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12월 2024 >>
1234567
891011121314
15161718192021
22232425262728
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詩작법 찰싸닥...
2016년 01월 09일 05시 47분  조회:3699  추천:0  작성자: 죽림

□ 시속의 한자사용에 대하여

 - 현대시는 한자 사용을 안 합니다

   (예)    4월의 斷想

                            朴素姸

 - 이름이나 제목 등 한자 사용을 금하고 꼭 써야할 경우엔 가로 안에 씀

 - 한자도 무언의 무거운 언어입니다

   무거운 느낌을 주는 한자는 될 수 있는 대로 쓰지 않는 게 좋습니다

 

  ※ 요즘 원고 청탁 시 한자 쓰지 말고 한글로 쓰라는 부탁을 많이 하는 추세입니다

 

□ 시를 쓸 때

 - 던지는 시가 아닌 가슴에 들어오는 시를 써야합니다

 - 감동적인 시가 가슴에 들어오는 시입니다

 - 던지는 시란

   (예)    항일시, 민중시, 사실주의적인 시를 말하는데 이런 시가 다 나쁘다는 것은 아닙니다

           최남선, 이남선, 이광수님은 20 대에 대한민국 현대 문학의 장을 연 분들입니다

 - 우리는 어떤 방향으로 시를 쓸 것인가 나가야 할 방향을 설정해야 함

 

           시는 설명의 세계가 아닙니다

           시는 지식의 세계가 아닙니다

           시는 시입니다

           시 는 완성이 없습니다

           시는 첨가하는 것이 아니요

           빼는 것이 힘입니다

 

           거짓 없는 시가 좋습니다

           무거운 소재를 가볍게

           가벼운 소재를 무겁게 써 봅니다

           시의 공간성도 좋은 것입니다

 

   (예)    하늘에 걸어 말리 우니

           저 높은 기암절벽도 벙어리가 되어 섰구나

 

           여기에서

           하늘과 기암절벽 사이

           공간성 확보가 좋습니다

 

□ 표기법에 대하여

 - 표기법 정말 중요시 여겨야 합니다

 - 원고 심사 시 아무리 시 잘 써도 표기법 오류가 있으면 무조건 버립니다

 - 시는 숫자, 번호, 점하나 잘 신경 써야 합니다

 - 구조주의 적인 면에서 잘 생각해서 써야 합니다

   (예)    콘센트에 플러그를 꼿는 순간

           ⇒ 꽂는 순간이 맞습니다

 

□ 시는 절대적인 1인칭입니다

   (예)     인생의 가해자라는 판결을 내린다

           ⇒ 내.... 여기에서 를 빼면

              너와 나와 우리가 됩니다

              더 큰 세계로 나 아갈 수 있다는 것입니다

              내 라는 말을 안 써도 시는 1인칭이므로 독자가 다 압니다

 

□ 주체의식의 시

 - 시는 꼭 주체의식이 있어야 하는 것이 아닙니다

 - 테마가 있는 시이지만

 - 주체의식은 조심해서 써야합니다

 - 좋은 시는 삶의 뿌리를 내리는 시입니다

 

□ 시어 함축

 - 꼭 있어야 하는 시어 넣고

 - 있어도 그만 없어도 그만이면 그 시어는 뺍니다

   시는 방심하면 안 됩니다

   (예)    하얀 백지 위에 머무는

           까만 점 하나

           ⇒ 어차피 까만 백지, 파란 백지는 없으니 하얀 백지라고 할 필요가 없습니다 필요 없는 시어 사용을 금합니다

- 또한 이별, 사랑, 고독, 그리움 등 많이 사용하는 시어인데 이런 시어들은 간접적인 표현을 합니다

 

 - 이별을 대신할 다른 시어가 무엇이 있을까? 하고 한시간이고 두시간 고민하고 생각하여 여운을 느낄 수 있도록 합니다

 

□ 한자어 사용

 - 고유어가 좋으냐 아니면 한자어가 좋으냐를 잘 생각해서 사용합니다

   (예)    화폭에 채색된 사랑

           ⇒ 채색대신..... 물든 사랑으로써도 됩니다

           ⇒ 이것저것 넣었다 빼보고 더 좋고 어울리는 시어로 사용함

 

□ 존대어

 - 존대를 쓸 것인지 말 것인지 결정합니다

   한용운 선생님은 존대어를 많이 썼습니다

   (예)    흔적을 지우기 시작합니다

           ⇒ 시작합니다 시작한다 써 봅니다 느낌이 많이 다른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예)    나도 아파 울었습니다

           나도 아파 울었다

           ⇒ 존대를 사용하므로 훨씬 애절한 느낌을 더해줍니다 그러므로 존대를 쓸 것인지 아닌지 그 시의 성격을 잘 파악해서 결정함

 

□ 시 세계

 - 시 세계는 항상 현재형입니다

 - 아무리 과거의 일 이라고 하더라도 현재로 써야합니다

   김소월 선생님이 현재형의 시가 많습니다

 

□ 시 모방은 금물

 - 시는 인격입니다

 - 내 시가 모자라도 자기 스타일이 있어야 합니다

 - 시의 악덕은 모방 즉 닮는 것입니다

 - 남의 시 절대 흉내내지 말아야 합니다

 - 철저하게 내 시를 쓰고 멋있다고 따라하지 맙시다

 - 노래 가사가 시에 들어가면 지적 분위기 시적 소제의 모사성에 협의 받습니다

 - 그러나 자기는 전혀 모방한 것이 아닌데 한국적인 정서에 의해 혹 다른 시랑 같다는 협의를 받들 때도 있습니다 그것은 괜찮습니다

 

□ 반복법

 - 반복법은 시의 내용을 약화시킵니다

   (예)    한 꺼풀에는 눈물을

           한 꺼풀에는 외로움을

           ⇒ 보통 사람들이 반복법을 많이 사용하는데

           ⇒ 시의 내용을 약화시킵니다

 

 - 반복법에 성공한 사람은 딱 한사람 있습니다

   (예)    박두진 시인

           해야 솟아라 해야 솟아라

 

□ 띄어쓰기

 - 본명은 붙여씁니다

 - 필명은 띄어씁니다 (보기 좋게 하기 위해서)

 

□ 제목 정할 때

 - 제목도 여운이 있어야 합니다

 - 제목을 보고 포괄적으로 생각할 수 있도록 합니다

 - 제목과 시를 너무 구체화하지 않도록 합시다

 - 시에 항상 여운을 남기는 것 중요합니다

   (예)    편운 조병화님의 시비 제막식에 다녀오며 이런 제목이 있다고 생각해 봅시다

           이 제목을 만약 시비란 제목이나 시비 앞에서라고 한다면 어떨까?

           독자들이 읽을 때 무슨 시비일까 하고 궁금해하지 않을까요

           제목을 구체적으로 다 쓰면 아! 조병화님의 시비 제막식이구나 하고 호기심이 덜합니다

 

□ 의미확대

  편운 조병화님의 시비 제막식에 다녀오며 에서

   (예)    님이시여

           한 조각 구름 타고 가시는 가 했는데

           온 하늘 머리에 이고 편운이라 하셨군요

           당신의 구름 한 조각으로 천지를 감싸니

           사랑이 큰 것을 알았습니다

 

           여기에서 님이시여란 시어와 당신의이란 시어가 있으므로

           독자들이 읽기에 조병화 선생님을 말하는구나 하고 생각하는데

           당신이란 시어를 빼면 의미가 확대됩니다

 

           혹 조병화 선생님을 놓고 쓴 시라고 하더라도 의미를 확대하는 방향의 시를 써야 합니다

 

   (예)    물위에 함부로 휩쓸리는 나뭇잎이거나

           종이배처럼

           지구는 돌든지 멈추든지

           ⇒ 여기에서 종이배처럼 직유법 (~처럼, ~같이 ~인양 등등 )을 써서 구체화하려고 하는데 구체화하지 않아도 좋습니다

           ⇒ 그냥 종이배로 끝나는 것이 더 좋아 보입니다 (처럼 삭제)

 

   (예)    지구는 돌든지 멈추든지

           ⇒ 지구가 도니까 멈춘다는 것을 생각하는데

           여기에서 지구는 돌든지 말든지 라고 하면 어떨까요?

           훨씬 느낌이 다르지요

           이렇게 깊은 생각을 하고 시어를 선택합니다

-------------------------------------------------------

 

24. 내린천을 지나 / 최하림

 

 

 

 

 

 

 

 

 

시인 최하림

 

1939년 3월 7일 전남 목포 출생. 1964년 조선일보 신춘문예 '빈약한 올페의 회상' 당선, 2005년 올해의예술인상 문학부문 최우수상 수상, 조연현문학상, 이산문학상, 불교문학상 수상. 저서로는 '최하림 시 전집', '이야기 주머니', '우리들을 위하여', '작은 마을에서', '겨울 깊은 물소리', '속이 보이는 심연으로', '때로는 네가 보이지 않는다', '사랑의 변주곡', '한국의 멋', 김수영 평전인 '자유인의 초상', 어린이들을 위한 역사서 '즐거운 한국사 1~5' 등이 있다.

 

< 내린천 계곡 >

 

 

 

 

 

 

 

 

<강원도 정선 풍경>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643 이승훈 시모음 2015-07-18 0 4376
642 <자본주의> 시모음 2015-07-18 0 4294
641 알기 쉬운 현대시 작법 2015-07-18 0 4436
640 김소월과 에이츠 2015-07-17 0 4576
639 좋은 시를 쓰는 王道 // 령혼을 노크해주는 글 2015-07-15 0 4554
638 표절과 령혼 2015-07-15 0 4510
637 표절은 작가자신의 령혼을 죽이는 자살행위... 표절은 독자들의 령혼을 죽이는 타살행위... 2015-07-15 0 4216
636 김억과 김소월 2015-07-14 0 5328
635 윤동주와 일본 시인 // 시문학의 흐름 2015-07-12 0 5125
634 한국 최초의 자유시 2015-07-12 0 3817
633 新體詩 시인 - 최남선 / 자유시 선구자 - 주요한 2015-07-12 0 4870
632 하이퍼텍스트 詩 들여다보기/현대시의 흐름/바이런시인 시모음 2015-07-09 0 5231
631 <<死愛>> 2015-07-09 0 4882
630 어둠의 아이들과 햇빛의 아이들이... 2015-07-09 0 5250
629 그 누구나 시의 전파자가 되는 날을 위하여... 2015-07-08 0 4081
628 우리 민족 문단 최초의 시인 2015-07-06 0 4306
627 우리 민족 문단 최초의 시선집 2015-07-06 0 4120
626 <<풀보다 먼저 눕고 먼저 울고 먼저 일어서는>> -"국민시인" 2015-07-05 0 4797
625 윤동주와 정지용, 리륙사와 로신 // <<향수>>와 <<추억>> 2015-07-04 0 6140
624 두 시인의 마음속 "고향"은...? 2015-07-04 0 4173
623 다시 알아보는 시인 백석 2015-07-04 0 4366
622 <소주> 시모음 / 김소월시인과 담배, 술, 진달래꽃 2015-07-04 0 5202
621 포스트/모더니즘시론의 력사 2015-07-04 0 4363
620 2015년 7월 4일자 한국 중앙일보 윤동주 시한편 등고해설 2015-07-04 0 4426
619 다시 알아보는 시인 조기천 2015-07-03 0 4900
618 전쟁과 화폐살포작전 / 짧은 시 모음 2015-07-03 0 5061
617 항상 취해 있으라... 2015-07-03 0 4419
616 <지렁이> 시모음 2015-07-01 0 4543
615 미친 시문학도와 싸구려 커피 2015-06-30 0 4341
614 체 게바라 시모음 2015-06-28 0 4533
613 파블로 네루다 시모음 2015-06-28 0 4467
612 <시인들이 이야기하는> 시모음 2015-06-27 0 4949
611 <夏至> 시모음 2015-06-22 0 4214
610 시를 설사하듯 쓰기와 시를 느린보로 쓰기와 좋은 시 다섯편 남기기 2015-06-22 0 4717
609 연변 작가계렬 취재 1 2015-06-22 0 4481
608 다시 읽는 우리 문학 2 2015-06-22 0 4791
607 다시 읽는 우리 문학 1 2015-06-22 0 4287
606 리임원 시집 출간 2015-06-21 0 4129
605 李仁老 漢詩 2015-06-20 0 6424
604 녀성詩 어디까지 왔나ㅠ... 2015-06-19 0 3834
‹처음  이전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