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12월 2024 >>
1234567
891011121314
15161718192021
22232425262728
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조기천론
2015년 04월 03일 22시 27분  조회:4059  추천:0  작성자: 죽림

책 소개

 

  조기천의 장편서사시「백두산」(1947)은 북한 최초의 서사시이자, 북한문학사 안에서 항일혁명문학의 모범적 전형으로 추앙받고 있으며, 북한 문학의 사상적ㆍ미학적 표본으로서 각광받아 온 작품이다. 해방 이후 북한 사회 건설을 추동하는 문학적 기폭제로서 기능해 왔다.

 

 

  저자 : 조기천(趙基天)

 

  1913년 러시아 연해주 스파스크 촌 빈농의 가정에서 태어났다. 지금까지 조기천의 출생지는 함경북도 회령으로, 이후 러시아 연해주로 이주한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 1970년 카자흐스탄 알마아따 작가 출판사에서 출판된 『시월의 해빛』에 조기천의 약력이 1913년 스파스크 출생으로 명기되어 있고, 여러 증언 및 자료 등을 토대로 볼 때도 그의 출생지는 연해주 스파스크 촌인 것으로 확인된다.

 

  17세에 스파스크 촌의 초ㆍ중학교를 졸업하고 18세인 1930년 연해주 우수리스크 시 조선사범전문학교에 입학해 1933년에 졸업했으며, 이 시기『선봉(先鋒)』 신문에 첫 시「파리꼼무나」(1930)와 더불어「공격대원에게」(1931),「야외연습」(1932) 등의 시를 발표했다.

 

 

  1938년 7월 러시아 중(中)시베리아 옴스크 고리키 사범대학 러시아 문학부를 졸업하고 그해 9월부터 2년간 카자흐스탄 크슬오르다 시 조선사범대학 문학부에서 세계문학사를 강의했으며, 1939년 8월 모스크바 종합대학 대학원에 파견되었으나 조선인은 일본 간첩이 될 수 있다는 혐의로 경찰에 구속되어 크슬오르다 시로 되돌아온다. 이후 대학의 교편생활을 접고 1940년부터 1945년까지 중앙아시아 고려인 신문인『레닌기치』에서 기자, 문화부장으로 활동하다가 1945년 소련군에 지원 입대해 소련군 장교로 북한에 들어오게 되며, 소련군정 기관지인『조선신문』에서 문예부장으로 활동하다가 1947년부터 문예총 작가동맹으로 자리를 옮겨 일하게 된다.

 

 

  1946년「두만강」을 필두로 북한에서의 작품 활동을 시작했으며, 북한의 토지개혁을 소재로 한「땅의 노래」(1946), 항일무장투쟁을 다룬「백두산」(1947)을 발표하면서 북한 문단에서 입지를 굳히게 된다. 이 밖에도「생의 노래」(1947),「휘파람」(1947),「네거리에서」(1947),「우리의 길」(1947),「항쟁의 려수」(1948),「조선은 싸운다」(1951) 등의 시를 발표했다. 1951년 이기영ㆍ이태준ㆍ임화ㆍ한설야 등 당시 북한 문단의 최고 핵심 작가들과 함께 북한 최고의 훈장인 국기훈장 제2급을 수상했으며 1951년 조선문학예술총동맹 부위원장으로 선출되었다. 1951년 7월 31일 밤 12시경 미군 항공기의 폭격으로 사망했다.

 

 

 

 

책 속으로

 

“가마 속의 물은 끓다가도 없어진다 ?

원천이 없거니 ?

허나 내물은 대하를 이룬다.

동무들!

우리는 대하가 되련다 바다가 되련다

우리의 근간도 민중 속에,

우리의 힘도 민중 속에 있다!

민중과 혈연을 한가지 한

빨찌산임을 우리 잊었는가?

우리 이것을 잊고

어찌 대사를 이루랴!

민중과의 분리?

이것은 우리의 멸망,

이것을 왜놈들이 꾀한다

우리 이것을 모르고

어찌 대사를 이루랴!”

(p.52)

 

 

철호는 물 얻으러 달려가고

소나무 밑 이름 모를 봄풀 우에

반듯이 누워 있는 소년 ?

그 크다란 불타는 두 눈 부릅뜨고

검푸른 하늘 노려보다가

벌떡 일어나며

두 주먹 높이 들며 ?

“끝까지 싸우라!

조선 독립 만세!”

높이 부르짖었다.

이렇게 총에 맞은 갈매기

바위에 떨어져 부닥쳐도

꺾어진 나래를 퍼덕이며

생과 투쟁에 부른다,

그렇게 마지막 부르짖은 소년

다시 스르르 모으로 쓰러진다.

입술로 두 줄기 피 흘러서

풀잎에 맺힌 밤이슬에 섞인다…

(p.62)

 

 

 

  출판사 리뷰

 

 

 「백두산」은 ‘김 대장’이라는 ‘민중적 영웅’을 중심으로 항일무장투쟁의 승리와 해방의 의지를 역설하고 있으며, 이러한 민족 해방의 열망을 새 조국 건설이라는 과업과 연계시켜 당대의 실천적 각성을 촉구하는 암묵적 프로파간다의 역할까지 담보함으로써 해방 이후 북한 사회 건설을 추동하는 문학적 기폭제로서 기능해 왔다.

 

  하지만「백두산」이 도식적인 김일성 우상화나 생경한 미적 형상화에 기대고 있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풍부한 이야기성과 웅장한 스케일, 장엄한 비장미를 담보하면서 장편서사시로서의 전형성을 획득하고 있으며, 한국 문학사 안에서 흔치 않은 ‘항일무장투쟁’이라는 소재를 ‘백두산’, ‘압록강’ 등의 민족적 표상을 통해 극적으로 형상화해 내고 있다. 따라서 「백두산」을 편향적으로 북한문학의 자장 안에 놓기보다는 남북한 문학사의 전체적인 조망 아래 그 다각적인 의미망을 고찰하는 것이 필요하다.

 

 

 「백두산」은 크게 머리시와 본시(本詩) 7장(총 46절), 그리고 맺음시로 구성되어 있다. 머리시와 맺음시는 해방의 감격과 ‘백두산’, ‘천지’, ‘백두산 호랑이’로 대변되는 해방 조국의 견결하고 위대한 민족적 형상을 격정적으로 묘사하면서 새 조국 건설의 의지를 만방에 선포한다.「백두산」이 창작된 1947년을 전후해서 북한에서는 토지 개혁과 ‘건국사상총동원운동’을 기반으로 한 새 조국 건설 사업에 박차를 가하기 시작했으며, 북한 주민들의 사상 개조와 노동력 동원 등을 목적으로 한 대중적 문화교양사업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그 일환으로 문학가들 또한 당의 문예 정책인 ‘혁명적 낭만주의’, ‘고상한 리얼리즘론’ 등의 창작 방법에 기초해 전위적이고 선동적인 작품 창작을 추동했던바,「백두산」의 창작 배경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더불어 재소 고려인 시인으로서 프롤레타리아 계급 의식과 공산주의적 세계관 및 항일 의식으로 무장하고 있던 조기천의 사상적 배경은 조소 친선을 근간으로 새 조국(북한) 건설이라는 시대적 요청을 문학적으로 승화시키는 적극적 요인이 된다.

 

  이러한 해방 조국의 새로운 지향점은 본시의 ‘항일무장투쟁’ 서사와 조우하면서 그 역사적 정당성 및 진정성을 획득한다. 즉 ‘항일 무장 투쟁’을 통해 민족 해방의 활로를 개척했던 김 대장, 철호, 꽃분, 영남 등의 항일 전사들은 해방 이후 새 조국 건설의 대과업을 앞장서 이끌어 갈 민중적 영웅의 전범이자 혁명의 계승자로 자리매김함으로써 새 조국 건설에 역사적 필연성 및 정당성을 부여한다.

 

 

  ‘김 대장’은 항일 빨치산의 지도자로서 엄격하면서도 자애로운 품성, 지사적 풍모, 무장투쟁을 승리로 이끄는 지략과 용맹성 등을 겸비한 ‘영웅적 성격’의 전형을 보여 주며, ‘철호’는 김 대장의 비밀 임무를 충실히 수행하는 정치 공작원으로서 H시 야습 작전의 격전지에서 최후까지 맞서다 장렬히 죽음을 맞이하는 혁명 전사로서의 면모를 보여준다. 또한 ‘꽃분’은 철호의 비밀공작 활동에 적극적으로 조력하면서 동지적 연정을 혁명 과업의 수행으로 승화시켜 나가며 ‘영남’은 일본 수비대의 총격으로 죽어 가면서도 “끝까지 싸우라!/ 조선 독립 만세!”를 부르짖는 애국적 소년 전사의 형상을 극적으로 재현한다.

 

  이처럼「백두산」의 주요 서사를 이끌어 가는 각각의 인물들은 고상한 도덕적 품격 및 시련과 고통에 의연히 맞서는 불요불굴의 의지, 대담하고 진취적인 기상과 헌신적 동지애를 겸비한 민중적 영웅상을 웅변적으로 보여 준다. 또한 해방 이후 새 조국 건설에 헌신적으로 동참함으로써 해방 이전과 이후를 매개하면서 해방 조국의 미래를 개척해 나가는 연속적 혁명 주체로 자리매김한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643 이승훈 시모음 2015-07-18 0 4350
642 <자본주의> 시모음 2015-07-18 0 4258
641 알기 쉬운 현대시 작법 2015-07-18 0 4399
640 김소월과 에이츠 2015-07-17 0 4576
639 좋은 시를 쓰는 王道 // 령혼을 노크해주는 글 2015-07-15 0 4540
638 표절과 령혼 2015-07-15 0 4474
637 표절은 작가자신의 령혼을 죽이는 자살행위... 표절은 독자들의 령혼을 죽이는 타살행위... 2015-07-15 0 4214
636 김억과 김소월 2015-07-14 0 5325
635 윤동주와 일본 시인 // 시문학의 흐름 2015-07-12 0 5124
634 한국 최초의 자유시 2015-07-12 0 3817
633 新體詩 시인 - 최남선 / 자유시 선구자 - 주요한 2015-07-12 0 4865
632 하이퍼텍스트 詩 들여다보기/현대시의 흐름/바이런시인 시모음 2015-07-09 0 5216
631 <<死愛>> 2015-07-09 0 4833
630 어둠의 아이들과 햇빛의 아이들이... 2015-07-09 0 5241
629 그 누구나 시의 전파자가 되는 날을 위하여... 2015-07-08 0 4074
628 우리 민족 문단 최초의 시인 2015-07-06 0 4305
627 우리 민족 문단 최초의 시선집 2015-07-06 0 4117
626 <<풀보다 먼저 눕고 먼저 울고 먼저 일어서는>> -"국민시인" 2015-07-05 0 4764
625 윤동주와 정지용, 리륙사와 로신 // <<향수>>와 <<추억>> 2015-07-04 0 6098
624 두 시인의 마음속 "고향"은...? 2015-07-04 0 4171
623 다시 알아보는 시인 백석 2015-07-04 0 4317
622 <소주> 시모음 / 김소월시인과 담배, 술, 진달래꽃 2015-07-04 0 5198
621 포스트/모더니즘시론의 력사 2015-07-04 0 4361
620 2015년 7월 4일자 한국 중앙일보 윤동주 시한편 등고해설 2015-07-04 0 4416
619 다시 알아보는 시인 조기천 2015-07-03 0 4887
618 전쟁과 화폐살포작전 / 짧은 시 모음 2015-07-03 0 5035
617 항상 취해 있으라... 2015-07-03 0 4418
616 <지렁이> 시모음 2015-07-01 0 4542
615 미친 시문학도와 싸구려 커피 2015-06-30 0 4331
614 체 게바라 시모음 2015-06-28 0 4532
613 파블로 네루다 시모음 2015-06-28 0 4465
612 <시인들이 이야기하는> 시모음 2015-06-27 0 4925
611 <夏至> 시모음 2015-06-22 0 4213
610 시를 설사하듯 쓰기와 시를 느린보로 쓰기와 좋은 시 다섯편 남기기 2015-06-22 0 4687
609 연변 작가계렬 취재 1 2015-06-22 0 4478
608 다시 읽는 우리 문학 2 2015-06-22 0 4781
607 다시 읽는 우리 문학 1 2015-06-22 0 4240
606 리임원 시집 출간 2015-06-21 0 4104
605 李仁老 漢詩 2015-06-20 0 6389
604 녀성詩 어디까지 왔나ㅠ... 2015-06-19 0 3828
‹처음  이전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