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래일은 없다
2018년 06월 11일 23시 47분  조회:3481  추천:0  작성자: 죽림
래(내)일은 없다

               ㅡ 어린 마음이 물은


                             윤동주 / 시인


내일 내일 하기에 
물었더니 
밤을 자고 동틀 때 
내일이라고 

새날을 찾던 나는
잠을 자고 돌아보니
그때는 내일이 아니라
오늘이더라

무리여! 동무여!
내일은 없나니
······



오늘은 윤동주 시인의 시 한편을 
읽어 봅니다.

1934년 윤동주 시인이 18세 되던 해에
3편의 시를 썼는데 『삶과 죽음』 『초한대』 
『내일은 없다』였다고 합니다.
이는 오늘날 찾을 수 있는 윤동주 시인의 
최초의 작품이라고 합니다.


이 시는 윤동주 시인의 대표적인 시 
`자화상'이나  `서시' `별 헤는 밤' 등에 비해 
잘 알려져 있지 않아 다소 생소합니다만 
시의 내용이 참으로 많은 의미를 담고 
있는 것 같습니다.

`내일 내일 하기에 물었더니 
밤을 자고 동틀 때 내일이라고'


`새날을 찾던 나는
잠을 자고 돌아보니
그때는 내일이 아니라
오늘이더라'


정말 기가 막히고 가슴에 와닫는 
표현이 아닌가 합니다.
우리가 말하는 어제의 내일이었던 날은 
바로 오늘이 되는 것이 아닐까요.

`무리여! 동무여!
내일은 없나니'


이 시를 통해서 새삼 오늘의 중요함을 
깨닫습니다.


 

삼천포대교에서 바라본 노을

 


레우코노에여 묻지 마시오,
신들이 당신과 나를 위해
무엇을 준비해 두었는지 우리는 알 수 없다오 
바빌론의 점쟁이에게 미혹되지도 마시오,
무엇이 오든 견디는 것이 더 좋은 법이오
튀레눔 바다 절벽 위를 덮고 있는 그 겨울이
주피터 신이 당신에게 주신 또 하나의 겨울이든,
아니면 우리의 마지막 겨울이든간에 말이오
현명하시오,
와인도 드시오,
멀고 먼 희망은 떨쳐 버리시오,
생명은 짧다오
우리가 말하는 동안에도 아까운 시간은 지나가고 있다오 
오늘을 잡으시오,
내일에 대한 믿음은 할 수만 있다면 접으시오. 

///-퀸투스 호라티우스 플라쿠스

=======================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50 시의 초보자들이 개척해야 할 부분은 시를 극적으로 쓰는것... 2016-12-20 0 2972
49 시는 "부서진, 흩어진, 주인이 없는, 부르다가 죽은" 령혼찾기. 2016-12-19 0 2794
48 [시문학소사전] - 자동기술법과 의식의 흐름기법 2016-12-18 0 6186
47 [시문학소사전] - 자동기술법이란? 2016-12-18 0 5022
46 시의 기원은 노래... 2016-12-18 0 4010
45 시 = "최초의 궁리" + "가장 오래한 궁리" 2016-12-18 0 3794
44 [시문학소사전] - 중국 현대시 류파에 관하여 2016-12-16 0 2819
43 문학을 일상생활속에서 이어가는 삶은 아름답다... 2016-12-15 0 2488
42 시가 세상을 외면...??? 세상이 시를 외면...??? 2016-12-15 0 3030
41 문학은 싸구려 련애질의 방패가 옳다?... 아니다!... 2016-12-15 0 4156
40 소네트와 세익스피어 2016-12-14 0 3319
39 [시문학소사전] - 소네트란? 2016-12-14 0 4286
38 [시문학소사전] - 랑만주의란?... 2016-12-14 0 3956
37 영국 랑만주의 시인 - 퍼시 비시 셸리 2016-12-14 0 6482
36 신문기자 총편 출신 박문희선생 詩배우고 발표까지 하다... 2016-12-14 0 2547
35 글쓰기는 고역의 고역을 치루어야 좋은 작품이 탄생된다... 2016-12-13 0 2629
34 시는 "깨달음"의 "사고묶음"이여야... 2016-12-13 0 2701
33 이 책은 책이 아니다와 이 책은 보물창고다와의 시적미학 2016-12-12 0 2590
32 <농부> 시모음 2016-12-12 0 2867
31 시작은 시작으로서의 "남다른 시작의 길"을 모색해야... 2016-12-12 0 2705
30 시는 "나만의 스타일"로 쓰라... 2016-12-12 0 2668
29 시작은 모든 것이 늘 "치밀하고 + 치렬하게" 해야... 2016-12-12 0 2596
28 시작할 때 "화학조미료"같은 관념어 절대 "반입금지 명령"!... 2016-12-12 0 2859
27 시작할 때 스토리는 잇어지고 한가지 이야기만 하라... 2016-12-12 0 2851
26 "엉뚱한 생각" + "살짝 맛 간 시인" +... = 좋은 시 빚기 2016-12-12 0 2867
25 상상 + 더 깊은 상상...+... = 좋은 시 빚기 2016-12-12 0 2599
24 시는 류행가 가사가 옳다?... 아니다!... 2016-12-12 0 2533
23 시를 "감춤"과 "드러냄"의 사이에서 맛갈스레 빚어야... 2016-12-12 0 2418
22 시인은 늘 예민한 촉수로 훌륭한 시를 빚기 위해 정진해야... 2016-12-12 0 2549
21 시쓰기는 "참 나를 찾고자"하는 고행이다... 2016-12-12 0 2536
20 시인도 "완전무장"을 해야 좋은 시를 쓸수 있다... 2016-12-12 0 2574
19 "썩을 놈! 어떻게 요런 시를 다 썼을깜?!..." 2016-12-11 0 2776
18 시작은 "가장 쉬운 말로, 최대한 짧게, 가장 깊은 울림"으로... 2016-12-11 0 2540
17 누가 뭐라고 해도 시는 시인이 쓰는것... 2016-12-11 0 2628
16 참 시인 되자면... 2016-12-11 0 2633
15 시 "승무"를 삭히는데 3년이나 걸리다... 2016-12-11 0 2372
14 <술> 시모음 2016-12-11 0 2526
13 [시문학소사전] - 실존주의란?... 2016-12-11 0 4490
12 詩作 잘하기와 관찰 잘하기... 2016-12-10 0 2921
11 詩人은 관찰력과 상상력이 진부해서는 절대 안된다... 2016-12-09 0 2473
‹처음  이전 34 35 36 37 38 39 40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