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1월 2025 >>
   1234
567891011
12131415161718
19202122232425
262728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담시(談詩)란 서사시 범주에 속하는 이야기시이다...
2017년 02월 07일 19시 12분  조회:2670  추천:0  작성자: 죽림

문학만필

담시에 대하여

한오백년

 

 

 

담시라는 시의 한 형태가 있다. 그러나 요즘은 시인들조차 그런 시가 있다는것을 잘 모르는 이들이 많다. 사전에서는 중세 유럽에서 형성된 자유로운 형식의 짧은 서사시를 담시라 풀이하고있다. 한국의 경우 김지하가 판소리를 현대적으로 계승하여 새로운 형식으로 쓴 시를 특히 이르기도 한다.

담시(談詩)는 말 그대로 이야기시이다. 서정시가 시인의 주관적인 주정토로를 주로 한다면 그에 반해 담시는 이야기가 반드시 들어있어야 한다. 물론 그 스토리가 완정할것을 요구하지 않으며 소설이나 서사수필에서처럼 상세한 묘사를 요하지도 않는다. 다만 이야기를 시적인 형태로 표현하며 그런 기술을 빌어 사회현실을 반영하거나 시인이 보여주고자 하는 메시지를 전달하기도 하는것이다.

서정서사시, 담시, 설화시(說話詩), 구어시(口語詩), 미소설시(微小說詩) 등은 그 제기법에 따라 조금씩 뉘앙스가 다르지만 크게 분류할 경우 같게 분류되여야 할것이다.

우리 조선족시단에서 서정서사시라고 타이틀을 붙인 시를 썼던 시인들로는 김성휘, 조룡남, 김파 등을 들수 있고 80년대 후반을 장식해준 담시들은 대부분 박문봉시인이 썼었다. 그때 박문봉시인의 담시들은 중국의 이야기시를 많이 빼닮아있지만 조선족시단의 한 공백을 메우고있다는 점에서 그 행보는 치하할만한것이다.

김성휘시인의 경우 문화대혁명기간 감옥에 갇힌 아버지한테 도시락을 갖다드리려다가 달리는 트럭에 치여 숨진 한 소녀의 운명을 리얼하게 시화한 서정서사시가 있다. <봄이 오면 비가 오고 비가 오면 꽃이 피고 꽃이 피면 나는 운다>로 시작되는 시는 이야기에 중점을 둔것이 아니지만 독자들은 한 아이가 감옥에 갇힌 아버지한테 도시락을 가져다주는 길에서 달리는 트럭에 치여 숨지는 모습을 얼마든지 상상해볼수 있다. 당시 너도나도 다투어 상처문학을 할 때였고 그런 형세는 시인더러 시붓을 꼬나들고 그런 시를 창작하게 했던것이다.

박문봉의 경우 <빨간 꽃신>이라는 담시를 쓴적이 있다. 지난 세기 80년대말 90년대초 개혁개방으로 사람들이 한껏 들떠있던 그무렵 자유로운 사랑을 찾은 한 녀인에 대한 주변사람들의 몰리해와 질시는 그 녀인더러 마침내 빨간 꽃신을 벗어둔채 물에 뛰여들게 만든다. 이 담시는 절제된 호흡법으로 요란한 소리 하나 없이 사회악의 하나인 요언과 그런 요언을 즐기고 거기에 안주하고 소일하는 인간들의 추태상을 폭로하고있다.

물론 21세기에 와서 다시 이와같은 시작법을 조심스레 시도해보는 시인도 있으니 바로 한영남시인이다. 그의 서정서사시 <할미꽃 하나 비에 젖고 바람에 떨고>는 부모의 리혼으로 할머니에게 넘겨진 한 소녀가 앓는 할머니를 구하려고 기억속 아버지의 집을 찾아가다가 아동유괴범한테 끌려가는 내용을 다루고있다. 가슴절절한 시구들은 김성휘시인의 서정서사시와 비슷한 부분이 있고 이야기를 다 들려주지 않고 독자들의 상상에 맡기는 면에서는 박문봉의 담시와 통하는데가 있으며 거기에 한영남시인은 시어사용과 시적흐름 등에서 모더니즘 내지 포스트모더니즘적 요소들을 소스로 얹어주고있어 새로운 맛을 더해준다.

 

담시를 산문시와 헷갈려하시는 분들이 더러 있다. 분류법을 잘 따져보면 금방 알수 있는 문제이다. 산문시는 그것이 서사시든 서정시든 산문투로 씌였다는게 특징이고 담시는 반드시 서사적인 요소가 있어야 한다는 특징이 있다. 그런 의미에서 산문시와 담시는 확연이 구분되는 시의 두가지 기술방법이라 하겠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210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동시를 잘 지으려면?... 2017-02-08 0 3294
209 젓가락 두짝 = ㅣㅣ톡!.. ㅣ ㅣ톡!... 2017-02-08 0 2557
208 하늘 날던 새가 땅을 내려다보며 왈; ㅡ질서 공부 좀 해... 2017-02-08 0 2477
207 눈사람 왈; ㅡ느네집 따듯하니?... 2017-02-08 0 2375
206 역술(易術), 학술(學術), 의술(醫術), 시술(詩術), 저술(著術)... 2017-02-08 0 3613
205 시인은 시작에서 첫행을 어떻게 잘 쓸것인가를 늘 고민해야... 2017-02-08 0 2789
204 시의 제목에서도 이미지가 살아 있어야... 2017-02-08 0 2803
203 두보, 그는 두보, 두보인거야... 2017-02-08 0 4130
202 가난은 시로 가난을 못막는다?... 2017-02-08 0 3877
201 담시(談詩)란 서사시 범주에 속하는 이야기시이다... 2017-02-07 0 2670
200 패러디할 때 원작을 충분히 존중해야... 2017-02-07 0 3191
199 시의 제목을 무제(無題) 혹은 실제(失題)라고도 달수 있다... 2017-02-07 0 2665
198 시의 제목은 바로 시의 얼굴... 2017-02-07 0 3092
197 [이것이 알고싶다] - "아버지"와 "어머니" 유래 2017-02-05 0 2915
196 [이것이 알고싶다] - "~습니다"의 유래 2017-02-05 0 2929
195 시를 쓰는 사람은 많지만 시를 읽는 사람은 많을손가 많지않도다... 2017-02-05 0 3005
194 시는 벼락치듯 독자들을 전률시켜야... 2017-02-05 0 2903
193 109명 현역시인과 "최고의 시구"(2) 2017-02-05 0 3002
192 109명 현역시인과 "최고의 시구"(1) 2017-02-05 0 3020
191 시인에게시를 묻다... 2017-02-05 0 2691
190 좋은 시의 조건 10 2017-02-05 0 3015
189 "사랑하라 그러면 시는 써질지니..." 2017-02-05 1 2606
188 중국 唐代 녀류시인들 思夫曲 알아보다... 2017-02-05 0 2913
187 [자료] - 중국 현대시의 일단면 /이육사 2017-02-05 0 3750
186 "한반도의 반쪽 반도"의 현대시 문제점을 알아보다... 2017-02-05 0 2781
185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침묵" 명언모음 2017-02-05 0 3005
184 100명 詩民, 100년 詩人 노래하다... 2017-02-05 0 2778
183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덮혀"와 "덮여", "높히다"와 "높이다" 2017-02-04 0 3261
182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주락펴락"과 "쥐락펴락" 2017-02-04 0 2723
181 시는 아름답기만 해서는 모자라고 독자들의 령혼을 뜻대로 쥐락펴락 해나감과 동시에 독자들의 마음을 뒤흔들어야... 2017-02-04 0 2902
180 그 무슨 사건, 그 무슨 혁명, 그 무슨 전쟁과 詩는 싸워야... 2017-02-04 0 2997
179 [시문학소사전] - "판타지"란?... 2017-02-04 0 4200
178 동시의 상상력과 그리고 동시의 "판타지" 세계 2017-02-04 0 3084
177 시적 상상력으로 즐거움을 찾기... 2017-02-04 0 4101
176 시에서 아이디어를 얻을수 없다?... 있다!... 2017-02-04 0 2556
175 "립춘대길" = <봄맞이 시모음> 2017-02-04 0 2617
174 "동시집"을 돗자리로 깔고 "동시놀이" 알콩달콩 하자야... 2017-02-04 0 2623
173 쇠사슬은 노예의 령혼까지 묶어 놓는다... 2017-02-04 0 2833
172 시를 말하는 산문, 산문으로 된 시 2017-02-04 0 2361
171 모든 시관(詩觀)은 그 시인의 우주관에서 비롯된다... 2017-02-04 0 2614
‹처음  이전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