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 어릴 때부터 올바른 용돈교육을...
2017년 01월 22일 16시 17분  조회:2825  추천:0  작성자: 죽림

 

어린이들에게 경제관념을 길러주고 커서 사회에 나갔을 때
올바른 경제생활을 하기 위해서는 어릴 때의 용돈 교육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합니다.

올바른 용돈교육은 어떻게 해야하는지에 대해 알아봅시다.

 

1_부모가 그냥 쓰라고 주는 돈이 용돈이 아님을 알려준다

용돈은 부모가 힘들게 일해서 번 돈의 일부임을 설명해주고, 아이를 위한 크고 작은 물건을 살 때 아이와 함께 가격과 실용도를 상의하고 사는 습관을 길러야 한다.

2_가정의 경제 규모를 알려준다

부모의 지갑에서는 무한정 돈이 샘솟는 것으로 알고, 원하는 물건을 얻기 위해 무조건 조르는 아이들이 있다. 그럴 때는 부모가 어떻게 돈을 버는지, 그 돈으로 가정 경제가 어떻게 꾸려지는지 아이에게 간단히 알려줄 필요가 있다. 이때 구체적인 액수 등을 거론하기보다는 부모가 한 달 동안 열심히 일한 대가로 얻어지는 돈이 어떻게 쓰이는지 알려준다. 

3_은행 가는 길을 즐겁게 한다

아이 이름으로 된 통장을 만들어주고, 은행의 역할 및 이자에 대한 개념을 설명해주는 것도 중요하다. 아이 스스로 자기 이름을 걸고 경제 활동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첫 번째 대상이 ‘은행’이 되는 셈이다.

4_용돈 교육을 망치지 않으려면…

용돈이 모자랄 때 아이들은 부모에게 도움을 청한다. 이때 부모는 절대로 추가 용돈을 줘서는 안 된다. 그동안의 용돈 교육이 물거품이 되기 때문. 이럴 때는 왜 용돈이 부족하게 됐는지 이유를 들어보고, 앞으로의 용돈에 대한 다짐과 계획을 물어본다. 부모의 판단하에 홈 아르바이트 등 용돈이 아닌 다른 항목으로 부족한 용돈을 채워준다. 세상에 공짜는 없다. 



*목표 저금통을 만드는 이유는 본인이 하고자 하는 것을 위해 필요한 돈을 효과적으로 모으기 위해서다. ‘목표 저금통’을 실천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우선 상자나 깡통 등으로 저금통을 만들고 돈을 모아 사고 싶은 것이나 이루고 싶은 일을 써놓는다. 만약 어떤 물건이 사고 싶다면 그 물건의 사진과 가격을 붙여두는 것도 좋다. 그러고 나서 적은 돈이라도 매일매일 저금을 하면 된다. 



*주의사항_모은 돈은 반드시 목표로 하는 일에 써야 한다. 도중에 계획을 변경해 돈을 쓰는 경우가 없도록 부모가 신경을 쓴다. 하지만 목표로 한 금액만큼 돈이 모였을 때, 보다 좋은 물건이나 보다 값진 일을 위해서라면 계획을 변경, 목표액을 높이는 것은 가능하다.



*절약 처방전 쓰는 법

1_용돈을 쓰고 나서 후회한 경우들을 순서대로 종이에 나열한다. 

2_작성한 절약 처방전을 여러 번 읽어보고 눈에 잘 띄는 곳에 붙여두거나 지갑 속에 넣고 다닌다. 

3_실천할 때마다 칭찬해준다. 



*용돈을 잘 활용하는 것은 습관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다. 좋은 용돈 활용 습관을 기르기 위해 머니 노트나 용돈 기입장 등을 100배 활용한다.



*머니 노트 만드는 법

1_‘용돈 지킴이’용 공책을 하나 준비한다. 

2_매달 마지막 날, 다음달에 쓸 돈의 항목과 들어올 돈을 예상해서 적어놓는다.

3_하루에 쓴 돈과 들어온 돈을 구분해 매일매일 기록한다.

4_매달 마지막 날, 한 달 동안 쓴 돈을 다 더해보고, 들어온 돈을 다 더해본다. 

5_2번에서 예상한 것과 실제로 쓴 돈을 비교해본다.

6_비교해보고 느낀 점을 머니 노트 한쪽에 써놓는다. 이후 용돈 씀씀이에 대해 칭찬하거나 혼내주는 글을 적는 것도 좋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210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울적 2018-08-11 0 3270
1209 윤동주와 마지막으로 남은 석장 사진 2018-08-10 0 3795
1208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장 2018-08-10 0 3122
1207 윤동주와 강처중 "발문" 2018-08-09 0 2568
1206 윤동주와 정지용 "서문" 2018-08-09 0 2748
1205 윤동주와 마광수 2018-08-09 0 2441
1204 윤동주와 녀성 2018-08-09 0 3568
1203 윤동주와 "머리" 2018-08-09 0 2463
1202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밤 2018-08-09 0 3494
1201 "앞으로 계속 동주를 안고 갈 새세대들을 키워야"... 2018-08-08 0 3178
1200 [자료] - 윤동주 동시와 그 세계를 론하다... 2018-08-08 0 2575
119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할아버지 2018-08-07 0 3587
1198 다시 알아보는 "생명의 시인"- 윤동주 2018-08-07 0 8332
1197 다시 알아보는 윤동주 가족 관계 2018-08-07 0 7134
1196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호주머니 2018-08-06 0 4514
1195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빨래 2018-08-06 0 2788
1194 윤동주와 윤혜원 2018-08-04 0 2722
1193 윤동주와 "소금물" 2018-08-04 0 3571
1192 [작문써클선생님께] - "사과" 이야기 하나 해볼가요... 2018-08-04 0 4056
1191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사과 2018-08-04 0 2611
1190 [바로 잡아야 합니다] - 윤동주 시 "편지"가 오도되고 있다!... 2018-08-04 0 3039
118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편지 2018-08-04 0 4518
1188 다시 보는 윤동주 2018-08-04 0 3878
1187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버선본 2018-08-03 0 2810
1186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가을밤 2018-08-03 0 2595
1185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무얼 먹고 사나 2018-08-02 0 3143
1184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굴뚝 2018-08-01 0 3105
1183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가슴 3 2018-08-01 0 4199
1182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식권 2018-07-31 0 2908
1181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기와장내외 2018-07-31 0 3092
1180 시인 윤둥주를 사랑한 물리학자 2018-07-30 0 3165
117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흐르는 거리 2018-07-30 0 2610
1178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간판 없는 거리 2018-07-29 0 5007
1177 "바람만이 그 답을 알고 있다네"... 2018-07-29 0 2410
1176 다시보는 음유시인, 가수 - 밥 딜런 2018-07-29 0 6568
1175 음유시인은 여전히 자신만의 방식과 자신만의 "예술"을 하다 2018-07-29 0 2672
1174 "나한테 주어진 길을 걸어가야겠다" ㅡ "윤동주 정신" 2018-07-27 0 2305
1173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길 2018-07-27 0 5177
1172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눈 감고 간다 2018-07-26 0 3137
1171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또 태초의 아침 2018-07-25 0 2932
‹처음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