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1월 2025 >>
   1234
567891011
12131415161718
19202122232425
262728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온몸으로 불 밝히는 살구꽃나무 환하게 서서 있었다"...
2017년 08월 22일 00시 16분  조회:1939  추천:0  작성자: 죽림
 

[詩論]

시의 제목이 가져야 할 덕목

조태일

 

 

첫째-시 내용과의 조화와 통일성을 갖춰야 한다.

둘째-새롭고 참신한 것으로 독자의 관심과 호기심을 환기시켜야한다.

셋째-독자의 상상력을 자극시키고, 상상력을 발동 시키게 해주어야 한다.

넷째-추상적이고 한정 범위가 넓은 것보다 구체적인 것이 좋다.

다섯째-제목은 그 자체로서 의미를 증폭시켜주는 것이어야 한다.

 

 

1. 제목은 시 내용과의 조화와 통일 성을 갖추어야 한다.

조화로움과 통일성은 미적 장치의 원리입니다. 잘 아시다싶이 시는 하나의 구조이며, 각기 부분적 요소들이 모여서 서로 연결되고 조합되어서 이 구조를 형성합니다. 이 때 통일성과 조화로움이 구조를 이루는 중요한 원리가 되는 것입니다. 그 이유는 구조는 '집합체'가 아니고 '전체'이기 때문입니다.

 

'집합체'와 '전체'가 어떻게 들으면 같은 말인 것 같으면서도 아주 다른 말입니다. '집합체'는 아무런 관련이 없는 부분들을 모아놓은 것이지만 '전체'는 서로 필연적인 관련성이 있는 부분들을 모아놓은 것이기 때문입니다. 더구나 시는 각기 부분들이 생물체의 기관들처럼 서로 유기적인 결합을 이루어 통일체를 이루어야 하므로 시의 제목은 주제나 의미, 정서, 분위기, 이미지 등과 서로 부합되어야 할 것입니다.

 

여러분들이 너무 잘 아시는 윤동주님의 <자화상>을 올려보겠습니다.

 

 

산모퉁이를 돌아 논가 외딴 우물을 홀로 찾아가선 들여다봅니다.

우물 속에는 달이 밝고 구름이 흐르고 하늘이 펼

치고 파아란 바람이 불고 가을이 있습니다.

그리고 한 사나이가 있습니다.

어쩐지 그 사나이가 미워져 돌아갑니다.

 

 

돌아가다 생각하니 그 사나이가 가엾어집니다.

도로가 들여다 보니 사나이는 그대로 있습니다.

 

 

다시 그 사나이가 미워져 돌아갑니다.

돌아가다 생각하니 그 사나이가 그리워집니다.

 

 

우물 속에는 달이 밝고 구름이 흐르고 하늘이 펼치

고 파아란 바람이 불고 가을이 있고 추억처럼 사나이가 있습니다.

 

 

조태일님의 설명을 그대로 옮겨볼 테니 마져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자화상>이란 제목은 위 시의 주제와 분위기를 잘 살려내는 데 아무런 손색이 없다. 다소 산문적인 느슨하고 평범한 진술이지만 내용이 응집되어서 탄력성을 유지하고 있는 것 <자화상>이란 제목 덕분이다. 만약에 시인이 이 시의 제목을 <‘외딴 우물’이라든지 <한 사나이> <우물 속의 풍경> <우물 속에 비친 모습> <응시> <우물 속을들여다 보다가> <우물 속의 사나이> 등으로 다른 제목을 붙였다면 그것이 무엇이든간에 <자화상>이란 제목만큼 시적 주제나 의미들과 긴밀함을 유지하지 못했을 것이다."

 

 

어째 설명을 들어보니 그럴 것 같지요? 아마 우리 거의는 나중에 예를 든 시의 제목을 선택했을 것이 분명하거든요.

 

 

 

2. 제목은 새롭고 참신한 것으로 독자의 관심과 호기심을 환기시켜야 한다.

전에 러시아 형식주의자들이 주장한 이론으로 낯설게 하기란 것을 배웠을 때도 이야기 드린 적이 있지만, 우리들의 일상적인 현실에서 매일마다 보는 것, 늘상 듣는 말 등은 우리들의 감각이나 정서 집중시키지 못합니다. 이는 문학적 용어로 자동화 되었다고 합니다. 이에 대응한 생소화의 전략이야말로 낯설게 하기인데요. 말하자면 무디어진 감각 경험에 충격효과를 줄 수 있는 참신성이 시의 내용에서는 물론이지만 제목에서도 필요하다는 것 입니다. 똑같은 소재와 주세를 다루더라도 제목이 주는 새로움 때문에 시의 맛이나 정서가 새롭게 다가올 수 있는 것입니다.

 

예문으로 정호승님의 <누더기별>을 싣습니다.

 

 

사람이 다니는 눈길 위로

누더기가 된 낙엽들이 걸어간다

낙엽이 다니는 눈길 위로

누더기가 된 사람들이 걸어간다

그 뒤를 쓸쓸히 개미 한 마리 따른다

그 뒤를 쓸쓸히 내가 따른다

누더기가 되고 나서 내 인생이 편안해졌다

누더기가 되고 나서 비로소 별이 보인다

개미들도 누더기별이 되는 데에는

평생이 걸린다

 

 

좀 장황하기도 하지만 조태일님의 해설과 그의 시를 또한 예로 드는 것을 여러분이 참고하시기 좋게 올립니다.

 

 

“별을 노래하지 않은 시인은 진짜 시인이라고 하기 어려울 만큼 별을 소재로 한 시, 별을 주제로 한 시, 별을 제목으로 한 시가 무수히 많다. 별이 가장 흔한 시적 대상이라는 점에서 별은 더 이상 참신한 제목이 못된다. 그러나 위 시의 제목 <누더기별>은 '누더기'와 '별'이라는 이질적인 대상을 합성함으로써 아주 새로운 느낌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그런데 시의 제목이 주는 참신성이나 새로움은 전혀 시적 정서를 불러 일으키기 어려운 제목에서도 생겨 날 수가 있다. 이런 경우는 그 제목이 주는 의외성 과 당돌함이 독자들이 갖고 있는 고정관념을 깨며 충격을 주기 때문이다. 필자가 쓴 연작시 <식칼론> 도 그 한 예라고 할 수 있다.

 

 

내 가슴 속의 뜬 눈의 그 날카로운 칼빛은

어진 피로 날을 갈고 갈더니만

드디어 내 가슴살을 뚫고 나와서

한반도의 내 땅을 두루 두루 날아서는

대창 앞에서 먼저 가신 아버님의 무덤속 빛도 만나뵙고

반장집 바로 옆집에서 홀로 계신 남도의 어머님 빛과도 만나뵙고

흩어진 엄청난 빛을 다 만나뵙고 모시고 와서

심지어 내 남근 속의 미지의 아들 딸의 빛도 만나뵙고

더욱 뚜렷해진 무적의 빛인데도, 지혜의 빛인데도

눈이 멀어서, 동물원의 누룩돼지는 눈이 멀어서

흉물스럽게 엉덩이에 뿔돋는 황소는 눈이 멀어서

동물원의 짐승은 다 눈이 멀어서 이 칼빛을 못보나.

 

 

생각 같아서는 먼눈 썩은 가슴을 도려파 버리겠다마는,

당장에 우리나라 국어대사전 속의 <개헌>이란

글자까지도 도려파 버리겠다마는

눈 뜨고 가슴 열리게

먼눈 썩은 가슴들 앞에서

번뜩임으로 있겠다! 그 고요함으로 있겠다!

이 칼빛은 워낙 총명해서 관용스러워서

조태일, <식칼론.3>

 

 

위 시의 제목은 삭막하고 무시무시한 느낌을 주는 <식칼론>으로 붙인 것은 시를 쓸 당시의 정치, 사회상과의 연관성 때문이다. 3선 개헌을 통해 영구 집권을 획책한 유신체제로 바뀌는 조짐이 보이자 여기에 대응하는 단호한 의지를 암시하기 위해 <식칼론>이라는 무시무시한 이미지의 제목을 붙이게 되었다. 그러나 식칼은 우리들의 어머니가 부엌에서 영양가 있는 음식을 만들 때 사용되는 주방 기구이므로 전쟁에서나 혹은 사람을 죽일 때 쓰는 살인검이 아니라 그와 대조되는 모성의 칼, 즉 활인검의 의미로 제목을 삼았던 것이다.”

 

 

조태일님이 본인의 시를 예로 들고 그 제목에 대해 설명을 한 것처럼 이렇게 시의 제목 하나를 가지고 도 여러 가지 관점으로 생각을 해서 붙인 것입니다. 저는 좀 다작을 하는 편이어서 시의 제목을 붙이는데 여간 곤혹스러움을 겪는 것이 아닙니다. 그러나 시를 쭈욱 올렸을 때 클릭 수가 많은 것이 있고 전혀 클릭하지 않은 시를 보면서 아하, 이것은 순전히 제목 탓이구나 하는 것을 많이 느끼는 것입니다.

 

그럼, 좋은 시 읽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심재휘님의 <구두끈을 매는 남자>입니다.

 

 

서소문 코오롱 빌딩 앞 횡단보도

낡은 신호등이 오늘은 먹통이다

명멸의 일생이 잠시 눈을 감는 동안

잰걸음으로 비둘기 한 마리

밥집 골목으로 들어간다

희미해진 횡단보도를 사람들이

슬금슬금 건너는 도심의 점심시간

눈이 한바탕 올 듯한 날씨에

하늘은 땅바닥으로 곤두박질친다

사라진 꿈들이 서글프게

흩날리기 시작한다 좁은 하늘

그 높은 곳에서 이 넓은 거리를

자꾸 내려다 보는 이는

누구인가

횡단보도 한쪽 끝

사내 하나가

허리 굽혀 풀어진 구두끈을 매고 있다

한껏 동여맨다 오늘따라

구두끈에 묶인 가족이

눈발에 춥다

 

 

다음은 서경온님의 <버려진 봄날>입니다.

 

 

쓰러진 담장이 있었다. 허물어진 우물가. 비가 새는

지붕 밑. 금이 간 아궁이가 보였다. 떨어져 나간

문짝, 텅 빈 외양간 옆이었다

 

온몸으로 불 밝히고 서서 살구꽃 환하게 피어 있었다.

주인 떠난 집. 버려진 봄날의 아름다운 SOS.

눈부시게, 눈물겹게......

손짓하고 있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850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동시란 "어린이"라고 해요... 2017-11-13 0 3276
849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동시쓰기에 최고가 될수 있어요... 2017-11-13 0 2996
848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동요 동시를 자꾸 써봐야해요... 2017-11-13 0 2762
847 [작문써클선생님께] - 동요 동시에 "꼬까옷" 입히기... 2017-11-13 0 3071
846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이야기 시"란?... 2017-11-13 0 3195
845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유아들에게 읽어줘야 할 동시류형... 2017-11-13 0 3378
844 동시야, 동시야, 어디에 숨었니... 머리꼬리 보인다야... 2017-11-13 0 3082
843 [노벨문학상과 시인]-"20세기후반 영어권에서 추앙"되는 시인 2017-11-13 0 3017
842 [노벨문학상과 시인] - "설교하지 않는" "언어봉사" 교수 시인... 2017-11-13 0 3054
841 [노벨문학상과 시인] - "아프리카인과 유럽인"을 넘나든 시인 2017-11-13 0 3353
840 윤동주눈 "나"를 고백한 시, "너머"를 상상한 시를 쓰다... 2017-11-13 0 2484
839 시작할때 형이상학적 이미지들 언어로 시적성채를 빚어야... 2017-11-13 0 3067
838 우리가 전혀 몰랐던 지구 반대편 아메리카의 시단 알아보기... 2017-11-13 0 2155
837 [노벨문학상과 시인] - 라틴아메리카 대표적인 "외교관"시인... 2017-11-13 0 3468
836 시야, 시야, 넌 도대체 무엇이니?!... 2017-11-13 0 2366
835 시는 "경계의 눈"을 가진 비평가를 만나는것이 즐거운 일이다... 2017-11-13 0 2177
834 시작은 하찮은것에서 소중한것을 길어내야... 2017-11-13 0 2347
833 [노벨문학상과 시인] -"서정적 비가"시인, "학교중퇴생" 시인... 2017-11-13 0 2342
832 [노벨문학상과 시인] - 초현실주의적 "외교관" 시인... 2017-11-13 0 2232
831 [노벨문학상과 시인] - "인민시인"으로 추대되였던 시인... 2017-11-13 0 1993
830 시의 령혼이 빛나고 있는 곳은 실재계, 상징계, 영상계에 있다 2017-11-10 0 2172
829 [노벨문학상과 시인] - 력사를 "시적인 론문"으로 쓴 시인... 2017-11-06 0 4530
828 [노벨문학상과 시인]젊은이들속 "음유시인"으로 알려진 시인... 2017-11-06 0 3777
827 [노벨문학상과 시인] - "자유시의 대가"인 시인... 2017-11-05 0 3520
826 [노벨문학상과 시인] - 음악가로부터 문학의 길을 택한 시인 2017-11-05 0 3931
825 [노벨문학상과 시인]소설가인 년상(年上) 녀인과 재혼한 시인 2017-11-05 0 4258
824 문인들 컴퓨터의 노예가 되다... 2017-11-03 0 3508
823 "가짜 詩"와 "진짜 詩"... 2017-11-03 0 4963
822 [노벨문학상과 시인]"유대인 민족의 비극을 대변한" 녀류시인 2017-11-03 0 3485
821 [노벨문학상과 시인] - "촉망되는, 촉망받은" 외교관 시인 2017-11-02 0 3481
820 [노벨문학상과 시인] - 고향을 "서사적인 힘"으로 노래한 시인 2017-11-02 0 3424
819 [그것이 알고싶다] - 일본 녀고생들은 윤동주를 어떻게 볼가?... 2017-11-02 0 2338
818 "배추잎같은 엄마의 발소리 타박타박"... 2017-11-01 0 2817
817 [노벨문학상과 시인] - 중국 상하이, 베이징 주재 외교관 시인 2017-10-31 0 3692
816 [노벨문학상과 시인] - "모더니즘 시인들 운동"의 지도자 시인 2017-10-31 0 3790
815 [노벨문학상과 시인] "벌거벗은 시"로 리행과 리정표가 된 시인 2017-10-31 0 3377
814 시인 윤동주 탄생 100주년 기념메달 출시되다... 2017-10-31 0 2141
813 시성 타고르의 시와 그리고 오해, 진실... 2017-10-30 0 3998
812 천년의 그리움이 만년의 강 따라 흐르고... 2017-10-30 0 3155
811 [노벨문학상과 시인] - 아세아인 최초로 노벨상을 탄 시인 2017-10-30 0 4409
‹처음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