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작문써클선생님께] - 동시를 어떻게 쓸가ㅠ...
2018년 01월 07일 18시 42분  조회:2263  추천:0  작성자: 죽림

“동시”

시란 강하게 느낀 감동을 짧은 문장으로, 노래하듯이 쓴 글이다.
즉 어떤 순간 마음이 크게 움직여 그려낸 마음 속 풍경을 압축적으로 리듬감있게 쓴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동시는 일반적 시의 특성을 가지면서 어린이가 중심에 있다. 

(1) 시의 특징
① 행과 연이 있다.
② 소리 시늉말, 모양 시늉말, 직유법,은유법,의인법 등 다양한 표현으로 생각과 느낌을 나타낸다.
③ 운율을 살려 쓴다. 글자수나 단어로 노래와 같은 느낌을 준다.

(2) 동시의 글감: 생활에서 체험한 직간접 경험과 모든 사물이 글감이 된다.

(3) 동시 쓰는 법
① 강한 감동이 일어난 한 순간의 느낌을 잡아 글감으로 정한다.
② 많은 것을 담으려 하지 말고 한 가지를 현미경으로 보듯 세밀하게 묘사한다. 
③의인법,은유법,직유법 등 다양한 표현을 사용하면 문장의 멋이 살아나고
읽는 사람에게 자신의 느낌을 더 잘 전달할 수 있다.

(4) 표현 기법 
㉠직유법: 직접적으로 비유하는 기술로 어떤 대상과 공통성이 있는
다른 대상의 특성을 빌려와 표현하는 방법이다.
‘처럼,같이,듯이’라는 말을 쓴다.그러나 비유의 대상과 비유하려는
사물이 유사한 종류라면 문장의 묘미가 사라진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면 ‘소나무 잎은 전나무 잎처럼 뾰족하다’는 문장의 경우 직유법 표현으로 적당하지 않다. 
㉡은유법: ‘처럼,같이,듯이’라는 말을 쓰지 않고 ‘A는 B다’는 형태로 쓴 문장이다.
단, A와 B는 속성상 공통점이 있어서 사람들이 납득할 수 있어야 한다. 
예문) 귤껍질은 향기 물총이다. 내 친구 지현이는 웃음 폭탄이다.
㉢의인법: 사람이 아닌 것을 사람의 행동이나 말,감정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아파트의 바람개비가 바람과 함께 놀고 있다.(이은지)
*피뢰침은 천둥번개를 밥으로 먹고 산다.(김도선)
*동상들이 반짝거리며 일광욕을 즐기고 있다.(임지현)
㉣소리 흉내말, 모양 흉내말 쓰기 : 졸졸졸, 토도독 등 소리 흉내말과 흔들흔들, 폴짝폴짝 등 흉내말을 쓴다.
㉤ 도치법 : 주어, 목적어,서술어로 쓰는 문장 순서를 일부러 바꾸어 써서 강한 느낌을 준다. 
(예) 마침내 우리의 꿈을 이루었네. --> 마침내 이루었네, 우리의 꿈을.
③ 대화글을 사용할 수 있다. 
(예) “야, 이쪽으로 패스! 패스!.”
“됐어! 내가 더 잘 할 수 있어.”
④ 자신의 생각과 느낌도 쓴다. 
⑤ 다 쓴 후 조사나 꼭 필요하지 않는 말은 생략한다. 
⑥ 과장하거나 미화하지 않고 솔직하게 써야 한다. 
⑦ 설명하는 투의 말은 고쳐 쓴다.
⑧ 행과 연은 나누어 쓴다.

(5) 좋은 시란?
① 감동을 느끼게 하는 시다. 그렇다면 어떤 시가 감동을 줄까? 그
것은 거짓으로 꾸며쓰지 않고 자신의 솔직한 생활과 진솔한 감정을 표현한 시다.
② 쉽게 읽을 수 있고 자연스럽게 전개된 시다.
머릿속으로 짜맞춘 어려운 말,멋진 말로 꾸며쓴다면
자신의 감동도 전달되지 않고 읽는 사람도 지루할 것이다.
③ 자기만의 느낌을 자신의 언어로 쓴 시다.
누구에게나 사물을 보는 마음의 눈, 그것을 표현하는 자신의 말이 있다.
자신의 눈으로 보고 자신의 언어로 써야지 다른 사람의 느낌이나 생각,언어를 흉내내면 안 될 것이다.
그렇게 흉내낸 시는 마치 남의 옷을 빌려 입은 것처럼 본인도 불편하고 보는 사람도 이상할 것이다. 
④ 사랑의 마음으로 쓴 시다. 무엇이든 사랑하게 되면 관심있게 보고 깊은 곳까지 살피게 된다.
바로 마음의 눈을 뜨는 것이다. 마음의 눈은 몸의 눈이 볼 수 없는 것도 본다.
두터운 얼음장 밑으로 생명이 살아 있는 것을 느끼고,
딱딱한 나무줄기 안에 신선한 수액이 힘차게 전진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마음의 눈을 뜨지 못한 사람은 좋은 시를 쓸 수 없다.

 

[자료:한우리북]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850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동시란 "어린이"라고 해요... 2017-11-13 0 3284
849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동시쓰기에 최고가 될수 있어요... 2017-11-13 0 3007
848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동요 동시를 자꾸 써봐야해요... 2017-11-13 0 2772
847 [작문써클선생님께] - 동요 동시에 "꼬까옷" 입히기... 2017-11-13 0 3078
846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이야기 시"란?... 2017-11-13 0 3204
845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유아들에게 읽어줘야 할 동시류형... 2017-11-13 0 3400
844 동시야, 동시야, 어디에 숨었니... 머리꼬리 보인다야... 2017-11-13 0 3091
843 [노벨문학상과 시인]-"20세기후반 영어권에서 추앙"되는 시인 2017-11-13 0 3022
842 [노벨문학상과 시인] - "설교하지 않는" "언어봉사" 교수 시인... 2017-11-13 0 3060
841 [노벨문학상과 시인] - "아프리카인과 유럽인"을 넘나든 시인 2017-11-13 0 3360
840 윤동주눈 "나"를 고백한 시, "너머"를 상상한 시를 쓰다... 2017-11-13 0 2492
839 시작할때 형이상학적 이미지들 언어로 시적성채를 빚어야... 2017-11-13 0 3075
838 우리가 전혀 몰랐던 지구 반대편 아메리카의 시단 알아보기... 2017-11-13 0 2165
837 [노벨문학상과 시인] - 라틴아메리카 대표적인 "외교관"시인... 2017-11-13 0 3473
836 시야, 시야, 넌 도대체 무엇이니?!... 2017-11-13 0 2379
835 시는 "경계의 눈"을 가진 비평가를 만나는것이 즐거운 일이다... 2017-11-13 0 2184
834 시작은 하찮은것에서 소중한것을 길어내야... 2017-11-13 0 2354
833 [노벨문학상과 시인] -"서정적 비가"시인, "학교중퇴생" 시인... 2017-11-13 0 2348
832 [노벨문학상과 시인] - 초현실주의적 "외교관" 시인... 2017-11-13 0 2256
831 [노벨문학상과 시인] - "인민시인"으로 추대되였던 시인... 2017-11-13 0 2001
830 시의 령혼이 빛나고 있는 곳은 실재계, 상징계, 영상계에 있다 2017-11-10 0 2179
829 [노벨문학상과 시인] - 력사를 "시적인 론문"으로 쓴 시인... 2017-11-06 0 4538
828 [노벨문학상과 시인]젊은이들속 "음유시인"으로 알려진 시인... 2017-11-06 0 3789
827 [노벨문학상과 시인] - "자유시의 대가"인 시인... 2017-11-05 0 3527
826 [노벨문학상과 시인] - 음악가로부터 문학의 길을 택한 시인 2017-11-05 0 3939
825 [노벨문학상과 시인]소설가인 년상(年上) 녀인과 재혼한 시인 2017-11-05 0 4273
824 문인들 컴퓨터의 노예가 되다... 2017-11-03 0 3521
823 "가짜 詩"와 "진짜 詩"... 2017-11-03 0 4971
822 [노벨문학상과 시인]"유대인 민족의 비극을 대변한" 녀류시인 2017-11-03 0 3496
821 [노벨문학상과 시인] - "촉망되는, 촉망받은" 외교관 시인 2017-11-02 0 3489
820 [노벨문학상과 시인] - 고향을 "서사적인 힘"으로 노래한 시인 2017-11-02 0 3452
819 [그것이 알고싶다] - 일본 녀고생들은 윤동주를 어떻게 볼가?... 2017-11-02 0 2346
818 "배추잎같은 엄마의 발소리 타박타박"... 2017-11-01 0 2827
817 [노벨문학상과 시인] - 중국 상하이, 베이징 주재 외교관 시인 2017-10-31 0 3706
816 [노벨문학상과 시인] - "모더니즘 시인들 운동"의 지도자 시인 2017-10-31 0 3800
815 [노벨문학상과 시인] "벌거벗은 시"로 리행과 리정표가 된 시인 2017-10-31 0 3392
814 시인 윤동주 탄생 100주년 기념메달 출시되다... 2017-10-31 0 2149
813 시성 타고르의 시와 그리고 오해, 진실... 2017-10-30 0 4018
812 천년의 그리움이 만년의 강 따라 흐르고... 2017-10-30 0 3167
811 [노벨문학상과 시인] - 아세아인 최초로 노벨상을 탄 시인 2017-10-30 0 4426
‹처음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