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와 시지기

죽림과 고향 헌시 5
2025년 02월 24일 21시 11분  조회:13  추천:0  작성자: 죽림
김승종 譚詩 "죽림동, 넌 누구이기에..." / 료녕신문
2021년 05월 29일 22시 23분  조회:767  추천:0  작성자: 죽림
 
 
 
【담시】: 죽림동, 넌 누구이기에...
发布时间:21-05-28   发布人:金卓   

【담시】

 

 

죽림동, 넌 누구이기에...

 

 

 

                 (연길) 김승종

 

 

 

 

1

 

 

 

죽림동 뭇벌레 왈;

농약을 치지 않은 곡식 잎,

요렇게 하늘하늘 춤추는 잎이라야 맛있능거여!!!

 

 

죽림동 뭇새 왈;

호호호... 맞는 말,

오로지 요렇게 신선한 벌레가 더더욱 맛있능거여!!!

 

 

ㅡ죽림동 "록색평화"는

  늘

  우리를 부르고 부르건만...

 

 

 

 

2

 

 

 

길거리엔 털옷떼들

어슬렁거슬렁

사방엔 가죽옷떼들

스물렁능글렁

 

 

죽림동에 그렇게도 많던 노랑담비는 더는 없다

죽림동에 그렇게도 많던 꽃노루도 더는 없다

 

 

죽림동 "먹이사슬"이 깨지는 소리,

지렁이들 반란하는 소리,

...소리,

...소리,

 

 

판소리는 더는 없다!!!...

 

 

 

 

 

3

 

 

  

두만강역에서 소문 자자했던 죽림동 "꿀벌아부제,-"

골백번 벌에게 쏘이면서도 씽긋 웃던 "꿀벌아부제",-

늘 아부제는 쓰디쓴 오이 자시고지고...

늘 우리 개구쟁이들은 달디단 꿀 냠냠 먹고지고...

 

 

죽림동 "꿀벌아부제"는

무지개다리를 건너갔어도

오늘도 뭇꿀벌들과 짝하고지고...

 

 

 

 

 

4

 

 

 

 

울 아부제의 맘속엔

두 장의 죽림동 지도가 늘 깊숙히 새겨져 있었다

한 장은 화창하게 꽃나무들이 춤사위 벌리는 지도였고

다른 한 장은 마가을 열매들이 콧노래 부르는 지도였다

버빡골, 배미골, 다랑골, 수영재골, 부암골, 갈리골,...들은

울 아부제를 항용 줄레줄레 따라 다니군 했었다

 

 

쌍당쑥에 물씬 익힌 돌배며

시큼달콤 머루며 다래며 이스라치며

달콩알콩 알그배며 찔그배며 오미자며...

늘 우리 집은 개구쟁이들 가을잔치마당이였다

 

 

그립다 그리워

또 다시 한번 그리워

울 아부제의 맘속에 새겨졌던

두 계절의

두 장의

죽림동 지도여!!!

 

 

 

 

 

5

 

 

 

죽림동 앞 강물 빨래터는

늘 할매어매 전매터

죽림동 앞 강물 빨래터는

늘 아재 누내 특권터

죽림동 앞 강물 빨래터는

늘 빨강빨강 울고지고

 

 

쉿,-  잠깐,

죽림동 앞 강물 빨래터는 지금 어디???...

 

 

 

 

 

6

 

 

  

죽림동에서 싯뻐얼겋게

소금기에 푸썩 쩐 고등어가

애호박장국 감자장국 속에서

슬피슬피디 흐느끼고 있었다

때론 그것도 손님대접용으로 쓰려던 고등어가

화로불 석쇠우에서

할매 맘을 바질바질 태우고 있었다

...

 

 

오늘 이 시각,

온갖 "생선먹거리"들아,-

하늘나라에서 울 할매 대령이요,

 

 

ㅡ차렷, 경례!!!

 

 

 

 

 

7

 

 

  

그믐밤은 요란한 폭죽 터치우는 소리속에서

그물그물 설날을 얼레덤벙 데리고 오는 이때,-

 

 

여보소,

예전에 깡충깡충 뛰며 좋아라 색동저고리 입던 량속도

그믐밤에 자면 눈썹 하얗게 센다하던 걸걸한 설화도

엿가락이며 과줄이며를 정나미 나눠먹던 전설도

코등치기 궁둥이방아 설세배 하던 미담도

웃집 아랫집 두부 앗는 소리도

앞집 뒤집 찰떡 치는 소리도

모두모두 박물관 문고리를 쥐고 놓칠 않는다

 

 

"새양했"던 고향 죽림동의 "설"이란

벼리없는 철부지 그물망...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38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58 시지기 竹林 반쪽 삶 티끌萬事詩(1) 2017-02-05 0 1060
57 竹林 자작詩(머리시) 2017-02-05 0 1342
56 해빛, 개, 그리고 그라프... 2016-11-22 0 1189
55 "고삐" , 개, 그리고 그라프... 2016-11-22 0 1075
54 오늘도 삶은 길과 함께ㅡ 2016-11-22 0 1042
53 그때... 그냥... 그냥... 2016-11-10 0 1120
52 "시지기" - 그는 고행자이다... 2016-10-29 0 1390
51 우물 일곱개였던 마을, "그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리야..." 2016-10-14 0 1499
50 연변인민방송 <<문학살롱>>에서- / 림금산 /동포문학상 2016-09-29 0 1559
49 "한번 봐주십사" 하고 그때그때 그랬었지... 2016-08-15 0 1406
48 문인인장박물관 만해 한용운문학관 신동엽문학관 안동예술제 시화전 남주시비제막 가보다... 2016-05-12 0 1217
47 연변인민방송 "문학살롱" 작가초대석/시평 림금산 2016-03-29 0 1797
46 두만강에 떼목이 흐른다... 2016-02-27 0 2326
45 그립다 그리워 또 다시 한번 2016-02-08 0 1413
44 "시지기 - 죽림" 2000次件으로 부모님께 드리는 詩 2016-02-07 0 1511
43 새해에 바치는 詩 - 하늘과 종과 그리고... 2016-01-02 0 1820
42 <<가는 年... 오는 年... 그 찰나...>> 다시 보는 졸시 두수 2015-12-31 0 1404
41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현대시>>의 詩의 계보를 끝내고... 2015-12-28 0 1545
40 시지기는 시지기이다. 고로 시지기는 존재한다. 2015-12-10 0 1435
39 술타령 2015-11-27 0 1479
38 38의 영탄조 2015-06-26 0 1603
37 과녁 2015-06-26 0 1417
36 詩詩한 詩 2015-06-26 0 1727
35 그림자 2015-06-26 0 1403
34 혈과 루 2015-06-26 0 1454
33 얄美은 詩란 놈 2015-06-26 0 1500
32 메아리 2015-06-26 0 1479
31 노을 2015-06-26 0 1554
30 2015-06-26 0 1302
29 메되지 2015-06-24 0 1947
28 고라니 2015-06-24 0 1373
27 2015-06-24 0 1420
26 보리... 삶...보리... 삶... 그리고... 2015-06-24 0 1362
25 열려라 들깨... 열려라 흑깨... 열려라 참깨... 2015-06-24 0 1656
24 <<수염문제>> 2015-06-24 0 1563
23 록색평화 세계년을 위하여 2015-06-24 0 1451
22 한춘 추모시 2015-06-24 0 1315
21 최후의 한 넋 2015-06-24 0 1584
20 초미니소설 한쪼박: "연변일보" 해란강 부간 등고ㅡ 구씨의 "무한대" 2015-06-24 0 1659
19 검정말을 잃고... 2015-06-24 0 1403
‹처음  이전 1 2 3 4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