도 행한다. 직접적으로는 만주대륙과 조선반도를 중심하여 여러 천만사람이 대종교의 신앙을 저도 모르는 가운데 아니 믿는 사람이 없고, 간접적으로 이웃 겨레들도 이 종교의 덕화를 받지 아니한 이가 없다.    三神이 점지하시므로 아이가 나며 三神이 도우시므로 아이가 자란다고 믿고 비는 일이 조선의 풍속으로 어디나 같다. 이 三神은 곧 한임 한웅 한검이시다. 황해도 구월산에는 三성사가 있고, 평양에는 숭령전이 있고 강화도 마니산에는 제천단이 있다. 발해시대에는 태백산에 보본단을 쌓고 해마다 제사를 지내었다. 이같이 三神을 믿고 받들어 섬기는 마음은 여러 천년 동안에 굳어졌다. 시대와 곳을 따라 종교의 이름은 바뀌였으나 한얼님을 섬기고 근본을 갚아 사람의 도리를 지키는 교리만은 다름이 없고 변함이 없다.    종교는 믿는 마음으로만 되는것이 아니다. 일정한 형식을 갖추어야 되며 또 형식은 존엄을 보존할 만한 체면을 잃지 아니하여야 된다.    사람의 이상은 소극적으로 지키는데 있는 것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나아가는데 있다.    그런데 이제 우리는 체면을 유지할만한 천전과 교당도 가지지 못하였으며 또한 교회의 일군을 길러낼만한 교육기관도 없다. 이는 우리에게 그만한 힘이 없는것도 아니오 성력이 아주 부족한 것도 아니다. 그동안에 모든 사람이 우리의 정성과 힘을 다 발휘할 기회를 얻지 못하였던 까닭이다.    그런데 이제는 때가왔다. 우리는 모든 힘을 발휘하여 대교의 만년대계를 세우고 나아가야 된다. 이 어찌 우연이랴. 오는 복을 받아들이지 아니하는 것도 큰 죄가 되는 것을 깊이 깨달아야 된다. 만나기 어려운 광명의 세계는 왔다. 반석위에 천전과 교단을 짓자! 기름진 만주벌판에 대종학원을 세워서 억센 일꾼을 길러내자!    우리에게는 오직 희망과 광명이 있을 뿐이다.    일어나라 움직이라!    한배검이 도우신다.      (개천 四三九九년 九월 五일)     
485    弘益人間 7. 댓글:  조회:2235  추천:0  2015-07-18
    일제의 대종교탄압     일제는 1909년 단군교가 창건될 때부터 탄압을 가하였다. 1915년에는 을 공포하고, 대종교의 포교활동을 금지하였다. 일제는 대종교를 독립운동단체로 규정하였다.    1911년 대종교총본사가 중국 길림성 화룡현 삼도구로 이전한 후에는, 중국 동북군벌(東北軍閥)을 사주하여 방해와 탄압을 계속하였다.    1925년 한인 탄압을 목적으로, 삼시협정((三矢協定)이 조선총독부와 중국 동북군벌 사이에 체결되였다. 이후 중국관헌은 공산당의 준동을 막는다는 구실로 대종교 포교금지령을 내렸다.    일제의 대표적인 대종교 탄압사건이 1942년에 발생한 임오교변(壬午敎變)이다. 임오교변의 직전인 동기는 저명한 한글학자이며 대종교도인 이극로(李克魯)가 대종교총본부로 보내온 의 내용이였다. 이극로는 서신에서 “조국의 광복을 위해 대종교도들이 총궐기할”것을 주장하였다.    일제는 이극로의 서신을 빌미로 임오교변을 조작하여, 교주 윤세복을 비롯한 대종교간부 20여명을 체포 고문하였다. 이로 인해 안희제(安熙濟)를 비롯한 대종교 지도자 10명이 순교하였고, 숱한 대종교 관련인물이 투옥되였다. 그 결과 중국동북지역을 무대로 하였던 대종교의 교단조직과 포교활동은 크게 위축되였다.    
484    弘益人間 6. 댓글:  조회:2421  추천:1  2015-07-18
   대종교의 독립운동     1914년 중국 길림성 화룡현 삼도구로 총본사를이전 한 후, 대종교는 활발한 포교활동을 전개하였다. 1910년대 대종교도가 주도한 독립운동의 중심지는 북간도 왕청현 일대였다. 왕청현에서는 동도본사 책임자인 서일이 중광단을 조직하고 독립정신함양과 군사교육에 진력하였다.    1918년 제1차세계대전이 종료된 후, 중국에 망명중인 독립운동 지도자들이 연명으로 대한독립선언서(大韓獨立宣言書), 일명: 무오독립선언서(戊午獨立宣言書)를 발표하였는데, 서명인사 39인의 대부분이 대종교도였다.    서일은 중광단을 토대로, 정의단(正義團)으로의 확대를 거쳐, 북로군정서(北路軍政署)로 발전하였다. 북로군정서는 북만주지역 한인무장투쟁활동의 중심이 되었고, 북로군정서 독립군 병사의 대다수는 대종교도였다. 이로서 대종교는 항일전쟁의 이념적 기반으로 자리매김되기에 이르렀다.    1920년 10월 북로군정서는 서일의 지휘 아래, 김좌진, 나중소, 이범석 등의 지휘하에 청산리대첩(靑山裏大捷)의 전과를 거두었다. 이어서 대종교도 독립군들은 1925년 신민부(新民府)를 결성하여, 민정과 군정을 아우른 한인자치정부 성격을 띤 독립군단을 성립시켰다.    
483    弘益人間 5. 댓글:  조회:2237  추천:0  2015-07-18
                                              대종교총본사 만주이전      대종교의 교명 개정과 함께, 1910년 10월 25일 중국 길림성(吉林省) 화룡현(和龍縣) 삼도구(三道溝)에 지사(支司)를 설치하고, 대종교총본사(大倧敎總本司)의  이전계획을 추진하였다.    1910년 국권피탈 이후 국내에서의 포교활동이 금지되자, 1914년 백두산북록 청파호(淸波湖)로 대종교총본사를 이전하였다. 이후 청일학교(淸一學校), 동창학교(東昌學校), 대종학원(大倧學院) 등 교육기관을 설립하여, 민족교육을 실시하고 포교활동을 통한 항일투쟁을 전개하였다. 교단조직도 정비하여 총본사밑에 동, 서, 남, 북 사도본사(四道本司)를 설치하였다.    각 본사의 책임자로는 동도본사: 서일(徐一), 서도본사: 신규식(伸圭植), 이동녕(李東寧), 북도본사: 이상설(李相卨), 남도본사: 강우(姜虞)가 선임되였다. 총본사 이전 후 교세가 확장되어 교도수효가 30만에 달하였다. 이는 당시 중국 동북지방에 거주하던 한인 대다수를 망라한 규모로써, 대종교는 재만 한인사회의 정신적 기틀로서 뿐 아니라 재만 독립군의 이념적 근거로 역할하였다. 대종교 교세의 확장은 일제와 중국동북군벌의 우려와 탄압을 야기하기에 이르렀고, 결국 1914년 중국 화룡현 지사는 해산령을 내렸다.    중국으로 대종교총본사를 이전한 후, 조교 나철은 서울로 돌아와 남도교구의 교단조직과 포교활동을 관할하였다. 그러나 1915년 10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83호 에 의해 대종교는 항일독립운동단체로 규정되어 강제로 해산당하였다. 이에 나철은 1916년 8월 15일 구월산(九月山) 삼성사(三聖祠)에서 유서를 남기고 순교하였다.    
482    弘益人間 4. 댓글:  조회:2380  추천:0  2015-07-18
                                      대종교 창건과 활동        나철은 국권수호를 위해 대일(對日), 외교활동과 을사5적 처단의거를 시도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자, 한국고유의 민족종교를 창시하여, 자주독립사상을 고취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국권회복운동을 전개하고자 하였다.    원래 우리 민족 종교는 그 원류가 단군조선에서 계승되어, 부여의 대천교(大天敎), 신라의 숭천교(崇天敎), 고구려의 경천교(敬天敎), 발해의 진종교(眞倧敎), 고려의 왕검교(王儉敎)로 전승되었으나, 몽고의 침략으로 인하여 고려 원종 때 단절되였다.    나철은 단절된 우리 고유의 민족종교를 “중광(重光)”하고, 이를 기반으로 자주독립 사상을 고취함으로써, 일제침략으로부터 국권을 수호하기 위해 단군교(檀君敎)를 창립하였다.    1909년 1월 15일(음력) 나철, 오기호, 이기 등은 서울 재동(齋洞)에서 단군교를 창건하고, 단군교 포명서(檀君敎 佈明書)를 발표하였다. 참여인물로는 강우(姜虞), 최전(崔顫), 유근(柳瑾), 정훈모(鄭薰模), 김인식(金寅植), 김춘식(金春植), 김윤식(金允植) 등으로, 나철과 함께 대일외교활동을 전개하였거나, 을사5적 처단의거에 참가하였던 인물들이다. 이후 단군교는 일제의 탄압을 피하기 위해, 1910년 8월 5일 대종교(大倧敎)로 개칭하였다.   
481    弘益人間 3. 댓글:  조회:2475  추천:0  2015-07-18
                                          나철의 외교활동(1)       1900년대에 접어들어 일제침략이 노골화되어 가자, 나철(羅喆)은 오기호(吳基鎬), 이기(李沂) 등과 함께 국제열강을 상대로 민간외교 활동을 벌리기로 하였다. 당시는 카쓰라ㅡ태프트밀약과 포오츠머드조약 체결을 눈앞에 둔 시점으로써, 미국으로 건너가 국제여론에 호소하여 국권을 수호하고자 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일제의 방해로 대미(對美) 외교활동은 무산되고 말았다.    이에 나철은 이기, 오기호, 정훈모(鄭薰模), 김인식(金寅植) 등과 함께 일본으로 건너가, 전후 네 차례에 걸쳐 외교활동을 전개하였다. 1905년6월 나철일행은 한국침략을 주도한 이등박문(伊藤博文: 이토 히로부미), 대외중신(大重信 : 오쿠마 시게노부), 망월용태랑(望月龍太郞 : 모찌스키 류다로) 등을 만나, 동양평화를 위해 한, 중, 일(韓中日) 삼국의 동맹과 한국의 독립 보장을 요구하였다.    1905년 11월 18일 나철 일행은 일본에서 을사5조약 강제체결 소식을 들었다. 이들은 한국침략의 원흉 이등박문에게 항의서한을 발송하고, 일본천황에게 을사5조약 체결의 부당성을 지적하는 항의서한을 보냈다.    1906년 5월 12일 나철일행은 두 번째로 일본에 건너갔다가 곧 귀국하였는데, 사유는 명확치 않다. 1906년 10월 20일 나철과 강기환(姜基煥)은 다시 동경으로 건너가 일본 정계의 핵심인물인 송촌웅지진(松村雄之進: 마쓰무라 유노신), 두산만(頭山滿: 도야마 미쓰루), 강본유지조(岡本柳之助: 오카모도 류노스께) 등을 만나, “동양평화”와 “한국독립”을 역설하였다. 1908년 11월에도 나철은 정훈모와 함께 일본으로 건너가, 일본 정계요인들과 외교담판을 벌렸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여다.                                        을사5적처단의거(2)    일본에서 수 차례의 외교항쟁을 전개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일제가 한국의 외교권을 빼앗고 반식민지화 하자, 나철 일행은 투쟁방략을 바꾸어 “을사5적”을 처단하기로 하였다.    1905년 11월 18일 을사5조약이 강제로 체결되자, 장지연(張志淵)은 에 “시일야방성대곡(是日也放聲大哭)”을 발표하여 울분을 토로하였고 민영환(閔永煥), 조병세(趙秉世) 등 수 많은 애국지사들이 자결 순국하였으며, 전국적인 의병전쟁이 시작되였다. 나철과 동지들은 “을사5적”(학부대신 이완용, 내부대신 이지용, 외부대신 박제순, 군부대신 이근택, 농상공부대신 권중한, 처단의거를 감행키로 화였다.    1907년 2월 나철과 오기호는 자신회(自新會)를 조직하고, 동지들을 규합하였다. 박대하(朴大夏), 이홍래(李鴻來), 김동필(金東弼), 이용채(李容彩) 등과 거사자금을 모으고, 을사5적처단을 결의하였다. 그리하여 김동필이 권총 50정을 구입하고, 거사일을 1907년 2월 13일로 정하였다. 2월 13일은 음력 1월 1일로, 문무백관(文武百官)이 입궐하는 날이였다.    결사대원 30인은 이기가 작성한 자신회 취지서(自新會趣旨書)와 나철이 작성한 애국가(愛國歌), 동맹서(同盟書), 참간장(斬奸狀) 및 무기를 휴대하였다. 또 윤주천(尹柱贊)은 이광수(李光秀)와 함께 대한제국정부와 일제 통감부, 군사령부, 각국 영사관에 보내는 공문, 내외국인에게 알리는 포고문을 작성하였다.   1907년 3월 25일 이들은 결사대를 구성하여 거사를 결행하였다. 비록 을사5적처단에 성공하지는 못하였으나, 한국민의 반일 국권수호 의지를 만천하에 알렸다.                       을사5적 처단결사대            처단대상                              결사대장              결사대원   참정대신   박제순(朴齊純)        오기호(吳基鎬)          10명내외   내부대신   이지용(李址鎔)        김동필(金東弼)          10명내외   군부대신   권중현(權重顯)        이홍래(李鴻來)          10명내외   학부대신   이완용(李完用)        박대하(朴大夏)          10명내외   법부대신   이재극(李載克)        서태운(徐泰運)          10명내외   전군부대신 이근택(李根澤)        이용채(李容彩)          10명내외
480    弘益人間 2. 댓글:  조회:2429  추천:0  2015-07-18
                                  대종교와 한국독립운동      대종교(大倧敎)는 20세기 민족수난의 시대에 반제국, 반침략 저항정신의 중책을 이루었으며, 우리 민족의 정체성을 지켜준 민족종교이다. 일본제국주의의 침략에 직면하여 우리 민족은 국권회복운동의 정신적 기반으로써 국조(國祖) 단군(檀君)을 구심점으로 삼았다. 민족종교인 단군교(檀君敎)를 재건한 다음, 1910년 대종교로 개칭하였다.    대종교는 종교단체이기보다는 독립운동단체로서의 성격이 강하였다. 그리하여 종교뿐만 아니라 외교, 교육, 경제 등 다방면에 걸쳐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대미(對美), 대일(對日) 외교활동 시도와 “을사5적 처단” 의거 등이 실패하자 교조(敎祖) 나철(羅喆, 羅寅永)과 그의 동지들은 대종교총본사(大倧敎總本司)를 항일무장투쟁의 본거지인 중국동북지역(滿洲)으로 이전하였다. 이후 대종교 포교를 위해 각지에 설치한 시교당(施敎堂)은 독립운동의 근거지가 되었다. 특히 1919년 3.1운동을 전후하여 대종교도를 중심으로 한 독립운동단체 활동이 활발해졌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포교활동을 통한 시교당의 설치도 확대되였다.    그 결과 대종교도를 중심으로 한 독립운동단체는 중광단(重光團), 정의단(正義團), 북로군정서(北路軍政署), 신민부(新民府) 등으로 맥락이 이어졌으며, 대종교도들이 주류를 이룬 독립운동단체의 활동 중 대표적인 것이 청산리대첩(靑山裏大捷)이였다.    이와함께 각급 학교를 설립하여 민족교육을 실시하고, 자주독립사상을 고취하였다. 단군을 독립운동세력의 단결과 통합의 중심가치로 삼음으로써, 만주지역의 우리 민족이 정체성을 잃지 않고, 중국동북군벌의 방해와 일제의 탄압에도 굴복하지 않고 항일독립운동을 전개할 수 있었던 것이다.  
479    弘益人間 1. 댓글:  조회:1779  추천:1  2015-07-18
                                             발간사      독립기념관은 종교와 독립운동이라는 기획전을 준비하면서 여러 종교단체 중에서도 대종교를 중심으로 “대종교와 한국독립운동”이라는 주제로 특별기획전을 개최합니다.    대종교는 1905년 일제의 강압에 의해 을사조약이 체결되고 국운이 쇠퇴하는 시기에 나철을 중심으로 한 독립지사들이 매국 대신 처단을 실행하여 일제침략에 항거하였고, 조직적인 독립운동을 위해 1909년 단군교를 중광(다시일으킴)하였습니다. 일제는 단군교의 활동이 독립운동과 연계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 단군교의 활동을 억압하였고, 1910년 나철은 단군교의 명칭을 대종교로 개명하고 포교활동과 함께 독립투쟁을 실행하기 위한 준비도 계속하였습니다.    그러나 계속되는 일제의 탄압으로 나철은 1914년 대종교총본사를 만주 청파호로 이전하였으며, 이주 한인을 대상으로 포교활동과 함께 민족교육을 실시하여 애국정신을 일깨워주었고 독립운동단체를 결성하는데 많은 지원을 하였습니다. 1919년 북로군정서를 조직한 서일, 김좌진, 이범석 등은 대종교인으로써 1920년 독립운동사에서 가장 큰 승첩인 청산리대첩의 주역으로 활동하였습니다. 일제는 대종교의 독립운동을 방해하기 위해 만주정부와 삼시협정을 체결하여 만주지역에서의 대종교 탄압을 계속하였습니다. 결국 대종교는 일제의 탄압을 피해 총본사를 밀산, 동경성 등지로 이전하였고 조국 독립을 위한 항일투쟁을 적극 추진하였습니다.    대종교인이 중심이 되어 독립운동단체를 조직한 내용을 보면 중광단, 정의단, 북로군정서, 신민부 등으로 맥락이 이어졌습니다. 1942년 대종교의 가장 큰 희생인 임오교변이 발생하여 안희재 등 대종교 관련 독립운동가들이 일제에 체포되어 옥중에서 순국하는 참화를 입었지만 이에 굴하지 않고 대종교의 항일독립운동은 계속 이어져 조국 광복의 밑거름이 되었습니다.    대종교에 참여한 독립운동가를 보면 이동녕, 이상실, 서일, 김교현, 신규식, 조완구, 이시영, 김좌진, 홍범도, 이범석, 조성환, 박은식, 윤세복, 안희제, 박찬익, 현천묵, 황학수, 김승학 등이 있습니다.    “대종교와 한국독립운동”이라는 특별기획전을 개최함으로써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친 순국선열들의 애국 애족정신을 다시 되새겨 보며, 우리 후손들에게 자랑스런 조국을 물려줄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랍니다.                                                     2002년 5월 30일                                              독립기념관 관장  이 문 원    
478    올해는 멋진 열병식을 할 것이다. 댓글:  조회:3264  추천:1  2015-06-22
                      2015抗战大阅兵时间+地点,抗战胜利70周年大阅兵                 2015抗战大阅兵是什么 2015抗战大阅兵什么时候开始 2015抗战大阅兵在哪里举办 在北京“两会”上确认: 纪念反法西斯战争胜利70周年阅兵式将在北京举行。这是第一次有外国首脑出席的阅兵仪式,将会有哪些精彩呢 一起和小编看看吧。                
477    정세와 관련된 행사 댓글:  조회:2484  추천:1  2015-06-15
                                                정세와 관련된 행사                                            진운(陈云)탄신 110주년을 기념하여      신화 통신에 따르면 중공중앙은 12일오전 인민대회당에서 진운동지 탄생 110주년을 맞이하면서 좌담회를 열었는바 참가인원은 7,336명이고 발표된 평론이 134편였다. 중공중앙총서기, 국가주석이며 중앙군위주석인 습근평이 중요한 강화를 했는데 그는 진운동지는 생전에 자신을 엄격히 단속하였는바 성품이 깨끗하고 정직하거니와 일관적으로 특권을 반대하고 부패를 반대하였으며 동지들을 대함이 공정하고 공평하였다면서 매개 당원들은 다가 그이같이 백성을 위하는 마음으로 백성의 근심걱정을 진정으로 풀어주는 실제적인 일을 해야한다고 말했다.      중공중앙정치국상위 리극강、유정성、왕기산、장고려가 좌담회에 출석했고 중공중앙정치국상위 류운산이 좌담회를 집행했다.    습근평은 강화에서 진운동지의 위대한 업적을 회고하면서 진운동지가 우리 나라의 혁명과 건설과 개혁에서 이룩한 뛰어난 공헌들을 총결하였다. 그러면서 습근평은 우리가 진운동지를 기념하는 목적은 당성이 견정한 그의 정신을 따라배우기 위함이라면서 당원은 그 누구나 그이처럼 혁명의 리익을 첫 자리에다 놓고 당의 규률을 엄격히 지키며 당의 결의면 백절불굴의 정신으로 집행하는 이력이 있어야 한다고 했다.      지금으로부터 전면적이고도 엄하게 다스려야 하는 새로운 형세하에서 전체 당원들은 반드시 당성을 끊임없이 연마해야하거니와 규율건설을 끊임없이 강화해야 하며 당의 단결과 통일을 확고히 유지해야 하고 전당의 통일된 의지를 확보하고 통일된 행동으로 보조가 맞게 전진해야 한다 고 했다.      습근평은 우리가 진운동지를 기념하는 것은 바로 그의 정신을 따라배우기 위해서라고 한번다시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는 진운은 생전에 당과 인민군중과의 관계문제를 시종 고도로 중시했다고 했다. 당의 기률을 엄격히 지키였던 진운동지는 깨끗하고 정직했으며 일관적으로 특권을 반대했는바 부패해지는 것을 반대했으며 동지를 대함에 있어서 아주 공평했다고 했다.       종합적이고도 힘든 개혁이 심화되고있는 새로운 상황에 직면한 오늘 우리 전체당원들은 반드시 백성을 위한다는 하나의 마음으로 백성을 걱정하여 실제적인 일을 해야한다. 당과 국가사업의 발전과 추진을 위해서는 강한 힘을 묶어세워야 한다고 그는 말했다.                                                                                                  2015년6月13日 02:32                                                                                                        来源:新京报
476    불가사이한 일! 댓글:  조회:2893  추천:0  2015-06-12
                                     불가사이한 일                                    주영강 하루밤새에 머리가 백발되다니!?                                                                                                                         심판대에 나선 주영강.          주영강,남,한족,1942年12월생,강소무석인,1964年11월입당,1966年9월 공작에 참가. 북경석유학원감탐계 지구물리감탐전업졸업. 대학 학력. 교수급고급공정사。 중앙정치국상무위원,중앙정법위서기를 지내다가 부패혐의로 체포。천진 제1중급인민법원에 넘거져 그로부터 뇌물수수, 권력람용, 의도적으로 국가기밀 케이스유출 등 죄명으로 무기도형에 언도, 재산 전부를 몰수.       지금의 중앙간부는 그래도 다가 좋은줄로 알고 믿어왔다.  지난해 내가 로구교근처 항전승리기념관에서 만나 면목을 알게되엇을 때만도 인상이 아주좋았던 주영강인데 그마저 저렇게 될 줄이야 어찌 알았으랴?....... 새옹지마라 모든 것은 변화가 많아 인생의 길흉화복을 예측할 수 없다더니 과연 틀리지 않는것 같다.                            新华网天津6月11日电             2015년6월11일,        
475    해외서 발생되는 불쾌한 일 댓글:  조회:2522  추천:0  2015-06-10
            해외서 발생되는 불쾌한 일      미국에서 살고있는 한 화인(華人)계 사람이 꾸리는 식당은 누군가 유리창에다  “chop chop chinaman”라는 글을 써놓은 통에 손님의 발길이 차츰끊기여 이제는 문을 닫을 지경에 이르었다고 한다. 유리창에다 써놓은 그 글을 한어로 번역하면 “砍砍中国佬”니 우리 조선어로는 “잘라라 잘라, 중국남자의 것”이다. 인종 차별을 선동한게 아니냐 하는 불길한 예감으로 손님이 오려하지 않으니 그 지경에 이르었다는 것이다.    그같은 일이 한곳에서만 생긴게 아니다. 시카코에서도  발생한 것이다.    이 보도한데 의하면 근일 시카고에 있는 레이크 뷰 레스토랑(湖景中餐馆)에서도 그와 꼭같은 일이 발생해서 말썽을 일으켯다고 하면서 논쟁의 중점은 꼭같은 글ㅡ 중국말로 “砍砍中国佬(잘라 잘라 중국남자의 것)”이니 말썽이 된다는 것이다。    “잘라 잘라 중국남자의 것”이라는 글이 하스트거리3343号에 위치해 있는 한 화인계 사람이 꾸리는 레스토랑의 유리창에도 나타난 통에 그 레스토랑은 이미 몇 주일간 문을 닫고있다. 시카고 커뮤니티 뉴스 사이트 DNAInfo 보도에 의하면 올해의 2월에 이름이 지니하렐(Jeannie Harrell)이라는 개명치 못한 여인이 속에 어떤 불만을 품었던 모양인지 제 입술에다 바르던 립스틱으로 그렇게 유리창에다 락서를 해놓은 것이다.     그 녀인은 이미 타인의 재산손상혐의로 기소되었다,인종을 차별시 한 그녀는 자신의 행위를 자랑처럼 사교계의 언론에다 공개하다가 그 즉석에서 체포되였다고 한다。이 사건은 이제 시카코시 중심에 있는 쿡현순회법정에서 심리할 예정이다。      한인(漢人)레스토랑의 폐쇄로 인해 많은 논란이 일고있다,    성이 리씨인 레스토랑주인은 새 투자인을 찾고있지만 나지지 않아서 자기는 속을 끓인다고 했다 .    한편 사건조작자인 지니하렐은 체포 된 후 숱한 작난전화를 받고있는데 인간성을 상실한 페인은 이 사회에 존재할 가치가 없다면서 심지어는 살해의 위협을 받기도한다고 본인이 토로했다. 사달의 장본인인 지니하렐은 이제 2,500달러의 배상을 해야 하거니와 적어도 1년간은 감옥생활은 해야 할 것이라는 여론이 사회에 나돌고 있다.   올 3월에 지니하렐과 인터뷰를 한 기자의 말을 빌면  그녀가  “의도적으로 인종차별을 시도하고 행동했으니 응당 감옥에 수감되여야 한다.>>는 것이다.    이번 사건은 인종멸시에 대한 한차례 경종으로 되고있다.      자료래원ㅡ 观察者网综合美国中文网    
474    단군과 대종교 댓글:  조회:2791  추천:8  2015-06-07
                                                                                단군상                                                                 단군과 대종교   몸은 고국땅에 있지 않더라도 글을 아는 우리들부터 우선 제민족의 력사는 알고 살아가자. 나의 대하역사소설 "반도의 혈"  제2부와 3부에서 일부를 절록해 다시올린다.                                                     제2부. 16절에서   마쯔무라, 우찌다, 오까모도, 도야마ㅡ 이른바 동양평화론자라는 통감부고문이니 흑룡회의 핵심간부니 하는 그 정객들을 라철은 다시 역방했다. 어떻게 하든 그들의 마음을 움직여 한국에서 일본군이 피비린내나는 탄압을 거두고 일본이 늘 말해온, 한국을 독립시켜준다고 한 낙언(諾言)을 지켜줄 것을 기대했다. 그러나 그는 자기가 이번에도 담벼락과 말한다는것을 몰랐고 소귀에 경을 읽는다는것을 몰랐다. 왜서일가? 그건 바로 자기가 다시찾은 정객들은 다가 양대가리쓰고 개고기파는 승냥이였기 때문이다!      대방의 정체에 대해 이같이 깜깜했으니 행여나 하고 믿는 것 역시 자연스러운 일이 아닌가! 라철과 정훈모는 그 일본정객들을 역방하면서 그래도 순진하게 다소의 희망을 걸고있었다.        그달 12월 5일(음력 11월12일) 아침이다. 뜻밖에도 그들이 숙박하고있는 청광관 옆방에서 한 노인이 이쪽으로 건너와서 단군포명서(檀君佈明書)와 고본신가집(古本新歌集), 입교절차(入敎節次) 등 서적을 전하면서 라철과 말하는것이였다.      《나의 성명은 두일백(杜一白)이요. 나이는 69세인데 백전도사(伯栓道士) 등 32명과 함께 백봉신사(白峯神師)에게 사사(師事)하고 갑진(甲辰) 10월 초3일에 백두산에서 회합하여 일심계(一心戒)를 같이받고 이 포명서(佈明書)를 발행한 것이니 귀공의 금후 사명은 포명서에 대한 일이요.》    로인은 이러고는 어디론가 훌쩍 사라져버렸다.   《?......》    정훈모는 어찌된 영문인지 몰라 그만 멍해지고말았다.    그렇지만 라철은 그처럼 놀라지는 않았다. 이러한 일이 이번만이 아니였으니까. 그를 놓고 보면 이번이 두 번째였던것이다. 1906년 1월에 을사조약(乙巳條約)이 체결되였다는 소식을 듣고 황급히 일본으로부터 귀국한 그가 서울에 도착하여 서대문에서 세종로방향으로 걸음을 놓고 있을 때 한 로인이 삭풍에 백발을 휘날리며 급히 뒷쫓아와서 그한테 말을 걸어왔던 것이다.      《그대가 라인영이 아닌가?》    《그렇습니다.》     라철은 무심중이라 이상히 생각하며 로인을 바라보았다.      《나의 본명은 백전(伯佺)이요. 호(號)는 두암(頭巖)이며 나이는 90인데  백두산에 계신 백봉신형(白峯神兄)의 명(命)을 받고 라공에게 이것을 전하러 왔노라.》    로인은 말하고나서 백지에 싼것을 주고는 총망히 가버렸던 것이다.      오늘 보니 그들 두 노인이 사사(師事)한 신사(神師)도 같았으나 전한 책은 각각 달랐다. 로상(路上)에서 백두옹으로부터 받은 것을 집에 도착해 펼쳐 보니 그것은 (삼일신고)와 (신사기) 각 한권이였다. 허나 그때나 지금이나 서산락일같이 기울어져가는 국운을 건지려고 혼신의 힘과 노력을 다하는 판이라 그것에 관심이 갈 리가 없다. 그는 전에 받은것도 한구석에 방치해둔채 아직 한번 펼쳐 보지도 않은 것이다.      《내가 언제...》      두 노인이 전달한 것은 종교에 관한 사명인지라 라철은 이 시각에도 역시 그런데는 전혀 관심이 가지 않았다. 보다싶히 당면한 과제가 대일민간외교에 관한 문제인데 언제 그런 것을 다 생각하랴.      
473    외곡된 증언을 그냥 믿는건 미런한 짓 댓글:  조회:2202  추천:6  2015-06-02
                 외곡된 증언을 그냥 믿는건 미런한 짓                                                                         김송죽      내가 모이자 인터넷에 들어가 보니 아직도 독립군장령이였던 김좌진을 놓고 찧고 까블으는데 좋은 현상이 아니다. 독립혁명은 제대로 하지 않고 주의주장만 부르짖으면서 파쟁을 일삼았던 화요파잔얼 량환준의 외곡 된 력사증언을 아직까지도 그냥 믿고 곱씹어서는 아무런 좋은 점도 없다. 그런다면 후대교육까지 해치는 것으로밖에 되지 않는 것이다.       첫째, 그가 살아 생전에 시종 고집해온 김좌진장군살해 리유를 보자.      “북만의 민족주의단체인 신민부의 반동두목 김좌진은 1929년에 할빈주재 일본총령사관 경찰부장 마쯔모도(松本 또는 松島)와 결탁하여 수치스러운 민족의 역적이 되었다. 그는 중동철도연선에서 공산당인의 활동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며 조선인 공산주의운동을 파괴하였고 마쯔모도는 김좌진에게 활동자금을 대여주었다. 김좌진은 이 돈으로 산시(山市ㅡ해림서쪽)에서 정미소를 차리고 첩을 얻어 타락한 생활을 하는 한편 와 결탁하여 중동선의 횡도하자로부터 해림에 이르는 구간의 객차에 신민부무장부대를 파견하여 조선공산당인들을 마음대로 수색하고 체포하여 치떨리는 살인사건이 적지 않게 발생하였다.”고 하면서 “조공만주총국(화요파)에서는 더 는 그냥 내버려둘 수 없어서 김좌진을 없애치우려고 결정지었다.”고 했다.      김좌진이 과연 그러했단말인가? 여기서 한가지, 신민부의 독립군이 무장을 갖고 중동선의 횡도하자로부터 해림에 이르는 구간의 객차에서 수상해보이는 사람은 수색, 체포한 것은 사실이다. 신민부는 그때 부(府 )를 보위하는 무장대원이 500여명가량되었는데 그들은 신민부의 동정을 탐지하려는 밀정을 방지하기 위해 그같은 보위조취를 엄하게 했던 것이다. 그렇게 한게 뭐가 잘못된건가? 그래 내부로 기여드는 적의 밀정도 방지하지 말아야한단말인가?      화요파는 그때 무슨 “정부”를 갖고있었는가? 없었다. 분렬을 일삼으면서 독립혁명보다 파쟁에 눈에 피가 져 돌아치다보니 종당에는 조선공산당을 파멸에로 몰아갔기에 공산국제로부터 해산을 선고받았음에도 불구하고 대체 어떻게 했는가를 보자!  윗과 같이 김좌진장군을 살해한 리류를 댔는데 김좌진이 과연 그렇게 했단말인가? 그것은 일제가 자기들의 손으로는 김좌진을 없애지 못하겠으니 반간책(反間策)을 쓰느라고 일부러 조작해 퍼뜨른 소문이였는데 하요파는 그 소문을 딱 믿어주고 독립혁명진영의 난국을 한창 힘겹게 헤쳐나가고있던 제 사람을 적으로 몰고 살해하였으니 미런한 짓을 해도 대단히 미런하게 한 것이다. 세상에 그래 이보다 더 머저리짓이 어데있는가?    먼저 언급해야 할 것은 1920년 10월, 조선독립전쟁사상에서 금자탑이 되는 청산리리대첩에 관한 것이다.    1921년 1월 21일자, 상해림시정부의 제91호는  이라고 청산리대첩을 기술했다. 은 이어 1921년 2월 25일자에 북로군정서 총재 서일이 상해림시정부에 보낸 일본침략군의 참패와 독립군의 승전원인을 분석한 글을 싫었다.                              적의 실패리유        (1) 병가에서 제일 꺼리는 것은 적을 경시하는 것인데 심산 협곡을 별로 수색도 없이 맹진(盲進)하다가 항상일부 혹은 전부의 함몰(陷沒)을 당함이며      (2) 국지전(局地戰)에 대한 경험과 연구가 부족하여 삼림과 산지중에서 종종 자상(自傷)충돌을 당함이며      (3) 그들 군인의 염전심(厭戰心)과 피사도생(避死逃生)하는 비겁심이 극도에 달하여 군기가 문란하며 사법(射法)이 부정(不精)하여 1발의 효과가 없는 란사(亂射)를 행할 뿐이였다.                              아군의 전승(全勝)리유     (1) 생명을 불구하고 분용(奮勇)결투하는 독립에 대한 군인정신이 먼저 적의 지기(志氣)를 압도함이요.   (2) 량호한 진지를 선점(先占)하고 완전한 준비로 사격성능을 극도발휘함이요.   (3) 응기수변(應機隨變)의 전술과 예민(銳敏), 신속한 활동이 모두 적의 의표(意表)에 출함이다.      전반 청산리전투에서 일본군은 련대장 1명, 대대장 2명을 포함하여 전사자와 부상자가 3,300여명인데 비하여 독립군측은 전사자 60명과 부상자 90여명에 달하였다. 청산리회전소식은 재빨리 전국, 나아가서는 세계에까지 퍼졌다. 지어는 일본에서까지 커다란 편폭으로 청산리회전에 대한 보도를 실었다. 이로하여 김좌진장군은 명장으로 세상에 이름날리게 되였고 원쑤들은 참패를 승인하여 훗날 청산리골에다 까지 세우고는 이를 브득브득 갈면서 갖은 방법을 다하여 김좌진장군은 없애치우려고 별렸던 것이다.    청산리전투 후 해림의 산시마을에다 신민부를 세울 때였다. 당시 상해의 임시전부에서 발간한 은 다음과 같은 보도를 실어 독립진영에 주의를 환기시켰다.                             金佐鎭씨의 活動      『敵紙 大板朝日新聞 級 長春實業新聞에 大韓獨立軍團總司令 金佐鎭씨가 哈爾濱 敵領事館에 歸順하였다는 設을 記載하였으나 此는 全然無根함이요. 敵은 우리 사업을 妨害키 위하여 反間策을 弄함인것인즉 此에 속을 리가 없으러니와 氏는 오직 實力을 養成키 위하여 今年度부터 吉林省 某地方에 屯田制를 大規模로 實行하기로 하고 一方으로는 士官養成所를 設立하야 現今 百餘名의 士官을 敎授하는 中이라더라. 』       상해의 림시정부에서 이같이 똑똑히 알려줫건만 화요파는 대체 어떻게 행동했는 가를 보라. 주의주장만 부르짖으면서 당파싸움을 “혁명”으로 여기면서 해산을 선고했건만 흩어지지 않고 종파활동을 계속했던 이 비법의 사이비한 혁명자 화요파의 잔얼들은 결국 일제의 반간책에 보기좋게 넘어가 원쑤를 대신해서 그자들의 속을 후련히 풀어 준 것이다.      세상에 이보다 더 미런한 머저리 짓이 어디에 있는가? 가뜩이나 단합되지 않아 위기로 몰리고있던 독립혁명진영은 그 사건으로 하여 혼란에 빠져 거의  붕괴의 지경에 이르고말았던 것이다! 적의 간계에 속아넘어가지 말라 경고했음에도 불구하고 제편 사람을 원쑤로 보고 살해한 화요파, 그자들은 대체 적을 몇이나 잡고 그따위 엄청난 꼴불견의 짓을 했는가? 그래놓고서도 되려 제쪽에서 그것을 정당화하느라 무던히도 오래동안 비방과 모욕을 날조해왔으니 력사와 민족의 앞에 죄를 져도 단단히 진 것이다. 인간이라면 수치스럽고 부끄러운줄을 알 것이다. 한데 지금세월에 이르리기까지도 그런 자가 생전에 제공한 외곡된 증언을 그냥 믿어주면서 제 민족영웅에 대한 비방과 모욕을 끊지 않고 계속하니 과연 분노 할 가슴아픈 일이다.    량환준이 고 했는데 그것도 머리가 잘못 된 자나 지어낼 수 있은 악설에 지나지 않은 것이다. 왜서? 력사 사실은  전혀 그렇지 않기 때문이다. 밀산의 당벽진사건은 김좌진과 전혀 무관한 것이다.       나는 이미 5년전에 "강경애 명예원상복구"문제 를 놓고 몇사람과 론전을 한바탕 벌린적이 있었다. 다시 반복하려하지 않는다. 흑룡하는 이미 조글로에 올려져있는 나의 아래 두 문장을 읽어보기바란다.    (1) 25.  "독립군은 누구며 화요파는 무엇인가?"    (2) 166. 사론 "당벽진참안과 서일의 조천"    이상 두문장을 읽어보고도 달통되지 않고 자신이 있다면 내놓고 론전을 해보자.  감히 그러지 못하겠거든 김좌진장군을 비방한 글들을 당장 내리워야 할 것이다.    (이 글을 “모이자”에 올릴 방법이 없어서 조글로 나의 미니홈에 그냥 올린다. 흑룡하가 한번 꼭 봐얄텐데. 그를 아는 이가 있어서 본인한테 알려주면 고맙겠다.)  
472    에세이 죄지은 년 어디로 더 꼬리뺄가? 댓글:  조회:2625  추천:0  2015-05-30
                   죄지은 년 어디로 더 꼬리뺄가?                           【글로벌 타임즈】종합보도를 방금보고 내용을 번역해 올린다.                                                                                                                                     양수주의 꼴     보도에 습근평은 오바마를 만나 외국으로 도망친 요원들을 송환할것을 요구하면서 특별히 양수주(杨秀珠)의 이름을 첫 자리에 놓고 찍었다고 했다.    중국은 온 세상에다 그믈을 쳐놓았다. 양수주(杨秀珠) 그년이 외국으로 도망친지가 이제는 12년, 재간이 아무리 있은들 제깟것이 이제 또 어디로 더 꼬리를 뺀단말인가? 독일에서 발간하는 는 밝히기를 중국에서 양수주(杨秀珠)를 체포하는 것은 근근히 해외로 도망친자들을 붙잡아오는 첫시작에 불과하다고 하면서 금년 4월22일, 행동의 통일 배치에 따라서 국제형사경찰기구에서는 중국의 국가중앙국이에서 선포한 범죄혐의자 중 국가공무원으로 외국에 도망친 100명의 혐의자에게 “홍색통집령”을 내렸는데 그 첫 번째 자리에 놓인것이 바로 중국에 제일 큰 녀탐오분자 양수주(杨秀珠)라고 밝혔다. 5월9일, “홍색통집령”에 든 두 번째의 혐의자 리화파(李华波)는 이미 잡혀서 돌아온 것이다.    영국의 는 29일 보도에 중국기검감찰학원부원장(中国纪检监察学院副院长) 리영충(李永忠)이 습근평은 오바마와의 회담에서 중국에서 외국으로 도망친 요원들을 송환할것을 요구하면서 이름을 제일앞에다 놓고 찍은것이 바로 양수주(杨秀珠)라고 하면서 보도는 그녀가 도망친 후 온주(温州), 절강(浙江)에서는 수백명 관료들이 련달아 이어서 조사를 받았는바 10여개의 청(厅)에서 처급관원들이 줄줄이 걸려나온 것이다. 그자들이 탐오한 금액을 합치면 2.5억원에 달한다고 했다.    2003년4월20일, 당시 온주시 부시장이면서 절강성 건설청의 부청장이였던 양수주(杨秀珠)는 제 어머니를 보러 갓다와야겠다면서 청가를 맡고는 딸, 사위와 외손자를 데리고 상해에서 비행기에 올라 싱가포르를 거쳐서 미국으로 도망쳤던 것이다.    2004년도였다. 뉴욕 맨하탄의 웨스트 29 스트리트의 5층 건물의 재산매니저가 세입자를 추방하려 하니 임차인은 고등법원에 소송을 제기하면서 재산매니저는 중국의 도망자를 보호해준다고 고발을 한 것이다. 그리하여 양수주(杨秀珠)는 꼬리가 잡힐 것 같으니 그만 거기서 내빼여 자취를 감춰버렸던 것이다.    네덜란드에 있는, 그녀를 잘아는 사람이 토로한데 의하면 양수주(杨秀珠)는 네덜란드에 거주하고있는 제 동료의 도움으로 미국에서 오자마자 한 시골 마을에다 자리밥고 살게 된 것이라면서 그녀가 먹을 걱정 입을 걱정은 없었지만 내내 두려움에 쌓여 지내는 모습을 봤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그는 양수주(杨秀珠)는 네덜란드에 와있는 기간 아는 사람을 만나기는 했어도 기분이 좋잖아 늘 언짢아하다보니 남과 어울리지를 않았다는 것이다. 제 이름을 밝히기를 원치 않은 어느 한 온주 한고향 사람이 토로한데 의하면 한고향사람의 도움이 없었더라면 그녀는 절대 오늘까지 배겨내지를 못했을 것이라고 단언했다. 양수주(杨秀珠)는 네덜란드 체류허가증이 없었기에 경찰에 잡혀 여러달이나 갇혔다가 나오는 때도 있었다는 것이다. 사법 소스업계에 따르면 양수주(杨秀珠)는 정치망명을 신청해서 비호를 받아볼 궁리를 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했다고 한다.    당지에 있는 화인(华人)의 설법을 보면 중국에서의 부패방지강도가 높아가면서 협상에 의한 송환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른바 인권사항이 있다는 것을 고려하다보니 네덜란드정부는 주저하고있다는 것이다. 또한 양국간 범죄인 인도조약이 없기 때문에 송환협상역시 상당히 진전되지 않았거니와 그러다 보니 양녀인같은 인간짝이 죄를 짓고서도 10여년간이나 무사히 숨어지낼수가 있었다는 것이다.      2014년5월중, 국가기률위원회 국제합작국 국장 푸쿠이(傅奎)는 에 향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    “양수주(杨秀珠)는 중국에 송환되지 않았거니와 네덜란드를 탈출하여 미국에 갔고 그가 사용한 여권은 네덜란드에서 위조된 것이였기에 구금된 것이다.”    한 정보 소식통은 “글로벌 타임즈”기자와 양수주(杨秀珠)는 네덜란드 협회가 제공한 여권을 갖고 캐나다에 와서 여권을 캐나다것으로 바꾸어서는 기차편으로  미국에 건너가 그곳 정부에 신청하여 미국의 인권보호를 받아보려고 꾀했다고 말했다한다.    미국화인 변호사 등홍(邓洪)은 29일 에 다음과 같이 자기의 견해를 표시했다. 양수주(杨秀珠)의 세부 사항에 대한 적발은 분명치 않다. 그녀가 미국에 입국하기 위해서 거짓 여권을 지녔다가 체포된데는 두 가지 경우가있을 것이다. 첫째 경우는 그녀로 하여금 미국땅을 밟지 못하게 하자는데서 집접 교도소로 압송했을 수 있는데 과연 그랬다면 그녀를 이민으로 취급하고 처리하자는 것일수 있으니 부득불 이민법정의 법관이 나서야 할 것이다. 그런 정황일 때는 이민법관이 인도주의각도에서 정치피난처의 역을 놀아줄수도 있는 것이다. 그러나 양수주(杨秀珠)를 놓고 보면 경제문제로 인하여 통집령이 내린 범죄분자인 것이다. 하니까 정치피난을 받기는 어려운 것이다.    다음 두번째의 정황을 볼것 같으면 그녀는 가짜 려권을 갖고 미국에서 살자고 간 것이라니 이민국에서 손을 대여 구축령을 내리거나 달리 어떻게 처리를 하자고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해서 등홍(邓洪)은 다음과 같이 표시했다. 미국이민법원의 형편을 놓고 보면 지금 당장 처리해야 할 안건만도 40여만건에나 되는 것이다. 한데 법원의 관원이란 다해봤자 인원이 260명밖에 안되는 것이다. 그들의 손을 빌어 이 안건이 처리되기를 기다리자면 상당히 지루하고 긴 시일이 걸려야 할 것이다. 그런 형편에서 양수주(杨秀珠)의 안건을 조속히 처리하자면 좋기는 중국과 미국간에 그 어떤 다른 형식의 적절한 소통이 있어야 할것 같다.      【글로벌타임즈】 로터스(荷)、미국(美)、독일(德)、카나다(加) 주재특약기자 何文, 孙卫, 赤青木, 陶短房. 环球时报记者 邢晓婧, 玉鹏.                                                 
‹처음  이전 3 4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