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시쓰기 네가지 류형
2015년 05월 13일 22시 08분  조회:4275  추천:0  작성자: 죽림

  시 쓰기의 네 가지 유형

    —오세영 시집 표4의 글

 

 

 

 

 

 

   다음은 최근에 출간한 오세영 시집 『바람의 아들들』표4의 글입니다. 깊이 새겨 음미해 볼 내용입니다. 특히 신기(新奇)와 효빈(效顰)의 유행에 민감한 요즘의 신진들에게는 마음에 깊이 새겨야 할 지표가 될 만한 내용입니다.

 

 

 

      산문 역시 마찬가지이지만, 시 쓰기에도 네 가지 유형이 있지 않을까 한다.

 

      첫째 쉬운 내용을 쉽게 쓴 시.

      둘째 쉬운 내용을 어렵게 쓴 시.

      셋째 어려운 내용을 어렵게 쓴 시.

      넷째 어려운 내용을 쉽게 쓴 시.

 

 

      첫째는 산문의 수준에 머물러 있어 아직 유치한 단계이다.

      둘째는 능력 부족이거나 남을 속이려는 자의 작품이다.

      셋째는 자기도 모르는 것을 쓴 것이니 의욕은 과하나 머리가 아둔한 경우이다.

      넷째는 시에 대해 나름으로 달관한 경지에 든 시인의 작품이다.

 

      그렇다면 독자들이여, 어떤 시가 훌륭한 시인지 분명치 않은가?

                                                                                                     __ 오세영

 

 

 

    과연 그렇습니다. 나는 시인과 독자의 관계를, 꼭 들어맞는다고 하기는 어렵지만 교사와 학생으로 비유해 보고 싶습니다. 다음은 내 37년 간의 고등학교 교직생활을 통하여 얻은 깨달음입니다. 교사인 내가 확실하고 분명히 아는 단원에 대해서는 학생들에게 매우 쉽고 즐겁게 가르쳐 줄 수가 있었습니다. 그러나 교사인 내가 어렵게 깨친 단원에 대해서는 아무래도 학생들에게도 어렵게 가르쳐 주고 만 것 같았습니다. 어쩌면 학생들이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만 경우도 많았을 것입니다.

   그러므로 시 속에 들어있는 중요한 가치나 내용 혹은 정서가 어떻게 독자의 마음에 가닿아야 할 것인지를 우리 시인들은 그와 같이 미루어 짐작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시의 문장 하나하나 그 자체가 무슨 말인지 그것을 쓴 시인 자신조차도 분명하게 설명할 수 없다면 그것은 아예 시가 아닙니다. 그렇게 외계(外界)의 언어로 쓰는 것이 그 시인의 필연일 수밖에 없다면, 그는 시인이 아니라 가엾은 정신분열자이거나 아마도 초월적인 존재 즉 주술사일 것입니다. 그는 제 정신이 들었을 때에는 평소와 달리 신기(神氣)에 접해서 자기 입으로 내뱉은 바를 본인 스스로도 왜 그렇게 말했는지 도저히 알지 못합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723 김혁 / 김룡운 2015-09-17 0 4285
722 詩碑에 是非를 걸다... 2015-09-17 0 4585
721 조선족문학의 개념에 대하여 2015-09-17 0 4828
720 김철 / 장춘식 2015-09-17 0 5157
719 김창영 / 장춘식 2015-09-17 0 4680
718 리옥금 / 장춘식 2015-09-17 0 5093
717 고 송정환 / 장춘식 2015-09-17 0 4759
716 연변지역 시문학 뿌리 및 그 현황 2015-09-17 0 4743
715 한영남 / 장춘식 2015-09-17 0 4358
714 전춘매 / 장춘식 2015-09-17 0 4386
713 ...끝 2015-09-17 0 5800
712 ...이어서 2015-09-17 0 4675
711 ...계속 2015-09-17 0 4888
710 ...이어서 2015-09-17 0 4516
709 ...계속 2015-09-17 0 4969
708 일제 강점기 조선족 시문학 2015-09-17 0 4426
707 리육사의 <<로신추도문>> 2015-09-16 0 5994
706 당신도 디카시 시인 2015-09-12 0 4786
705 <사진> 시모음 2015-09-12 0 4955
704 디카시 모음 2015-09-12 0 4303
703 디카시란? 2015-09-10 0 4813
702 하이퍼시 - 역설의 시 2015-09-10 0 4310
701 하이퍼시 창작기법 2015-09-09 1 4647
700 하이퍼시의 목표 - 고정틀 벗어나기 2015-09-09 0 4665
699 하이퍼시 - 새롭게 디자인한 시 2015-09-09 0 4574
698 하이퍼시란? 2015-09-09 1 4306
697 글쓰기 0도 2015-09-09 0 3927
696 패러디(모방, 표절, 도작...)문학을 인정하느냐 마느냐가 "문제"면 "문제"로다... 2015-09-07 0 4436
695 ...계속 2015-09-07 0 4176
694 남영전 / 최룡관 2015-09-07 0 4199
693 한춘시평 2015-09-07 0 4151
692 토템시에 한마디 2015-09-07 0 4516
691 토템시 - 민족문화브랜드 2015-09-07 0 5418
690 감자 캐는 즐거운 농부 - 남영전시인 2015-09-07 0 4099
689 ...계속 2015-09-07 0 5881
688 남영전 / 김관웅 2015-09-07 1 4573
687 민족문화의 뿌리를 찾아서 2015-09-07 0 4072
686 중국 조선족 시문학의 위상(자료) 2015-09-07 0 5085
685 중국 조선족시문학 정초자 - 리욱 2015-09-07 0 4965
684 시의 가치란? 2015-09-06 0 4852
‹처음  이전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