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시계란 시계는 다 오후 다섯시였다"...
2017년 09월 20일 02시 41분  조회:2037  추천:0  작성자: 죽림
 

페데리코 가르시아 로르카(Federico Garcia Lorca)

오후 다섯 시에
정각 오후 다섯 시에
한 소년이 참회자의 흰옷을 샀다
오후 다섯시에
한 바구니의 석회는 이미 준비되여 있었다
오후 다섯 시에 나머지는 죽음 그리고 죽음 뿐이다 

 

오후 다섯 시에
바람은 목화를 흩날린다
오후 다섯 시에
수정와 니켈의 산화물이 뿌려졌다
오후 다섯 시에
이미 표범과 비들기가 싸우기 시작했다
오후 다섯 시에
황폐한 뿔에 받힌 근육
오후 다섯 시에
오후 다섯 시에
낮은 음악 소리가 울려퍼지기 시작하였다
오후 다섯 시에
砒素(비소)의 종과 연기
오후 다섯 시에
길 모퉁이마다엔 침묵이 산더미,
오후 다섯 시에
아! 투우사만이 홀로 가슴을 높이 쳐들고 있다.

오후 다섯 시에
눈같이 창백한 땀방울이 도착했을 때,
오후 다섯 시에
광장이 요드로 뒤덮였을 때
오후 다섯 시에
죽음은 상처 속에 싸앗을 뿌렸다.

오후 다섯 시에
정각 오후 다섯 시에.
오후 다섯 시에는
바퀴 달린 관이 침대로 변했다.
오후 다섯시에
뼈와 피리가 그의 귀에 울렸다.
오후 다섯 시에
투우가 이미 그의 이마 근처에서 울부짓고 있었다.
오후 다섯 시에
방에는 고뇌의 무지개가 떠 있있다.
오후 다섯 시에
멀리에서 이미 썩은 냄새가 밀려온다.
오후 다섯 시에
초록빛 천과 백합의 나팔소리
오후 다섯 시에
상처는 태양과 같이 불타고 있다.
오후 다섯 시에
군중이 창문을 부수고 있었다.
오후 다섯 시에
오후 다섯 시에
아, 얼마나 끔찍한 오후 다섯 시인가!

시계란 시계는 다 다섯 시였다.
어스름한 오후 다섯 시였다. 

 

==

 

7) 

 

인류가 자신의 그림자와 화해하는 방식으로 개발한 문화 중에 하나 바로 '스페인'의 '투우 축제'이다.
스페인 투우가 진정 야만인가? 
나도 야만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그것의 진정한 본질은 "야만을 갖춘 예술"이란 것이다. 
투우의 행위는 "끔찍한 충격"을 선사하지만,
그러한 "충격"만이 전해줄 수 있는 본질적인 "아름다움"또한 분명히 있는 것이다. 
혹자들은 투우 경기에서 오직 '소'만이 희생양으로 쓰인다고 주장하지만, 사실은 결코 그렇지 않다. 
투우 경기의 아름다움을 위해 희생되는 소는 내게도 안쓰럽다. 
하지만 그것이 그 소의 운명이고, 그 운명과 싸우는 것은 소와 함께 투우사, 사람이다. 

8) 

사족이지만 인간은 포우류에 속한 생물군중에서,
생식기가 유독 큰 편에 속하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이 얼마나 될지 모르겠다.
인류의 조상, - 더 정확히는 같은 조상을 가진 - 영장류들도 신체에 비해서 꽤 큰 성기를 가지고 있다. 
그것은 인류의 조상들이 본래 난교를 하면서 번식을 해왔기 때문이다. 

우리의 이성은 그런 본능을 제어하는 쪽으로 발전해 오고 있지만 - 사실 그러려고 노력하고 있을 뿐이다 - 
우리의 신체는 아직도 과거의 그런 본능들과 완전히 단절된 것또한 결코 아니다. 

 

오해하지는 말아달라. 내가 난교를 지지하는 것이 아니다. 단지 인간을 통제하기 위하여 개발된 
'당위'와 규범의 논리가 매우 설득력이 있기는 하지만, 

또한 그만큼 작위적이란 사실 또한 인정해야 한다고 말하고 싶을 뿐.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330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창구멍 2018-12-20 0 2805
132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병아리 2018-12-19 0 2781
1328 윤동주와 꿈 2018-12-19 1 2703
1327 ... 2018-12-19 0 3178
1326 ... 2018-12-19 0 2483
1325 ... 2018-12-18 0 2922
1324 ... 2018-12-18 0 2529
1323 ... 2018-12-18 0 2615
1322 ... 2018-12-18 0 2797
1321 ... 2018-12-18 0 2527
1320 ... 2018-12-18 0 2783
1319 시 한수에 그림책 한부 나오다니... 2018-12-18 0 2897
1318 ... 2018-12-18 0 2553
1317 ... 2018-12-18 0 3296
1316 {자료} - 해방전 조선인 시선 2018-12-17 0 3212
1315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꿈은 깨여지고 2018-12-17 0 3041
1314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봄(2) 2018-11-30 0 6651
1313 윤동주와 "이상한 주사" 2018-11-30 0 3126
1312 [작문써클선생님께] - 시를 어떻게 쓸가ㅠ.. 2018-11-27 0 3606
1311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산울림 2018-11-27 0 3534
1310 윤동주와 "원산 송도원" 2018-11-26 0 3968
130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바다 2018-11-26 0 3460
1308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비로봉 2018-11-25 0 3378
1307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산협의 오후 2018-11-25 0 3607
1306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서시" 분석 2018-11-25 0 4356
1305 윤동주, 그 뒷이야기???... 2018-11-24 0 3213
1304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개(2) 2018-11-24 0 3072
1303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나무 2018-11-23 0 2636
1302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황혼이 바다가 되여 2018-11-20 0 3503
1301 백두산 / 조기천 2018-11-18 0 3257
1300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둘 다 2018-11-17 0 3257
1299 "한국의 안데르센" - 강소천 2018-11-17 0 2733
1298 윤동주와 강소천 2018-11-17 0 4677
1297 {자료} - 남영전시인이 보는 중국조선족문학 2018-11-17 0 2623
1296 윤동주가 좋아했던 아동문학가 - 윤석중 2018-11-16 0 2730
1295 윤동주와 윤석중 2018-11-15 0 3231
1294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아침 2018-11-15 0 3309
1293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겨울 2018-11-15 0 3239
1292 한춘&김혁 2018-11-15 0 2660
1291 리상(이상)이 동시를 썼다???!!! 2018-11-14 0 2649
‹처음  이전 2 3 4 5 6 7 8 9 10 11 12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