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 어릴 때부터 올바른 용돈교육을...
2017년 01월 22일 16시 17분  조회:2822  추천:0  작성자: 죽림

 

어린이들에게 경제관념을 길러주고 커서 사회에 나갔을 때
올바른 경제생활을 하기 위해서는 어릴 때의 용돈 교육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합니다.

올바른 용돈교육은 어떻게 해야하는지에 대해 알아봅시다.

 

1_부모가 그냥 쓰라고 주는 돈이 용돈이 아님을 알려준다

용돈은 부모가 힘들게 일해서 번 돈의 일부임을 설명해주고, 아이를 위한 크고 작은 물건을 살 때 아이와 함께 가격과 실용도를 상의하고 사는 습관을 길러야 한다.

2_가정의 경제 규모를 알려준다

부모의 지갑에서는 무한정 돈이 샘솟는 것으로 알고, 원하는 물건을 얻기 위해 무조건 조르는 아이들이 있다. 그럴 때는 부모가 어떻게 돈을 버는지, 그 돈으로 가정 경제가 어떻게 꾸려지는지 아이에게 간단히 알려줄 필요가 있다. 이때 구체적인 액수 등을 거론하기보다는 부모가 한 달 동안 열심히 일한 대가로 얻어지는 돈이 어떻게 쓰이는지 알려준다. 

3_은행 가는 길을 즐겁게 한다

아이 이름으로 된 통장을 만들어주고, 은행의 역할 및 이자에 대한 개념을 설명해주는 것도 중요하다. 아이 스스로 자기 이름을 걸고 경제 활동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첫 번째 대상이 ‘은행’이 되는 셈이다.

4_용돈 교육을 망치지 않으려면…

용돈이 모자랄 때 아이들은 부모에게 도움을 청한다. 이때 부모는 절대로 추가 용돈을 줘서는 안 된다. 그동안의 용돈 교육이 물거품이 되기 때문. 이럴 때는 왜 용돈이 부족하게 됐는지 이유를 들어보고, 앞으로의 용돈에 대한 다짐과 계획을 물어본다. 부모의 판단하에 홈 아르바이트 등 용돈이 아닌 다른 항목으로 부족한 용돈을 채워준다. 세상에 공짜는 없다. 



*목표 저금통을 만드는 이유는 본인이 하고자 하는 것을 위해 필요한 돈을 효과적으로 모으기 위해서다. ‘목표 저금통’을 실천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우선 상자나 깡통 등으로 저금통을 만들고 돈을 모아 사고 싶은 것이나 이루고 싶은 일을 써놓는다. 만약 어떤 물건이 사고 싶다면 그 물건의 사진과 가격을 붙여두는 것도 좋다. 그러고 나서 적은 돈이라도 매일매일 저금을 하면 된다. 



*주의사항_모은 돈은 반드시 목표로 하는 일에 써야 한다. 도중에 계획을 변경해 돈을 쓰는 경우가 없도록 부모가 신경을 쓴다. 하지만 목표로 한 금액만큼 돈이 모였을 때, 보다 좋은 물건이나 보다 값진 일을 위해서라면 계획을 변경, 목표액을 높이는 것은 가능하다.



*절약 처방전 쓰는 법

1_용돈을 쓰고 나서 후회한 경우들을 순서대로 종이에 나열한다. 

2_작성한 절약 처방전을 여러 번 읽어보고 눈에 잘 띄는 곳에 붙여두거나 지갑 속에 넣고 다닌다. 

3_실천할 때마다 칭찬해준다. 



*용돈을 잘 활용하는 것은 습관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다. 좋은 용돈 활용 습관을 기르기 위해 머니 노트나 용돈 기입장 등을 100배 활용한다.



*머니 노트 만드는 법

1_‘용돈 지킴이’용 공책을 하나 준비한다. 

2_매달 마지막 날, 다음달에 쓸 돈의 항목과 들어올 돈을 예상해서 적어놓는다.

3_하루에 쓴 돈과 들어온 돈을 구분해 매일매일 기록한다.

4_매달 마지막 날, 한 달 동안 쓴 돈을 다 더해보고, 들어온 돈을 다 더해본다. 

5_2번에서 예상한 것과 실제로 쓴 돈을 비교해본다.

6_비교해보고 느낀 점을 머니 노트 한쪽에 써놓는다. 이후 용돈 씀씀이에 대해 칭찬하거나 혼내주는 글을 적는 것도 좋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290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개(1) 2018-11-12 0 2890
1289 윤동주 11편 동시묶음 2018-10-31 0 2976
1288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눈(2) 2018-10-31 0 3657
1287 "지금도 윤동주와 정지용의 시를 읊고 있었다"... 2018-10-31 0 3184
1286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눈(1) 2018-10-30 0 3384
1285 윤동주와 백석과 릴케 2018-10-26 0 3771
1284 윤동주 동시 읽기 모음 2018-10-26 0 3408
1283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봄(1) 2018-10-26 0 3093
1282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해비(햇비) 2018-10-25 0 3486
1281 "두만강여울소리"는 어제도 오늘도 도도히 흐르고지고 2018-10-24 0 3260
1280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곡간 2018-10-18 0 4090
1279 평화의 상징 = 베토벤 최후의 최고의 걸작 교향곡 9번 2018-10-16 0 7736
1278 윤동주 시 리해돕기와 "비둘기" 2018-10-15 0 5248
1277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비둘기 2018-10-15 0 4346
1276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조개껍질 2018-10-14 0 4263
1275 "민족에 눈길을 돌리고 민족을 포옹해라" 2018-10-13 0 2653
1274 {사료} - 중국 조선족 시인 남영전 2018-10-13 0 2837
1273 {사료} - 중국 조선족 시인 조룡남 2018-10-13 0 2882
1272 "막걸리는 하나님의 은총이다"... 2018-10-13 0 3218
1271 윤동주와 최현배, 박창해 2018-10-13 0 2619
1270 윤동주와 키에르케고르 2018-10-13 0 4222
1269 일본시의 해설을 공부하기 2018-10-13 0 3296
1268 일본 시인 - 미요시 다쓰지 2018-10-13 0 2963
1267 윤동주와 당숙 윤영선 2018-10-13 0 2481
1266 청년문사 송몽규 다시 알아보기 2018-10-12 0 3644
1265 윤동주가 떠난지 한세기가 지났음에도... 2018-10-12 0 2693
1264 청년문사 송몽규 알아보기 2018-10-12 0 3545
1263 학생 윤동주와 유명 시인 정지용 2018-10-12 0 2896
1262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사랑스런 추억 2018-10-11 0 4455
1261 윤동주와 정병욱의 老母 2018-10-10 0 3672
1260 윤동주 더 다시 알아보기... 2018-10-10 0 3635
1259 윤동주 다시 알아보기 2018-10-10 0 4297
1258 윤동주와 시집 제목 2018-10-10 0 3293
1257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바람이 불어 2018-10-09 0 4045
1256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눈 오는 지도 2018-10-07 0 2921
1255 윤동주 시 리해돕기와 금잔화(金盞花) 2018-10-06 0 3436
1254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병원 2018-10-06 0 4259
1253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소년 2018-09-21 0 4901
1252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산골물 2018-09-19 0 4109
1251 윤동주와 "사랑시" 2018-09-17 0 3520
‹처음  이전 3 4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