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6월 2024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29
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시인 지구촌

난해시와 신경림
2015년 12월 31일 20시 22분  조회:3934  추천:0  작성자: 죽림

김예리(문학박사)

 

1935년 충청북도 충주군(현 청주시) 노은면 연하리에서 4남 2녀 중 맏이로 태어난 신경림은 1955년 12월 〈문학예술〉에 「낮달」을 발표하면서 문단 활동을 시작한다. 1957년에는 돌연 낙향하여 농사를 짓거나 광산, 공사장에서 일하고 방물장수, 아편거간꾼들을 방랑하는데, 이때의 경험이 이후 작품세계에 상당한 영향을 끼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농무』(1973), 『새재』(1979), 『달넘세』(1985), 『남한강』(1987), 『씻김굿』(1987), 『가난한 사랑노래』(1988), 『우리들의 북』(1988), 『길』(1990), 『여름날』(1991), 『쓰러진 자의 꿈』(1993), 『갈대』(1996), 『어머니와 할머니의 실루엣』(1998), 『뿔』(2002) 등의 시집을 발표했다.

 

신경림에 대한 시천기(詩薦記)는 “움직이고 있는 시대를 무시 내지는 한각(閑却)”하고 있으며 “시대정신의 반영은 그 흔적조차도 찾아볼 수가 없”다고 되어 있다. 실제로 이 시기의 신경림에게서 ‘민중문학론의 기수’로서의 면모를 찾기는 힘들고, 존재론의 차원을 더듬는 서정시인의 분위기가 느껴진다. 이 때의 평단은 신경림을 크게 주목하지 않았다.

 

신경림은 56년부터 근 십 년 동안의 공백 이후 1965년 〈한국일보〉에 「겨울밤」을 발표하면서 시작활동을 재개한다. 널리 알려진바, 이 시기의 작품들은 대부분 농촌의 현실을 소재로 삼고 있으며, 초기 시편들과 함께 73년 3월 자비(自費)로『농무』(이후 75년 3월 5일 창작과 비평사에서 증보판이 발행된다)가 출판된다. 

당시 문단에서는 이미 리얼리즘 논쟁이 더욱 활성화되고, 71년에는 황석영의 「객지」가 발표되어 리얼리즘 문학론 진영이 더 이상 추상적인 이론이 아닌 구체적인 ‘작품으로서의’ 근거를 확보하게 된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신경림은 기존의 모더니즘 시, 난해시를 일거에 물리치면서 민중의 정서와 목소리를 담고 있다는 점에서 “한국 70년대 리얼리즘 문학의 분출을 여유있게 증명한 기념비적 작업”으로 평가된다.
 《문장》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162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842 과소평가 된 시인과 과대평가 된 시인 2016-01-05 0 3690
841 시는 시인의 령혼 2016-01-05 0 3508
840 시읽는 방법 2016-01-05 0 3306
839 아버지는 영웅 /// 영웅을 낳는 어머니 2016-01-05 0 3429
838 시인 김억과 그리고 등 등... 2016-01-04 0 5870
837 현대시 100년, 시인 166명, 시 700편 - 기념시집 2016-01-03 0 4171
836 시에서 이미지만들기 2016-01-03 0 3601
835 난해시와 초현실주의의 교주 - 조향시인 2016-01-03 0 5039
834 충동적으로 쓰고마는 詩는 아마추어들이 하는 짓 2016-01-03 0 3801
833 시에서 아방가르드를 꿈꾸는 시인은 고독자 2016-01-03 0 3606
832 천재 시인 李箱과 조선족 소설가, 시인 金革 2016-01-02 0 4159
831 超現實主義 = 超自然主義 2016-01-02 0 3523
830 캐나다시인들은 시를 어떻게 쓸가... 2016-01-02 0 3776
829 모든 것 없는 것, 없는 것 모든 것... 2016-01-02 0 3634
828 미래파의 형성 2016-01-02 0 4367
827 어느 할아버지 시평 - 김춘수 "꽃", 존재론적에 머문 詩 2016-01-02 0 3787
826 해체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 2016-01-02 0 5462
825 "거시기" 세글자면 모든 것 통하는 것... 2016-01-02 0 3783
824 난해시와 김지하 2016-01-02 0 3626
823 산문시(散文詩)와 그 례... 2016-01-02 0 3348
822 詩史에서의 미래파시인 2016-01-02 0 4472
821 해체시와 박남철, 황지우 /// 시적허용 2016-01-02 0 3761
820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공예디자인론 2016-01-02 0 3565
819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공통점과 차이점 2016-01-02 0 4082
818 포스트모더니즘과 니체 2016-01-02 0 3571
817 난해시와 보들레르 2016-01-02 0 3749
816 난해시를 읽는법 2016-01-01 0 5740
815 왕초보 시짓기에서의 비법 2016-01-01 0 3696
814 난해시의 원조 - 산해경 2016-01-01 0 3237
813 난해시와 목장의 목동 2016-01-01 0 3062
812 난해시와 오세영 2016-01-01 0 3159
811 난해시와 김수영 2016-01-01 1 3432
810 난해시와 김춘수 2016-01-01 0 3778
809 난해시와 조영남가수 2015-12-31 0 3630
808 난해성과 현대성 2015-12-31 0 3725
807 난해시와 어설픈 평론 / 나와 나도 난해시가 좋다... 2015-12-31 0 3568
806 난해시와 신경림 2015-12-31 0 3934
805 난해시와 李箱 2015-12-31 0 3949
804 詩의 넋두리 2015-12-31 1 3656
803 詩는 시인의 눈에 비친 그림 2015-12-31 0 3064
‹처음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