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1월 2025 >>
   1234
567891011
12131415161718
19202122232425
262728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시조 한수는 마흔 다섯자안팎의 언어로 구성돼 있다...
2017년 02월 17일 17시 45분  조회:2852  추천:0  작성자: 죽림

본문이미지


서강대 박철희(朴喆熙) 교수는 한국 현대문학의 변화·발전 과정을 밝히는 글에서 ?조선조 사설시조의 경우 그것은 선행하는 사대부 시조의 관념성과 대립되는 사실적 요소에 의한 현실적인 시?라고 전제하고, ?그것은 다음에 올 자유시의 기초를 닦게 해준 에포크(新紀元)임에 유념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한 바 있다. 따라서 ?사설시조에 있어서 사설조의 산문성이 당시 조선조 가사를 지배하던 산문성과 무관하지 않으며, 이 산문성이 다름 아닌 그 후 자유시의 개성적 리듬의 미학적 기반?이었다고 풀이한 바 있다. 이 말을 요약하면 사설시조가 발전하여 현대 자유시의 모태를 이루었으며, 더 나아가 오늘의 산문시를 낳게 한 밑그림과 같은 시형태였다고 볼 수 있다는 것이다. 


박철희 교수가 진단한 한국 고전문학과 현대문학을 일관하는 지속성과 변화·발전의 흐름을 어느 정도 수긍한다면 우리는 ?사설시조→산문정신→현실인식→역사의식→현대 산문시?라는 등식을 쉽게 얻어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사설시조는 개성적인 리듬을 지녀왔으면서도 자유시에 영향을 끼친 개혁의지가 담긴 시요, ?열려 있음의 시?임을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제 우리는 단조로운 형식의 울타리를 과감하게 걷어내는 ?의식의 혁명?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지금까지 금과옥조(金科玉條)처럼 섬겨왔던 평시조 유일사상의 울타리를 허물고 시조의 다양한 형태―즉 양장시조·엇시조·사설시조 등 시조의 모든 형태를 즐겁게 수용해야 할 것이다.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필자가 주장하고 이미 실험해 보인 ?옴니버스시조? 다시 말하면 한 편의 작품 속에 평시조·엇시조·양장시조(2장시조)·사설시조 등 모든 시조 형식을 다 아우르는 ?옴니버스시조(혼합 연형시조)?를 적극 수용하는 것도 시조문학의 지평을 넓히는 한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1960년대를 전후로 한 일간신문 신춘문예 당선 시조를 훑어보면 거의가 시사성이나 역사의식을 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송선영(宋船影)의 ‘설야’ ‘휴전선’을 비롯해서 이근배(李根培)의 ‘묘비명’ ‘벽’ ‘산하일기’ ‘노래여 노래여’, 이상범(李相範)의 ‘일식권’, 박재두(朴績)의 ‘목련’, 정재호(鄭在虎)의 ‘제3악장’, 정하경(鄭夏庚)의 ‘불모의 거리에서’ 등등 현실인식이나 상황의식을 주제로 다룬 작품들을 열거하자면 헤아릴 수 없이 많다. 


고시조에 있어서도 형편은 같다. 그 작품의 창작 배경을 들추어보면 그것들이 당대의 시대상황을 가늠해 볼 수 있게 하는 ?시로 쓴 사회사?임에 틀림 없다. 
그러나 최근의 시조문학 경향은 어떠한가. 지나칠 정도로 서정성에 치우친 나머지 리얼리티를 상실하고 있다는 사실을 지적할 수 있다. 

문학의 궁극적인 목표가 인간구원임에도 불구하고 현실과는 아예 담을 쌓고 마치 골방에 숨어서 자위(自慰)나 하듯 오늘의 시조가 ?마스터베이션 문학?으로 타락해 가고 있다는 현상은 수치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한시(漢詩)의 직역 같은 서정시, 과거 지향의 복고주의가 팽만해 있는 ‘멍텅구리 시조’가 활개치는 세상인 것이다. 

개성과 독창성, 혹은 다양성을 짓누르는 획일주의는 경직성을 의미하고, 답보상태를 의미한다. 고여 있음은 썩음을 암시한다. 그러므로 발전적 변모를 모색하는 실험정신이나 개혁의지가 모자라는 오늘의 시조는 플라토 현상(정체 상태)에 놓일 수밖에 없는 것이다. 


문학이 결코 인간의 삶과 그가 숨쉬고 있는 사회와 완전히 동떨어진 존재가 아님을 부정할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이다. 그렇다면 현대시조도 서정성과 사회성을 잘 조화시켜, 양자가 행복한 악수를 할 때 비로소 보편적 공감대를 얻게 되고, 새로운 활로가 트일 것이다. 


아직도 우리 시조문학은 황무지이다. 개척해야 할 땅이 넓고 광활한 것이다. 개척해야 할 소지가 무궁무진한 이 처녀림에 힘찬 삽질을 하고 씨앗을 뿌렸을 때 튼실한 결실을 맺을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여기서 시조의 명칭에 대한 필자의 소견을 밝히고자 한다. 시조의 명칭은 영조 때의 사람 신광수(申光洙)가 쓴 《석북집》에 나타난 기록을 토대로 하여 ?시절단가(時節短歌)?, 혹은 ‘시절가조(時節歌調)’에서 비롯됐다는 주장을 펴고 있는 학자들이 있다. 그러므로 시조는 엄격한 의미에서 문학장르의 일종이기보다는 음악의 창사(唱詞ㆍ노랫말)에 가깝다는 주장인 것이다. 


그러나 우리가 주목해야 할 대목은 향가(鄕歌)나 가사문학과는 달리 시조는 우리 말의 기본 마디인 3·4조나 3·5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우리 민족의 호흡에 가장 걸맞고, 세계 어디에서도 그 유형을 찾아볼 수 없는 독특한 리듬을 지닌 정형시라는 사실이다. 우리가 숨쉬고 살고 있는 생활의 걸음걸이가 3음절 내지 4음절의 정서에서 우러나왔다는 사실은 여러 가지 예에서 확인할 수 있다. 우리의 춤사위나 전래 민요, 판소리 가락, 노동요 등도 이러한 율조(律調)를 기본 바탕으로 삼고 있다. 

그리고 시조라는 명칭을 표기함에 있어서 왜 하필 ?시조?라는 ?시?자에 글 ?詩?자가 아닌 때 ?時?자를 썼느냐는 점이다. 그것은 다름 아닌 시조는 당대의 정서, 당대의 시대상황을 담는 문학양식이었기 때문이라고 풀이할 수 있다. 황진이가 노래한 &@lt;동짓달 기나 긴 밤>은 황진이가 처했던 개인적 삶의 실상과 시대상황을, 송강 정철이나 박인로(朴仁老)는 그가 숨쉬고 살았던 시대상황과 현실인식을 한 편의 시조 행간 속에 풀어낸 것이다. 〈단장의 미아리 고개〉 하면 6·25 동란으로 인한 분단의 비극을 떠올릴 수 있고, 〈굳세어라 금순아〉 하면 1·4 후퇴 때 헤어진 이산가족의 슬픔을 연상하게 하는 유행가 가사와 마찬가지로 수많은 우리 고시조를 살펴보면 그 배경에는 반드시 당대의 정서가 녹아 있게 마련이다. 


충무공(忠武公) 이순신(李舜臣) 장군의 시조가 그 본보기라고 할 수 있다. 
& @lt;한산섬 달 밝은 밤에 수루에 혼자 앉아/ 큰 칼 옆에 차고 깊은 시름 하는 적에/ 어디서 일성호가는 남의 애를 끊나니>라고 읊은 이 작품을 통해 임진왜란의 격전지에서 군사를 지휘했던 충무공의 속마음을 엿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정황으로 미루어 볼 때 시조의 명칭에 글 ?詩?자가 아닌 때 ?時?자를 택한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니라고 확신한다. 그러므로 현대시조는 가장 현대적인 오늘의 정서를 아우르는 문학양식요, 민족시로서의 그 존재 가치가 확고하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시조는 곧 시(詩)이다. 형식만 정형을 따를 뿐이지 거기에 담는 내용은 오늘의 정서, 오늘의 삶의 이야기를 아우르는 현대시와 하나도 다를 바 없다. 


시조는 불완전 정형시이다. 정형시이지만 완전한 정형시라고는 할 수 없는 것이다. 수많은 학자들이 시조 형식의 특징을 밝히려는 노력을 경주해 온 것은 사실이지만, 어느 학자도 아직 완전한 정설을 내리는 데는 이르지 못한 상태이다. 그래서 나는 감히 시조의 특징을 정형시이면서 비정형시라고 규정한다. 

시조는 불완전한 정형시이지만 그 율격의 특징을 구별하는 학설은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즉 운율의 기본 단위를 글자(字數), 음보(音步), 구(句) 중 어느 것으로 보느냐에 따라 구수율(句數律), 자수율(字數律), 음보율(音步律)로 나누어지는 것이다. 이 세 학설 모두 시조를 3장의 형식으로 보는 데는 일치하고 있다. 그러나 한 장(章)을 이루는 율격의 단위 개념은 서로 다른 것이다. 한 장을 두 개의 구로 보는 구수율과 한 장을 15자 내외로 보는 자수율, 그리고 4음보로 보는 음보율로 구별하고 있는 것이다. 

이를 통합하면, 시조의 기본 형식은 3장 6구 또는 12음보 45자 내외인 것이다. 이때 한 구나 음보의 범위를 몇 글자로 보는가 하는, 학자의 시각 차이에서 오는 미세한 문제가 따르게 된다. 글자수(음절수)를 절대적 조건으로 본다면 시조의 형식은 자수율로 귀결되고, 그렇지 않으면 구수율이나 음보율로 귀결되는 것이다. 


현재 학계에선 음보율이 우세하고, 시조시인들의 창작 현장에선 자수율이 우세한 것이다. 앞에서 조동일 교수의 이론을 빌어 언급했듯이 시조는 융통성이 많은 자유로운 시인 것이다. 음수율이나 음보율만 가지고서는 도저히 그 율격을 잴 수 없는, 우리 민족의 공동체의식에서 자연스럽게 우러나온 신명처럼 독특한 내재율이 살아 있는 형식 체험의 시인 것이다. 

그러나 일부 그릇된 인식과 지도자의 잘못으로 협의의 시조, 또는 ?막힌 시조?인 평시조만이 강요되어 온 우리 문학풍토도 이제 반성의 계기가 와야 할 것이다. 

우리의 문학풍토는 아직도 서구적 발상법이나 표현방법론의 테두리를 완전히 벗어나지 못한 실정이다. 우리 문화의 전반적인 흐름이 그러하지만, 특히 시나, 시조문학의 경우 이제 외국 것에 대한 추종에서 자립으로, 이론의 수입에서 생산으로, 그 방향을 돌려야 할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우리의 숨결, 우리의 정신이 담겨 있는 시조문학이 재조명되어야 마땅하고, 시조 창작 운동이 널리 확산되어야 할 것이다. ?현대화=서구화?라는 글러먹은 조류에 휘말려 상실되어가고 있는 우리의 아이덴티티를 회복하는 일은 바로 우리의 정체성 확립이라고 믿기 때문이다. 

1920년대나 30년대에 발표된 자유시를 분석해 보면 시조의 율격이 녹아 있는 시작품을 많이 발견할 수 있다. 이들 작품 중에 드물게는 시조 율격(3장 4음보율)과 종장의 자수율까지 온전히 지키고 있어, 이 작품이 과연 시인지 시조인지 구별이 안 되는 것도 있다. 또 자수율은 엄격히 지켜지지 않았지만 시조 율격은 지킨 시조형의 자유시도 있다. 그밖에 시조 형식과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지만 부분적으로 일치되는 시조변형 자유시도 있다. 즉 시조 율격에 한 구나 한 장을 추가한 자유시인 것이다. 또 4음보율을 엄격히 지키거나, 시조 율격은 불완전하지만 3장을 엄격히 지킨 시조 지향 자유시도 많은 것이다. 

이렇게 시조와 유사한 자유시가 많다는 것은 자유시가 시조의 영향을 많이 받고 발전했으며, 양자가 서로 밀접한 관계에 있다는 것을 묵시적으로 말해 주고 있는 것이다. 이 말은 서구시의 영향을 받은 자유시도 많지만, 반면 시조의 영향을 받은 자유시도 많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그런데 시조가 자유시에 끼친 영향은 무시되고, 서구시(번역시)의 영향만 중요시한 것이 현대문학 연구의 풍토였다. 즉 자유시는 서구시의 영향권에서 발전했으며, 시조와 대립적 성격을 지닌 것처럼 잘못 인식되었던 것이다. 


이설주(李雪舟) 선생의 시 ‘저녁’을 보자. 

기다리는 / 세월을 
학같이 / 목에 감고 

마음의 / 수의(囚衣)를 빨아 
촉도(蜀道)에 / 말리우니 

바람 찬 / 늦인 하늘에 
구름이 / 울고 간다 

이 시는 시조의 형식과 완전히 일치한다. 한 행은 시조의 한 구에, 또 한 연은 시조의 한 장과 각각 일치한다. 즉 3연 6행의 형식은 3장 6구의 평시조 형과 다름없다. 이 시는 3장 4음보율을 지켰으며, 종장의 첫째 음보와 둘째 음보에 3·5의 자수율도 정확하게 지켰고, 전체 자수도 44자로 시조의 기본 자수와 일치한다. 이 시는 시조의 구수율, 자수율, 음보율을 온전히 지니고 있으므로 틀림없는 시조인 것이다. 비록 시(자유시)로 발표되었지만 사실은 시조인 것이다. 이러한 작품에서 우리는 시와 시조의 구분이 무의미함을 발견하게 된다. 

해와 / 하늘빛이 / 
문둥이는 / 서러워 // 

보리밭에 / 달 뜨면 / 
애기 하나 / 먹고 // 

꽃처럼 / 붉은 울음을 / 
밤새 / 울었다. // 


이 시는 미당(未堂) 서정주(徐廷柱) 선생의 ‘문둥이’ 전문이다. 창원대 민병기 교수가 〈시와 시조의 관계〉라는 글에서 지적했듯이 이 시는 외형상 자유시 같고, 또 그렇게 분류되고 있지만 사실은 시조의 율격을 지니고 있는 것이다. 음보(/)와 음보행(//)을 위와 같이 구분해 보면 이 작품이 시조라는 사실이 더욱 분명해진다. 우리 문학사에서 ‘문둥이’는 자유시로 알려져 있지만 사실은 시조에 가까운 것이다. 고시조의 형식을 적용하여 자수를 따지면 5자 정도 부족하지만, ?광의(廣義)의 시조? 즉 이 작품이 지닌 내재율을 감안하면 분명 시조인 것이다. 


서정주 선생의 ‘문둥이’를 자유시로 읽으면 현대적 의미가 살아나고, 반대로 시조로 읽으면 고전미가 우러나는 것은 결코 아니다. 자유시로 읽건, 시조로 읽건 그 의미와 가치는 변하지 않는 것이다. 중요한 것은 이 작품이 지닌 본질적인 의미와 정서적 충격이지 장르의 문제가 아니라는 사실이다. 따라서 이 작품이 자유시인가, 시조인가를 따지는 일은 무의미하다. 



단지 우리는 여기서 이 작품이 시조 형식을 갖추고 있는데, 왜 자유시로 취급하였는가에 대해 의문을 품게 된다. 이에 대해 창원대 민병기 교수가 분석한 바에 따르면 서정주 선생의 첫 시집 《화사집》에 수록된 24편의 시 가운데 시조의 기본 율조인 4음보율이 흐르는 작품은 58.3%, 두번째 시집 《귀촉도》에 수록된 24편 가운데 4음보율이 지켜진 시편은 67%, 세번째 시집 《서정주 시선》에 수록된 20편의 작품 중 4음보율을 지닌 시편은 77%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청록파 시인? 가운데 한 사람인 박목월(朴木月) 선생의 경우는 어떠한가. 그는 초기에 완전히 시조의 율격을 풀어내 자유시를 창작했던 것이다. 그 대표적인 예가 ‘윤사월’일 것이다. 

송화가루 / 날리는 / 
외딴 / 봉우리// 

윤사월 / 해 길다 / 
꾀꼬리 / 울면 // 

산지기 / 외딴 집 / 
눈 먼 처녀사 / 
문설주에 / 엿듣네// 


박목월 선생의 ‘윤사월’을 음보율로 나누면 종장이 길어진 평시조인 것이다. 종장 둘째 음보의 음수가 5~9자까지 허용되는 것이 고시조 형식이므로, 이 작품은 평시조 율격을 그대로 지킨 예라고 볼 수 있다. 


이처럼 박목월 선생의 시집 《풀잎단장》의 경우를 살펴보면 4음보율이 흐르는 시편이 89%에 이르고, 같은 청록파 시인 조지훈(趙芝薰) 선생의 경우《조지훈 전집》는 217편의 시 가운데 70%에 이르는 작품이 4음보율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김소월(58%), 정지용(62%) 등 한 시대를 풍미했던, 그리고 우리 시문학사를 찬란하게 장식했던 시인들의 작품 속에 민족의 가락인 시조의 내재율이 그대로 녹아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뒤집어서 말하면 한국 문학사를 화려하게 장식했던 무수한 시인들이 우리 민족의 숨결이요, 기본 가락인 시조문학을 충분히 마스터했기 때문에 그들의 문학이 더욱 국민 정서에 어필할 수 있었고,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었다는 해석이 가능한 것이다. 

시조의 발생연원은 서울 정도(定都) 600년보다 200년이나 더 역사가 길다. 그러나 800년 이상 면면히 그 맥을 이어온 시조문학의 기나긴 역사에 비해 아직까지 장편 서사시조 한 편 찾아볼 수 없다는 것은 우리 문학사의 크나큰 수치가 아닐 수 없다. 

일찍이 문화민족에겐 그들 나름의 민족시나 정형시가 발전, 정착돼 왔다. 중국에는 오언율시나 칠언절구라고 불리는 한시(漢詩)가 있고, 영국에는 소네트라고 하는 14행시가 존재하고 있다. 일본엔 와카(和歌)나 하이쿠(俳句)라는 전통문학이 있고, 한국에는 시조라는 이름의 정형시가 엄연히 존재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의 겨레시 시조는 갈수록 그 설 자리를 잃고 홀대받고 있다. 그 이유는 국민대중이 시조작품을 외운다거나 시조짓기 운동을 멀리하고 있기 때문이다. 중·고등학교 교과서에 수록된 문학작품을 분석해 보면 시조의 비중이 자유시보다 훨씬 미약하다는 사실을 금방 확인할 수 있다. 그것은 국적 있는 교육이니, 주체성 확립이니 하고 떠드는 정책입안자들이 아직도 문화 사대주의 망상에서 깨어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60년대 초반에 검둥이나 양키의 팔짱을 끼고 히히덕거리는 거리의 여자를 보면 ?양갈보?라고 눈을 흘겼다. 오늘날 우리 주변에는 정신적 갈보들이 숱하게 많다. 어줍잖게 미국 유학을 다녀온 일부 몰지각한 정책입안자들이 서구문학만 최고로 치는 정신적 양갈보가 있는가 하면, 프랑스 유학을 다녀온 불갈보, 일본 유학을 갔다온 왜갈보가 판치고 있다. 앞으로 중국 유학파, 러시아 유학파까지 합세한다면 중갈보, 러갈보들이 우리 고유의 문화유산을 얼마나 짓밟고 유린할지 앞날이 캄캄하기만 하다. 

프랑스 조각가 에밀 부르델은 ?모든 예술은 지식의 열매?라고 규정했다. 마찬가지 논리로 시인과 작가는 자기가 아는 지식 이상의 그 무엇을 그릴 수도, 흉내낼 수도 없는 것이다. 글 쓰기 작업, 혹은 시조 짓기 작업은 자신의 예술적 소양과 지식을 총체적으로 집약하여 표현하는 정신노동의 결정체이다. 제주도 귀양살이 때 ‘세한도’를 그렸으며, 추사체(秋史體)로 유명한 금석학자 완당(阮堂) 김정희(金正喜)는 ‘사란결(寫蘭訣)’(난초를 그리는 비결)에서 ?생동하는 난초를 만에 비유하여 9천9백9십9푼은 공력(功力)으로 얻을 수 있으나 나머지 1푼은 노력만으론 지난(至難)하니, 구천구백구십구를 얻고도, 나머지 1푼 때문에, 사이비 난초만 그리다가 입문은커녕 문전에서 서성거리고 만다.?고 했다. 그렇다. 주옥같은 명작을 남긴 예술가의 행적을 살펴보면 얄팍한 재주보다는 남 모르게 뼈를 깎는 노력, 끊임없이 자신을 담금질하는 절차탁마의 노력과 타고난 재분(재주)이 적절하게 결합되었을 때 예술적 성취가 가능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시조 한 수는 마흔 다섯 자 안팎의 언어로 구성돼 있다. 짧다면 짧고, 작다면 작은 그 그릇 속에는 우리 민족의 온갖 사고방식, 온갖 생활습속까지가 다 담겨 있다. 한 나라의 민족시는 그 민족의 리듬이요, 그 민족의 살아 숨쉬는 힘의 원천인 것이다. 그러기에 시조문학은 유구 천 년의 역사를 간직한 채 오늘날까지 그 맥락을 이어오고 있는 것이다. 


희망의 연대 21세기를 맞이한 오늘, 시조문학이 다시 우리 문학의 구심점이 될 수 있도록 다 같이 분발해야 하고, 시조가 한국 전통문학의 상징으로 거듭나는 길은 오직 여러분의 ?어깨?에 달려 있다고 본다. 

----------- 
*‘프로포(Propos)’라는 말은 프랑스어로 ‘이야기’ 또는 ‘화제거리’ ‘단상’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

 

어느 날 은행에 갔었네 
―심보선(1970∼ )

어느 날 은행에 갔었네
애인과 나 손 꼭 잡고 통장을 만들었네
등 뒤에서 유리문의 날개가 펄럭거리네
은행은 날아가지 않고 정주하고 있다네
애인과 나는 흐뭇하다네
꿈은 모양이 다양하다네
우리는 낄낄대며 담배를 나눠 갖네
은행의 예절은 금연 하나뿐이라네
어쩐지 세상에 대한 장난으로
사랑을 하는 것 같네 사랑 사랑 사랑
이라고 중얼대며 은행을 나서네
유리문의 날개에는 깃털이 없다네
문밖에서 불을 붙여주며
애인은 아직도 낄낄거리네
우리는 이제부터 미래에 속한다고
미래 속에서 어른이 되었다고
애인이 나에게 가르쳐주네
나는 고개를 끄덕이며 마음 아프네
금방 머리 위로 파산한 새가 날아갔네
후드드득
깃털 같은 빗방울들이 떨어지네
어느 날 우리는 많은 돈을 갖겠네

 

 

화자는 애인과 함께 통장을 만들러 은행에 간다. 두 사람은 앞날을 함께하기로 약속한 게다. 은행 유리문은 무겁다. 기세 좋게 열고 들어서자 ‘등 뒤에서 유리문의 날개가 펄럭거린단다’. 꼭 닫히기 전에 두어 차례 안팎 바람을 휘젓는 유리문이다. ‘꿈은 모양이 다양하다네’ 어떤 통장을 만들까. ‘사랑설계 적금’이랄지, ‘행복가득 저축’이랄지, 돈을 모아 미래를 구축할 꿈을 자극하려는 예금 이름들에 두 사람은 낄낄댄다. 설레기도 하고 쑥스럽기도 하고 왠지 뒤숭숭하다. 은행을 나서자마자 두 사람은 담배에 불을 붙인다. ‘은행의 예절은 금연 하나뿐이네.’ 그렇지, 검은돈이든 흰 돈이든 가리지 않으면서 ‘금연’이나 강조하는 세상의 도덕. 거기 돌입하려는 마당에 기껏 담배를 무는 것으로 반항의 몸짓을 하네. 애인은 ‘우리는 이제부터 미래에 속한다고’ 가르쳐주는데, 화자는 고개를 끄덕이면서 문득 숨이 막히고 마음 아프다. 이게 내 정해진 미래인가? 가정을 이루고 돈이나 불리는 삶이? 죽지 묶이고 깃털이 죄다 빠져버린 새처럼 볼품없는 삶…. 화자는 그런 삶을 원치 않는 게다.

이 시가 실린 심보선 시집 ‘슬픔이 없는 십오 초’에는 대출 좀 받을 수 있을까 해서나 은행에 가는 사람들에게는 사치일 정신적 고뇌와 원초적 고독이 냉소적이면서도 기지 넘치는 시어로 한 상 잘 차려져 있다. 예컨대, ‘인사를 받으면 반드시 웃음을 거슬러 주는 것이 이웃 간의 정리’(시 ‘풍경’에서) ‘지구적으로 보자면, 그대의 슬픔은 개인적 기후에 불과하다네’ (시 ‘먼지 혹은 폐허’에서). 시인을 잘 타고난 시라는 생각이 절로 드는 시들이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250 시와 이미지는 쌍둥이 2017-02-19 0 2219
249 "자화상"으로 보는 낯설음의 미학 2017-02-19 0 2645
248 사랑의 서정시에서 사랑을 풀다... 2017-02-18 0 2655
247 "아리랑꽃" 우리의 것과, 타민족 타지역의 것과, 가슴 넓히기... 2017-02-18 0 2443
246 "매돌"과 "한복"을 넘어서 우주를 보여주다... 2017-02-18 0 2690
245 서정시, 낯설게 하기와 보기 2017-02-18 0 4271
244 시인은 언어라는 무기로 막강한 권력을 행사할수 있다... 2017-02-18 0 2785
243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기괴하다" = "괴기하다" 2017-02-18 0 5071
242 [시문학소사전] - "르네상스"란?... 2017-02-18 0 2496
241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함께하다"의 띄여쓰기는?...(우리 중국 조선어문 문법에서는 어떻게 하는지?...) 2017-02-18 0 2668
240 백명의 시민, 백년의 시인을 노래하다... 2017-02-17 0 2746
239 시조 한수는 마흔 다섯자안팎의 언어로 구성돼 있다... 2017-02-17 0 2852
238 시조문학의 지평선을 더 넓히자... 2017-02-16 0 3106
237 저기 폐지수레 끄는 할배할매들이 저희들의 친지입니다... 2017-02-15 0 2782
236 현대시 100년 "애송 동시" 한 달구지 2017-02-15 0 4010
235 "부끄럼"은 완숙된 시에서 우러나온 맛이다... 2017-02-15 0 2782
234 시는 만들어지는것이 아니라 몸을 찢고 태여나는 결과물이다 2017-02-15 0 2484
233 아일랜드 시인 - 사뮈엘 베케트 2017-02-14 0 3861
232 국어 공부 다시 하자, 시인들을 위하여!... 2017-02-14 0 2647
231 미국 신문 편집인, 발행인 - 퓨리처 2017-02-14 0 4073
230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방방곳곳"이냐? "방방곡곡"이냐!... 2017-02-13 0 4247
229 시작에서 좋지 못한 버릇에 길들면 고치기가 힘들다... 2017-02-13 0 2888
228 방방곡곡으로 못가지만 시로써 아무 곳이나 다 갈수 있다... 2017-02-13 0 3120
227 당신의 도시는 시속에 있어요... 친구의 시인이여!... 2017-02-13 0 2801
226 추천합니다, 노벨문학상 관련된 책 50 2017-02-13 0 2710
225 저항시인 윤동주에게 "명예졸업장"을... 2017-02-13 0 2653
224 동요동시 대문을 열려면 "열려라 참깨야"라는 키를 가져야... 2017-02-11 0 3413
223 동시를 낳고싶을 때에는 동시산실에 가 지도를 받으라... 2017-02-11 0 2541
222 동시인이 되고싶을 때에는 그 누구인가의 도움을 받고싶다... 2017-02-11 0 2872
221 상(賞)에 대한 단상 2017-02-11 0 2571
220 젊은 조선족 문학도 여러분들에게... 2017-02-11 1 3350
219 시란 "자기자신이 만든 세계를 깨부시는" 힘든 작업이다... 2017-02-11 0 2649
218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 - 우리 애들도 발음 좀 정확히... 2017-02-10 0 2868
217 시와 삶과 리듬과 "8복" 등은 모두모두 반복의 련속이다... 2017-02-10 0 2539
216 혁명이 사라진 시대, 혁명을 말하는것이 어색한 시대... 2017-02-09 0 3156
215 세계 47개 언어로 엮어서 만든 "인터내셔널가" 2017-02-09 0 2906
214 시인 백석 한반도근대번역문학사에 한획을 긋다... 2017-02-09 1 3746
213 불후의 명곡 "카츄샤"는 세계만방에 울러 퍼지다... 2017-02-09 0 3763
212 "카츄샤"는 떠나갔어도 "카츄샤"의 노래는 오늘도 불린다... 2017-02-09 0 4210
211 시의 형태는 시가 담겨지는 그릇과 같다... 2017-02-09 0 2611
‹처음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