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11월 2024 >>
     12
3456789
10111213141516
17181920212223
242526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이모저모] - 력사는 력사다...
2018년 02월 21일 00시 53분  조회:5160  추천:0  작성자: 죽림
태극기 변천사 한눈에…
나라사랑 `물씬`
(ZOGLO) 2018년2월20일
 
▲ 고종황제가 미국인 외교고문 데니(Denny) 에게 하사한 데니태극기. 
 
/독립기념관 제공
 

태극기의 변천사를 한 눈에 보여주는 `문화재 태극기 사진전`이 대구에서 열린다.

대구백화점은 독립기념관과 공동으로 3·1절 99주년 기념 특별전시회`문화재 태극기 사진전`을 20일부터 다음달 4일까지 대구 대백프라자 11층 특별전시장에서 개최한다. 

독립기념관의 특별기획 순회 전시의 하나인 이번 전시회는 역사의 순간마다 우리나라 민족을 대표하며 애환을 함께 했던 우리나라 국기인 태극기의 변천사를 통해 일제강점기, 독재정부, 민족분단 등 숱한 고난과 역경 속에서도 한결같았던 선조들의 나라사랑의 마음을 함께 느껴보고 우리나라 근현대사의 역사적 사실과 의미도 되새겨보기 위해 마련됐다.  

전시품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데니태극기`, 독립만세 운동에 사용하기 위해 손바느질로 제작한 `남상락 자수 태극기`, 태극기를 찍어내기 위해 제작한 `태극기 목판`, 독립군·학도병 등의 친필이 담긴 `서명문 태극기` 등 문화재청 등록문화재 태극기 21점에 대한 사진이다.

데니태극기는 고종황제가 미국인 외교고문 데니(Denny) 에게 하사한 태극기다. 데니는 1886년부터 1890년까지 고종황제의 정치·외교고문으로 활동했고, 귀국 때 태극기를 가져갔다 후손이 1981년 우리나라에 기증했다.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태극기 실물 중 가장 오래된 것이다.

불원복(不遠) 태극기(등록문화재 제394호)는 전남 구례 일대에서 활역한 고광순(1848~1907) 의병장의 태극기다. 일제가 1905년 을사늑약을 강제하며,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강탈하자 의병투쟁에 나선 고광순이 태극기에 `머지않아 국권을 회복한다(不遠)`는 글자를 수 놓고 의병활동의 정신적 지주로 삼아 활용했다. 

   
▲ 대한독립만세태극기. /독립기념관제공

태극기 목판(등록문화재 제385호)은 3·1운동 당시 태극기를 찍어내기 위해 목재에 태극과 4쾌를 새긴 목판이다. 인쇄기술을 이용하기 쉽지 않았던 일제강점기에 만세운동에 필요한 태극기를 신속하게 대량으로 만들어 많은 사람들에게 전달하고자 제작된 자료다. 

김구(九) 서명문 태극기(등록문화재 제388호)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주석 김구(1876~1949)가 1941년 중국에서 미국으로 가는 매우사 신부에게 준 태극기다. 광복군에 대한 우리 동포의 지원을 당부하는 김구의 친필묵서가 쓰여 있어 김구의 나라사랑정신을 생생하게 살펴볼 수 있는 자료다.

대구백화점 관계자는 “전국 각지에 흩어져 소장중인 등록문화재 태극기를 한자리에 모아 감상할 수 있도록 한 이번 전시회를 통해 역사 속 태극기의 다양한 형태를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태극기의 변천사를 이해하고 태극기 속에 담긴 역사적 의의와 나라사랑 정신을 함께 느낄 수 있는 자리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윤희정기자 경북매일
==================
 

 
태극기의 의미
 
 

우선 각 모서리에 있는 4괘는 각각 '건곤리감'으로 읽는다.
'건곤감리'라고 읽느 것은 바람직 하지 않다.
(동서남북, 봄여름가을겨울 순으로 읽는 것이 바람직하다.)

○ 4 괘 ○

4괘는 태극 속에서 음과 양이 질적변화와 양적성장의
선회운동을 거치는 과정을구체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1. 건괘 - 하늘(天), 봄(春), 동쪽(東), 인(仁)을 뜻한다.
2. 곤괘 - 땅(地), 여름(夏), 서쪽(西), 의(義)를 뜻한다.
------- 이 건과 곤괘는 '무궁한 정신'이다. -------

3. 리괘 - 해(日), 가을(秋), 남쪽(南), 예(禮)를 뜻한다.
4. 감괘 - 달(月), 겨울(冬), 북쪽(北), 지(知)를 뜻한다.

------- 이 리와 감괘는 '광명의 정신'이다. -------

○바탕○

흰색 바탕은 밝음과 순수, 그리고 전통적으로 평화를 사랑하는
우리의 민족성을 의미한다.

○태극 ○

태극 문양은 파랑색 음(陰)과 빨강색 양 (陽)으로 하늘과 땅의 의미도 있지만 음과 양의 조화를 상징하는 것으로 우주 만물이 음양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생성하고 발전한다는 대자연의 진리 를 형상화한 것이다.
창조, 발전의 의미.

★정리★
태극기는 단순히 나라를 대표하는 상징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우리 민족 고유의 전통의식이나 미의식의 원천으로 우리 민족의
특성을보여주는 역할을 하고 있으며 우리 민족을 형성케한
정신사상의 표현으로 진정한 의미의 나라의 얼굴이며
민족의 상징적 의미를 지닌다



======================덤으로 더...
 

태극기의 역사

역사속의 태극기

 

구한말 워싱턴 공사관에 게양된 태극기 

  

 

1910년 구한말 워싱턴 공사관에 게양된 태극기. 태극기의 모양이 현재와는 다소 다른 면이 있다.
국민기와 대조선국기


1910년 군인수첩에 그려져 있는 대조선 국민단원의 국민기와 대조선 국기.
의병들이 서명한 태극기

 

1942년 일제시대 말기 의병들이 서명한 태극기. '自主自立', '自由' 등의 글자들이 선명하게 쓰여있다.
'불원복'기 태극기


1906년 제작된 불원복기 태극기.
동진학교에서 사용하던 태극기


1907년 동진학교에서 사용하던 태극기. 현재의 태극기와 모양이 다소 다르다.
고종의 최초 제정국기


1883년 3월6일 고종의 최초 제정국기.

 

 

김구선생의 친필로 서명한 태극기


1941년 임시정부 주석 김구선생의 친필로 서명한 태극기.
안중근의사가 단지혈서로 쓴 엽서의 태극기


1909년 안중근의사가 단지혈서로 쓴 엽서의 태극기. '大韓獨立' 이라는 글씨가 선명하다.
서재필의 태극기


서기 1900년경 서재필이 만들어 사용하던 태극기. 현재의 태극기와 거의 흡사하다.
데니의 태극기


1890년 D.N 데니의 태극기.
학도병이 서명한 태극기


1950년 9월1일 학도병들이 서명한 태극기. '勝'이라는 글자가 선명하게 보인다.

 


학도병들이 서명한 태극기


1950년 6.25사변 당시 학도병들이 서명한 태극기. '萬歲' '必勝' 등 학도병들의 의지가 담겨있다.
대한민국 태극기의 5개 시안


사진은 1949년 국기시정위원회에 건의한 대한민국 태극기의 5개 시안.
임시정부가 제정한 국기


1942년 6월29일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제정한 국기. 현재의 태극기와 유사하다.
3.1운동 시위용 태극기


1919년 3월 1일 평양숭실학교에서 사용된 3.1운동 시위태극기.
남상락의 태극기


1919년에 사용된 남상락의 태극기.
태극과 쌍태극기


1919년 독립운동의 선전 외교책자와 태극과 쌍태극기.
쥬이 태극기


1884년 쥬이 태극기. 스미스 소니언 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다. 태극의 모습이 현재의 것과 다르다

 


============================

  태극기의 유래와 역사


1.  태극도형은 삼국시대에도 사용되었음. 
2.  태극기로는 이조시대 어기라하여 태극주의에 8쾌를 그려넣어 어기로 사용한바 있었음. 
3.  현재와 같은 태극주위에 4쾌가 그려진 태극기는 1874년 고려국기라하여 청국주재 미국인 공사에 의하여

     청국에 소개된바 있음. 
4.  1882년 8월(음)박영효가 수신사로 일본 갔을때 대외공식적으로는 최초로 사용하였다함.
5.  1883년 1월(음) 고종 20년 태극4쾌가 그려진 기를 국기로 사용토록 왕명으로 공포하엿으나 정확한 제작 사

     용방법등을 규정하지 않음. 
6.  1949년 1월 대통령 특명으로 "국기시정위원회"를 구성한 이후 수차에 걸친 회의끝에 현행국기를 확정하였음 
7.  1949년 10월 : 국기제작 방법공포(문교부고시 제2호) 
8.  1950년 1월 : 국기게양방법공포(국무원고시 제8호) 
9.  1966년 4월 : 국기에 관한건 공포(대통령 고시 제2호)
10. 1984년 2월 : 대한민국 국기에 관한 규정 제정공포(대통령령 제11361호) 
11. 1987년 4월 : 대한민국 국기에 관한 규정 개정(대통령령 제12148호)
      ※ 국기강하시각 변경 
12. 1989년 3월 : 대한민국국기에 관한 규정 개정(대통령령 제12642호)
      ※ 국기의 실내 게양방법 등 개선 
13. 1996년 3월 12일 : 대통령령(제14943호)
      ※ 국기에 대한 맹세 전문 개정 
14. 1996년 12월 27일 : 대통령령(제15182호)
      ※국기의 표준색도 및 국기게양방법 개정


 

 

 

 

마건충(馬建忠)이 제안한 태극도.
청(淸)나라 사신 마건충이 반홍, 반흑의 태극에 8쾌를 그려서 조선(朝鮮)의

국기로 사용할 것을 제안하였으나, 고종(高宗)이 크게 노하여 새로운 태극

기를 창안하였다.


 

 

 

조선왕조 말기 정치인이었던 박정양(1841~1904)이 서장하던 태극기.

1884년에 만든 것으로 추정되며, 그후 1900년 이화학당 4대 총장 쥬디씨가

똑같이 그려 사용하였고, 현재 스미스 소니언(Smith sonian)에서구입,소장

(所藏)중이다.
현존하는 태극기 중 가장 오래된 태극기이다.


 

 

 

1886년 외교 고문이었던 데니시(Deny, Owen N)가 재임시 고종황제(高宗皇

帝)로부터 하사(下賜)받은 태극기이다.
데니씨는 당시 조선왕조를 간섭하던 청(淸)나라를 신랄하게 
비난하였던 미

국인 외교고문(顧問)이었다.
태극기의 특징은 통상약장 태극문양과 비슷하나 음방과 
양방의 위치가 다르

며 몸체가 가늘고 길다.


 

 

 



====================
 

일본국적 배 안에서 영국인 선장을 산파로 태어나 ‘붉은악마’ 속에서 펄럭이기까지

 

 

 

 

사진/ 월드컵 거리응원 현장에 나부끼는 태극기. (김종수 기자)

 


월드컵의 열풍 속에 온 나라가 붉게 물들었고, 우리 현대사에서 어쩔 수 없이 붉은색과 상극을 이루었던 태극기는 그 ‘붉은 무리’들의 상징으로 펄럭이고 있다. 그동안 국기 게양대에서 고고하게 펄럭이던 태극기, ‘국기에 대한 맹세’라는 희한한 주문의 대상이 되며 경건주의·엄숙주의의 상징이던 태극기는 두건으로, 치마로, 배꼽티로, 애교 있는 스티커로 다시 태어나 우리에게 가깝게 다가섰다. 올해는 태극기가 태어난 지 만 120년이 되는 해. 태극기가 이렇게 대중 속으로 파고든 것은 태극기의 짧지 않은 파란만장한 역사에서 처음이다.

 

 

마건충이 도안… 일본서 첫 게양

 

 

 

 

사진/ 민주세력에서도 큰일이 있으면 태극기를 들고 비장하게 애국가를 부르곤 했다. 88년 8·15 남북학생회담 출정식을 마치고 거리로 나서는 학생들. (한겨레)

 


원래 국기를 갖고 있지 않았던 조선은 국기 문제로 운요호(雲揚號) 사건 등에서 일본에 곤욕을 치르고, 문호개방을 강요받았다. 그 뒤 조선에서 국기에 대한 논의가 본격적으로 이뤄진 것은 일본에 사신으로 갔던 김홍집(金弘集) 일행이 중국의 황준헌(黃遵憲)이 쓴 <조선책략>이란 책을 가져오면서부터였다. 이 책에서 황준헌은 청의 용기(龍旗)를 그대로 쓰라고 사용하라고 권했다. 이는 조선이 청의 속국임을 만천하에 알리라는 것에 다름 아니다. 당시 조선 정부는 청에 조선은 어떤 색의 용기를 사용하면 되겠냐고 물었다. 이에 청의 북양대신(北洋大臣) 이홍장(李鴻章)은 조선 국왕의 깃발인 용을 그린 네모난 기가 중국의 용기와 비슷하니 국기로 써도 좋다면서 한 가지 단서를 달았다. 발톱이 다섯개인 오조룡(五爪龍)은 천자의 상징이니 제후국인 조선 국기의 용은 발톱을 네개로 하라는 것이었다.

 

다행히 조선이 청의 국기를 그대로 쓰는 일은 없었지만, 태극기의 탄생에도 청의 입김은 깊숙이 작용했다. 태극기가 박영효가 일본에 사신으로 갈 때 만들어졌다는 것은 잘 알려진 일이지만, 그 도안을 누가 처음 했는지는 잘 알려지지 않았다. 청의 사신으로 조선에 와 조선과 미국 간의 조미수호통상조약(1882) 체결을 주도한 마건충(馬建忠)과 김홍집 간의 필담을 담은 <청국문답>(淸國問答)을 보면 태극기의 도안자는 바로 마건충이었다. 1882년 4월11일 마건충은 김홍집과의 회담에서 개인의견임을 전제로 조선의 국기를 흰 바탕에 태극 그림을 사용하고 주위에는 팔괘를 그리는 것이 어떻겠냐고 제안했다. 이런 회담이 있은 뒤 7월에 임오군란이 일어나고, 조선은 제물포조약에 따라 대관(大官)을 파견하여 일본에 사죄할 것을 강요받았다. 이때 사신으로 간 박영효는 일본 국적의 메이지마루(明治丸)란 배를 타고 갔는데, 이 배의 선장은 영국인 제임스였고, 조선주재 영국 총영사 애스턴도 동승했다. 박영효는 애스턴과 조선 국기에 관해 협의하였는데, 애스턴은 선장 제임스가 세계 각국을 돌아다니느라 각 나라의 국기에 정통한 사람이므로 그의 조언을 받으라고 충고했다. 제임스는 마건충의 도안대로 8괘가 다 들어가면 복잡하고 다른 나라 사람들이 따라 그리기 힘들다고 충고하였고, 이에 따라 태진손간(兌震巽艮) 4괘를 들어내고 건곤감리(乾坤坎離) 4괘만 남기면서 상하좌우에 있어야 할 정괘를 45도 왼쪽으로 돌려버린 것이다. 이렇게 탄생한 태극기가 처음 게양된 곳은 일본 고베의 박영효 일행 숙소였다.태극기는 중국인의 기본 도안에 일본에 사죄하러 가는 일본 국적의 배 안에서 영국인 선장을 산파로 해서 태어나 조선 사람들에게 선보이기도 전에 일본에 나부끼는 기구한 운명을 갖게 된 것이다.

 

 

태극·괘 모양 싸고 끊임없이 시비

 

 

태극기뿐 아니라 최근에 일본에서 국가라는 공식적인 지위를 얻은 기미가요 역시 영국인 작곡에 독일인의 편곡을 거쳐 태어났으니, 동아시아에서 근대국가의 상징을 만들어내는 과정에는 외세의 침탈과 개입이 짙었던 것이다. 태극기는 탄생과정에서 외세가 깊게 개입했을 뿐 아니라, 그 내용도 우리 고유의 문화나 전통이 아닌 중국의 <주역>에서 빌려온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주역> ‘계사전’(繫辭傳)의 “태극이 양의(兩儀: 음양)를 낳고 양의가 사상(四象)을 생하고 사상이 8괘를 생한다”는 말에서 알 수 있듯이 태극기의 기본원리인 태극과 4괘는 <주역>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렇듯 출생과정도, 그 내용도 우리나라 사람이나 우리 고유의 것보다는 외국인과 외국적인 내용이 지배적이고, 애국가의 작사자로 확실시되는 윤치호(尹致昊)처럼 박영효도 말년이 친일로 얼룩지다 보니 민족주의자들의 입장에서 태극기를 민족의 상징으로 내세우는 것이 조금은 껄끄러울 수밖에 없었다. 그래서 나온 시도가 ‘태극기의 한국화’ 또는 ‘탈중국화’였다. 한 예로 1957년 ‘우리국기보양회’에서 펴낸 <국기해설>을 보면 태극팔괘를 단군성조(檀君聖祖)의 가르침에 따라 고래 조선에서부터 국기로 사용하였다고 하고 있다. 또 대한민국국기선양회에서 1995년에 태극기 변천사 전시회를 하면서 펴낸 도록에는 1392년에 제작되었다는 범종이 실려 있는데, 이 종에는 현재의 태극기와 흡사한 4괘를 가진 태극기가 선명하게 새겨져 있다. 만일 사실이라면 놀라운 일이 아닐 수 없는 이 종의 실물은 한번도 공개되지 않았다. 이 단체는 태극기가 단군의 홍익인간 이념을 반영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이승만 정권 아래서 문교부 장관을 지냈고, 박정희 시절에는 박정희와 국무위원들에게 1년여에 걸쳐 국난극복사를 강의한 바 있는 이선근(李瑄根)은 이집트와 로마, 아테네, 비잔티움에서 멀리 미국 원주민의 토기 등 고대 유물과 신라의 곡옥(曲玉)에 이르기까지 태극 모양과 조금이라도 유사한 모양을 찾아내어 태극이 중국의 전유물이 아니라 ‘상고 인류 공통의 우주관’을 상징한다고 강변했다.

 

1949년 국기제정위원회가 현재의 도안대로 태극기의 모습을 확정한 이후에도 태극기의 음양의 각도와 괘의 배열을 둘러싸고 시비가 끊이지 않았다. 태극기의 모양이 <주역>에는 별로 소양이 없었을 영국인 선장의 조언에 따라 보기 좋게 8괘를 4괘로 줄이고, 4괘의 위치도 네 구석으로 배열하다 보니 당연히 <주역>깨나 한다는 분들의 입장에서 보면 태극기의 모양은 잘못된 것일 수밖에 없었다. 독립문에도 태극기가 조각되어 있는데, 그 모습을 보면 현재와는 괘의 위치가 다르게 배열되어 있다. 이탈리아와의 축구경기에서도 관중석 벽을 따라 여러 형태의 옛 태극기가 게양되었는데, 괘의 위치나 음양의 모습은 제각각이다. 윤봉길 의사는 폭탄을 던지러 가기 전에 백범 김구 선생과 대형 태극기를 배경으로 찍은 사진을 남겼는데, 사진 속의 태극기는 지금을 기준으로 보면 ‘잘못’(!) 게양되어 있다. 그런데 어떤 사진첩에는 이를 오늘날의 기준에 맞게 ‘바로잡아’ 놓아 쓴웃음을 짓게 한다.

 

 

일본 순사들의 놀라운 재활용 정신

 

 

 

 

사진/ 마건충이 제안한 국기도식(왼쪽)과 제임스가 그렸을 최초의 태극기 그림.

 


<주역>의 해석에 근거해서 태극기에 대한 시비가 끊이지 않자 이선근은 1959년에 태극기의 도안은 중국의 주역에서 나온 것이 아니라며 태극기에 대해 “중국식 역학자의 사고방식”을 갖고 “더 이상의 부질없는 해석은 누구나 삼가야 한다”면서, “금후에는 누구든지 문교부가 이미 결정한 대로” 따라야 하며 “국기 도안의 역학적 해설을 고집하거나 함부로 내세우지도 말아 달라”고 단언했다. 그러나 현재 서점에서 볼 수 있는 태극기에 관한 많은 책들의 대부분도 현재의 태극기를 잘못된 것이라 주장하면서 나름대로 바로 그린 태극기의 모습을 제시하는 것을 보면 이런 엄포로 태극기를 둘러싼 시비를 잠재울 수 있었던 것은 아니었다. 태극기의 복잡한 내력을 고려하면 초등학교에서 태극기를 잘못 그렸다고 벌받는 학생들에게 안쓰러운 마음이 들게 된다. 물론 태극기를 받아쓰기에서 태국기로 잘못 써서 벌받는 학생들에게까지 동정심을 표하고 싶은 마음은 없지만 말이다.

 

일제강점기, 나라도 빼앗기고, 말도 글도 빼앗기고, 사람들의 성과 이름마저 빼앗겨버린 빼앗긴 들에 태극기가 휘날릴 곳은 없었다. 대한독립의군부 등에서 태극기 게양운동을 벌였지만, 일제의 탄압으로 확산되지는 못했다. 한 가지 특기할 만한 일은 당시에는 사회주의자들도 태극기를 앞세우고 독립운동을 벌였다는 점이다. 조선의용군의 경우 일부 젊은 층은 붉은 깃발을 내걸 것을 주장했지만, 당시 통일전선의 분위기와 태극기의 상징성을 고려하여, 그리고 중국공산당의 권유로 태극기를 그대로 사용했다고 한다.

 

그러다가 어느 시인의 말처럼 도둑처럼 해방이 왔다. 가장 재빨랐던 것은 일본 순사로 있던 조선인들이었다. 일장기의 원을 반을 먹으로 칠하고 귀퉁이에 4괘를 그려 순식간에 태극기를 만들어 들고 나왔으니, 그 재활용 정신(!) 하나만큼은 알아주어야 한다. 그렇다고 태극기가 해방 이후 꼭 일장기 위에서 친일파들의 보신 수단으로 다시 태어난 것만은 아니었다. 앞치마에도 그리고, 이불 홑청 떼어내어 그리고, 처녀 때 장만한 옥양목 치마를 한번도 안 입고 고이 간직해두었다가 쫙 찢어 사발을 대고 태극을 그린 아주머니들도 많았다. 그렇게 그린 태극기에서 태극 모양이 좀 틀리고 4괘의 위치가 바뀐다고 무슨 상관이 있었을까? 그런 분들이 딸 혼숫감에 그려주어 태극기가 다시 태어날 때가 태극기의 역사에서 가장 감격스러운 순간이었을 것이다.

 

해방이 되어 태극기에게 봄날이 왔나 싶었지만, 그게 아니었다. 나라는 반조각이 났지, 일장기가 나부끼던 자리는 성조기가 펄럭이지, 좌우대립은 극도로 격화되고, 게다가 일장기에 절하던 친일파들이 태극기를 높이 휘둘러대는 정신없는 순간이 온 것이다. 이북에서 새로운 국기를 제정하자는 이야기가 나온 것은 그 무렵이었다. “구한국의 군주정체에 맞던 국법이나 국기가 신조선의 인민정권에 맞지 않을 것”이라는 이유였다. 이북 공산주의자들은 일제강점기 태극기가 중요한 역할을 한 것은 인정했으나, 해방된 지 2년 동안 이북에 “선진적이며 인민적이며 민주주의적인 헌법”을 마련하게 되었으니 새 국가에 조선시대의 법전인 <대전통편>이 필요 없는 것처럼 낡은 태극기도 맞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이에 따라 그들은 새 국기, 이른바 인공기를 만들어 1948년 7월10일 북조선인민회의 제5차 회의 제2일 회의 중에 그 기를 내걸었다. 1948년 10월이 되자 남로당에서는 이른바 ‘인공기 게양투쟁’을 벌이기 시작했다. 10월5일 새벽을 기해 전국적으로 태극기가 걸렸던 많은 자리에 인공기가 내걸렸다. 남로당원들은 일반 주택가보다 학교나 면사무소 같은 공공건물마다 인공기를 내걸었고, 서울에서는 심지어 독립문과 중앙청에까지 인공기가 내걸렸다.

 

 

‘국기 경례 거부’ 여호와의 증인들의 곤욕

 

 

 

 

사진/ 독립문에 조각된 태극기는 현재와는 괘의 위치가 다르게 배열돼 있다. (박승화 기자)

 


한국전쟁 이후 독재정권들은 백두산 영봉에 태극기를 휘날리자는 ‘우리의 맹세’나 “조국과 민족을 위해 몸과 마음을 바쳐 충성을 다하자”는 ‘국기에 대한 맹세’를 제정하고, 국기강하식 때면 전국에서 모두 행인들을 ‘동작 그만’의 상태로 만들었으며, 심지어는 극장에서도 애국가가 울릴 때면 관객들이 벌떡 일어나게 만들었다. 이렇게 하면 ‘국민’의 애국심이 솟구치리라고 독재정권이 기대했을까? 독재자들은 바보가 아니었다. 어느 누가 바쁜 걸음을 재촉하다가 말고 길바닥에서 국기에 대한 맹세를 듣는 것을 좋아하며, 연인이나 친구와 즐거운 시간을 보내러 간 극장에서 벌떡벌떡 일어나며 애국심을 되새기겠는가? 독재권력이 노린 것은 태극기와 애국가를 통해 사람들을 길들이려는 것이었다. 태극기와 애국가에 대한 경배를 통해 그 뒤에 숨은 독재자에게 조건반사적으로 복종하게끔 만드는 것, 그것이 국민의례가 넘쳐나던 시기에 독재자들이 노린 것이다. 이 시기에는 학원에서도 군사주의·국가주의가 강화되었다. 이에 따라 종교적 신념에 따라 국기에 대한 경례를 거부하는 여호와의 증인들은 곤욕을 치르고, 줄줄이 퇴학당하기 시작했다. 사법부는 여호와의 증인들이 제기한 소송에서 여호와의 증인들의 국기에 대한 경례 거부를 ‘사교·이단 집단의 비애국적 행동’으로 몰아붙이면서 교내 질서가 지켜져야 한다고 못박았다. 이 같은 사법부의 판결은 헌법상의 권리인 종교의 자유를 고등학교 학칙이나 교내 질서보다 하위에 두는 행위였다.

 

 

 

사진/ 의거 직전 백범 김구와 기념사진을 남긴 윤봉길 의사. 사진 속의 태극기는 지금을 기준으로 본다면 '잘못' 게양돼 있다.

 


독재자들이 태극기와 애국가를 권력유지의 수단으로 많이 이용한 것은 사실이지만, 그렇다고 태극기나 애국가가 파시즘적 국가권력의 전유물은 아니었다. 민주세력에서도 큰일이 있으면 태극기를 들고 나오고, 비장한 마음으로 애국가를 부르곤 했다. 한 예로 1975년 8월 박정희 정권에 의해 의문의 죽임을 당한 장준하 선생의 장례식 때는 동지들이 임시정부에서 쓰던 오래된 태극기를 그의 관에 덮어 애국자의 마지막 길을 전송했다. 관동군 다카키 마사오에게 죽임을 당한 광복군 장준하는 그렇게 태극기를 덮고 이 땅을 떠났다.

 

1980년 광주에서 전두환 일당에게 무참히 살해당한 분들을 급히 구해온 관에 모실 때 살아남은 시민들은 대형 태극기를 구해다가 한장 한장 덮어드렸는데, 어찌나 많은 분들이 죽었는지 광주시내에 태극기가 동이 났다고 한다. 태극기는 광주시민들이 그렇게 망월동에 묻힐 때 함께하기도 했지만, 광주의 학살자들이 민주정의당을 만들고, 대통령에 취임하는 놀음을 하는 현장에도 어김없이 나부꼈다. ‘황국신민서사’의 동생 격인 ‘국기에 대한 맹세’가 울려퍼지는 가운데…. 학살자들이 휘두르던 태극기는 사라졌지만, 광주의 시민들과 함께 묻힌 태극기는 20년 가까운 세월이 흘러 망월동 구묘역을 신묘역으로 이장할 때 20여장이나 거의 온전한 모습으로 다시 세상에 모습을 드러냈다. 열사들의 민주정신으로 불후(不朽)의 태극기로 다시 태어난 것이다.

 

한국현대사에서 온갖 영욕을 함께한 태극기가 감정을 갖고 있다면 가장 민망했던 때는 80년대 학생들의 성조기 소각사건 때가 아니었을까? 광주 이후 반미의 무풍지대였던 한국은 갑자기 세계에서 반미운동이 가장 치열한 곳이 되었고, 학생들은 광주학살의 배후로 미국을 지목하고, 성조기를 태우기 시작했다. 그런데 정부는 성조기를 불태운 학생들을 국가보안법 위반으로 기소했다. 학생들이 태극기를 태운 것도 아니고, 또 정작 미국에서는 성조기를 불태우는 행위가 헌법상의 표현의 자유로 인정받는데 말이다.

 

 

통일조국까지 간다는 건 상상하기 힘든 일

 

 

1987년 6월항쟁 때도 학생들과 시민들이 태극기를 많이 들고 나왔지만, 태극기가 본격적으로 시위현장에서 쓰인 것은 1988년의 통일운동 때부터일 것이다. 젊은 학생들은 태극기로 온몸을 감싸고 눈물을 흘리며 결연히 통일의 의지를 불태웠다. 70년대나 80년대 초반의 학생시위 현장에서 종종 태극기의 모습을 찾아볼 수 있었다. 그러나 이때는 태극기를 독재정권이 학생운동을 빨갱이로 모는 것에 맞서 빨갱이 공세를 막아주는 호신부처럼 들고 나온 것이었다면, 80년대 후반의 태극기는 의미가 달랐다. 1986년 이후 학생운동에서 민족해방 사상이 널리 퍼지고, 재일동포 지도자인 배동호 선생의 <애국론>이 널리 읽히면서 ‘애국’이란 독재자들의 전유물이 아니라 우리 민중들이 되찾아야 할 소중한 덕목으로 부활한 것이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식민지 내 조국의 아들로 태어난’ 젊은이들이 가야 할 길을 노래한 <애국의 길>이란 노래가 애창되었다. 물론 학생운동 일각에서는 이런 태도를 민족주의적 편향이고, 민족주의는 파시즘이나 독재권력과 쉽게 결합한다는 비판도 제기되었다.

 

90년대 이후 한동안 민족주의에 대한 비판이 거세게 일다가 요즈음 태극기는 다시 때아닌 전성시대를 맞았다. 그리고 빼앗겼던 붉은색은 다시 살아났다. 이북의 노동당 행사에서도, 빨갱이들의 본고장인 소련의 붉은 광장에서도 수십수백만명이 길거리를 가득 메운 이런 붉은 물결은 있어본 적이 없었다. 30대 후반 이상이면 반공 포스터에나 그렸을 붉은악마는 이제 온 국민의 상징이 되어버렸다. 동계올림픽 때 김동성 선수가 태극기를 내팽개쳤다면서 비난하던 <조선일보>가 네티즌들한테 혼이 날 때부터 조금 감지되기는 했지만, 이미 젊은이들은 태극기에 대해 군사독재정권이 강요하던 엄숙주의·경건주의를 벗어던졌다. 과연 온 나라를 붉게 물들인 붉은악마 현상이 레드콤플렉스의 진정한 극복으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인가? 동원이 아닌 자발적인 참여, 그리고 이 집단적 열광 속에서도 분명히 발견되는 개인주의는 과연 민족주의가 나치즘이나 일본의 군국주의 같은 광기로 가는 데 충분한 안전판이 될 수 있을 것인가? 우리가 태극기를 흔들며 대∼한민국을 외치는 것은 당연한 것이고, 일본인들이 히노마루를 흔들며 닛폰을 외치는 것은 섬뜩한 일일까? 이 모든 열풍은 그저 축구경기를 둘러 싼 90분 내셔널리즘으로 국한될 것인가? 한국 현대사의 맥락에서 보면 민족주의의 빅뱅과 레드콤플렉스의 약화 조짐이라는 잘 어울릴 것 같지 않는 일이 동시에 벌어지는 현상은 축구 4강의 신화만큼이나 신기한 일이다.

 

국가라는 조직이 지구상에서 사라지지 않는 한 국기는 존재할 것이다. 그리고 국가는 절대로 스포츠 내셔널리즘을 포기하지 않을 것이며, 세계화의 물결 속에서도 국가대항전이 열릴 때면 국기는 지금보다 더 힘차게 나부낄 것이다. 그러나 <월간조선>이 바라는 것처럼 주석궁을 국군 탱크가 점령하지 않는 한, 태극기나 애국가가 통일조국에서 계속 자리를 지킨다는 것은 상상하기 힘들다. 그때는 몇 차례 실험을 해본 단일기처럼 남과 북 모두가 기꺼이 받아들일 수 있는, 남과 북 모두를 아우를 수 있는 새로운 상징이 필요한 것이 아닐까?

 

 

/2002년06월26일 제415호

///한홍구 ㅣ 성공회대 교수·한국현대사

==============================

1.■ 최초의 태극기는 고종 황제 작품이었다
(서울신문발행 뉴스피플 1997년 10월 9일자 제288호 특종)
지금까지 우리 나라 국기인 태극기는 박영효가 창안, 도안한 것이 정설로 돼 있었다. 1882년 고종의 허락을 받아 박영효가 수신사로 일본을 방문하러 가던 중 메이지마루호 선상에서 일행과 숙의해 그렸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같은 태극기의 유래는 잘못 알려진 것으로 드러났다. 박영효가 주도한 작품이 아니라 고종의 주체적이고 독창적인 작품으로 새삼 밝혀졌기 때문이다. 1882년 10월 2일자 일본 도쿄에서 발행된 일간신문 「시사신보」(1882년 3월 창간,1936년 폐간) 는 당시 일본을 방문한 박영효 수신사 일행과 기자 회견을 갖고, 태극기는 자국의 국기를 모방하라는 청나라의 압력을 뿌리치고 고종이 직접 도안을 하고 색깔까지 지정한 것으로 보도했다. 박영효는 고종이 구상한 작품을 고종의 지시에 따라 일본으로 가던 
도중 단순히 그림만 그리는 역할을 했을 뿐이라는 사실을 시사신보 기사는 생생하게 전하고 있어 태극기의 역사를 바로 잡아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같은 사실은 최초의 태극기가 게재된 시사신보 축쇄판을 동경도립중앙도서관에서 단독 입수, 지난 광복절날 일간신문(동아, 한 
국일보)을 통해 태극기 그림을 공개한 서울시청 총무과 송명호씨에 의해 밝혀졌다. 송씨는 당시 일간지가 서둘러 보도하면서 최초의 태극기 발견 사실에만 기사의 초점을 맞추고 정작 태극기가 고종의 작품이라는 역사적인 사실을 간과한 점을 중시, 이를 널리 알려야겠다는 생각에서 관련 자료를 작성, 주요 도서관과 학술연구기관에 무료 배포하기에 앞서 뉴스피플에 제공했다. 그가 제공한 화제의 시사신보 관련 기사는 「잡보」란을 통해 수신사 박영효 일행의 일본 방문을 조선의 유신이라고까지 장황하게 극찬한 다음 「조선국기」라는 캡션이 붙은 태극기 그림과 함께 국기의 재정 배경을 구체적으로 밝혔다. 그 내용을 번역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까지 조선에는 국기로 부를만한 것이 없어 지난번에 탁지부를 방문한 중국(원문에는 지나로 표기했으며 청나라를 지칭함)의 마건충(청나라 덕종때 사람으로 1882년 군함 수척에 군인 4천5백명을 인솔, 조선에 와 임오군란을 조정한다는 구실을 내세워 대원군을 천진으로 압송하는 등 조정에 친청파를 구축하며 내정에 깊이 간여한자임)이 조선의 국기는 중국의 국기를 본받아 삼각형의 청색 바탕에 용을 그려야 하며 본국인 중국은 황색을 사용 
하나 조선은 동방에 위치하는 나라이므로 동쪽은 청색을 귀히 여긴다는 뜻에 따라 청색 바탕을 이용해야 한다고 지시했다. 이에 국왕(고종)은 분하게 여겨 절대로 중국 국기를 흉내내지 않겠다고 해 사각형의 옥색 바탕에 태극원(두개의 소용돌이 모양)을 청색과 적색으로 그리고 국기의 네 귀퉁이에 동서남북을 의미하는 역괘를 그린 것을 조선의 국기로 정한다는 명령을 하교하였다고 한다」
이 신문의 관련 기사 첫 머리는 「지난달 28일(1882년 9월 28일 가리킴) 하나부사공사와 함께 도쿄에 도착한 조선인의 이야기에 의하면....」이라고 돼 있어 박영효 수신사 일행중 한명과 인터뷰를 통해 기사를 작성했음을 알 수 있다. 당시 개혁파 지식인들인 김옥균, 서광범 
등도 박영효와 동행했다고 이 신문은 적고 있어 이들중 한명과 인터뷰를 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관련 기사에서 고종은 청나라 마건충의 강요에 분노하며 독창성을 발휘, 도안과 도형의 설명, 그리는 방법까지 직접 언급하고 있다. 이는 국기를 만드는 과정에서 외세를 단호히 배격했음을 의미한다. 
당시는 청나라가 내정에 깊숙이 개입하고 있었고 임오군란을 이용, 제물포조약을 체결한 일본은 자국군의 서울 주둔을 강요하며 침략의 발판을 마련하는 등 열강의 틈사이에서 국왕이 국정을 제대로 펴기조차 힘든 시기였음을 볼 때 고조의 이같은 자주정신은 높이 평가돼야 한다고 송씨는 설명했다. 태극기 연구가이기도 한 그는 「관련 기사가 발견되기 전에는 주역의 태극도를 그렸다는 등 태극기의 유래에 대해 별의별 억측이 많았으나 이젠 이러한 의구심을 말끔히 해소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우리 나라 최초의 태극기가 모습을 드러낸 것은 1882년 9월 25일입니다. 왜냐하면 그날 박영효 일행이 고베에 도착, 숙소인 니시무라야(西村屋) 옥상에 국기를 게양했다는 기록이 있거든요. 그로부터 사흘 뒤 일행이 도쿄에 도착했고 이를 시사신보 기자가 취재해 10월 2일자에 보도한 겁니다」
그에 따르면 우리 나라 태극기는 모두 다섯 번의 변천을 통해 오늘날의 모습으로 자리잡았다. 첫 번째는 시사신보의 보도처럼 고종의 지시에 따라 박영효에 의해 완성된 것이다. 두 번째는 1885년 고종이 외무담당 미국인 데니씨에게 선물한 태극기로 현재 독립기념관에 전시돼 있다. 세 번째는 1896년 독립신문 제호에, 네 번째는 1900년 파리박람회 때 사용했던 태극기이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것은 1949년 정부에서 42인 국기제정위원회를 구성, 제정한 것이다. 그동안 태극기의 유래에 대해 가장 상세하게 언급한 것은 1961년 진단학회가 펴낸 「한국사」로 전문가들 사이에 금과옥조로 여겨왔다. 우리 나라에서 국기문제가 논의된 것은 1876년 병자수호조약 체결 당시 강화도 회담에서부터 대두됐다. 이때부터 국기의 필요성을 느끼게 됐고 이를 눈치챈 중국이 황준헌을 통해 중국의 용기를 본받아 그려서 전국적으로 사용하라는 간섭을 했다. 그후 우리 나라와 중국은 국기 제정에 따른 양국 위원을 임명했는데 우리측 위원은 이응준이었고 중국측 위원은 마건충이었다. 그러나 국기 제정이 지 
지부진한 가운데 수신사 박영효 일행은 일본을 방문하게 됐고 이때 출발에 앞서 고종황제로부터 내략을 받았다. 일본 기선 메이지마루호 선상에서 동숭한 수신사 일행, 영국 영사관 아스톤, 선장 제임스 등과 태극 8괘의 도안을 가지고 숙의한 끝에 최종적으로 4괘의 태극기를 
국기로 결정, 제작했다. 아마 이 결정은 일본으로 출발에 앞서 고종황제가 지시한 대로 따랐다고 봐야 할 것이다.
「한국사」도 고종이 지시한 것으로 추측하고 있지만 고종이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태극 무늬의 모양과 색, 4괘, 바탕색까지 지정하는 등 그의 작품이라는 사실은 지나치고 말았다. 시사신보의 보도 내용에 대해 서울대 국사학과 한영우 교수는 처음 듣는 말이라며 「최초의 태극기 제정 배경 등 국사 연구에 귀중한 사료로 평가된다」고 말했다. 국사편찬위원회 김광남 연구관도 이같은 사실에 놀라움을 감추지 못하며 태극기 변천사를 다시 써야 할 획기적인 발견이라고 평가했다.
최초의 태극기를 발견한 송씨는 「아이러니컬하게도 최초의 태극기 그림과 자료가 국내에서 발견되지 않고 일본서 찾게된 것은 부끄럽기 그지 없지만 태극기의 역사가 제가 만든 자료를 근거 삼아 새로 정리할 수 있게 된 점은 다행」이라고 말했다. 그는 고종의 지시대로 박영효가 완성시킨 최초의 태극기는 애초 3점이 제작됐으나 왕조의 몰락 등 격변의 세월을 거치는 동안 실물이 자취를 감춰 아쉽다는 말을 덧붙였다.(김철호기자)
이번에 시사신보에서 태극기 그림을 발견하기까지 가장 힘들었던 점은 역사연표의 숱한 오류였다. 즉, 年 표기는 양력인 서기로 하고 달과 날짜를 음력으로 표기하므로써 우리 역사의 기록을 탐구하는데 심한 혼란을 초래시켰다. 가령 우리 나라의 여러 기록에 의하면 수신사 일행이 고베에 도착한 달을 1882년 8월이라고 표기되어 있다. 그러나 정확한 기록은 1882년 9월이었다. 이런 아이러니 때문에 115년이 지나서야 최초의 태극기 그림을 발견하게 되었을 것이다. 서기로 표기한 것은 모두 양력으로 환산해야만 한다. 우리는 왜 캐캐 묵은 최초의 태극기를 찾아야 하는가라고 질문할지 모르나 그 질문 자체가 우둔할 뿐이다. 현재의 태극기가 제정되기 전에 최초의 태극기를 그려서 사용했다라는 기록이 엄연히 있는 한 
그 실체를 찾지 않는다면 스스로 역사의 단절을 자행하는 과오를 저지르는 것과도 같았기 때문이다. 그런데도 많은 사람들은 지금까지 최초의 태극기를 찾는데 진지하지 못했거나 방관하였다. 그 동안 잘못 알려진 태극기의 변천사를 다시 고쳐 쓰는 일은 발굴자의 즐거운 소명이 될 것이다.

[리다이렉트 : 지식iNkin.naver.com]


 

다른뉴스


 

우리 나라에서 국기 제정이 처음으로 논의된 것은 1876년(고종 13년 1월)이었다.
윤요호 사건을 계기로 한ㆍ일(韓日)간에 강화도 죠약 체결이 논의되는 동안 일본측은 '윤요호에는 엄연히 일본의 국기가 게양되어 있었는데 왜 포격을 가하였느냐?'라며 트집을 잡고 늘어졌다. 그러나 당시 우리 조정의 대신들은 국기가 무슨 의미와 내용을 지니고 있는지초자 몰라서 어리둥절하기만 했다.
이것이 계기가 되어 비로소 조정에서는 국기제정의 필요성이 활발하게 거론되기 시작했다.
1882년 8월9일 특명전권대사겸 수신사인 박영효와 그 일행이 인천에서 일본 배를 타고 일본으로 건너갈 때, 당장 게양할 국기가 있어야 되겠다고 생각했다. 전에 이어 이미 조정에서 구상되고 논의되어 어느정도 찬성을 본 국기의 디자인을 다소 수정한 태극 사괘의 기를 국기로 게양할 것에 의견을 모아 박영효가 타고간 일본 선박 메이지마루에서 이것을 만들었다.
이 때 메이지 마루에는 후일 개화당의 주역이었던 서광범, 김옥균등도 함께 타고 있었다. 이들 일행은 8월 14일 고베에 도착하여 니시무라야에 숙소를 정하고, 이 건물 옥상에다가 배안에서 만든 태극 사괘가 그려진 기를 게양하였으니, 이것이 태극기의 효시로 지금으로부터 110여 년 전의 일이다.
그 뒤 1883년 1월(음력), 고종은 왕명으로 태극 도형과 사괘가 그려진 국기를 공식으로 제정ㆍ반포 하였으나 그 구체적인 제작 및 사용 방법 등은 정하지 않았다.
태극기에 대한 유래는 크게 다음 두 가지로 전해 왔다.
첫째는 1882년 9월 朴泳孝 수신사가 일본을 방문하러 가던 중 선상에서 그렸으며, 둘째는 박영효 수신사에 의해 그려진 최초의 태극기와 현재의 태극기 모양이 다를 것이라는 점이다. 이런 유래에도 불구하고 무슨 영문인지 최초로 만들었다는 태극기의 실물이나 그림이 보존되지 않은 채 115년이 흘러왔다.
애써 이유를 변명하자면 조선 왕조 몰락, 일본 36년의 침략과 탄압 등이 태극기의 유래를 그토록 어지럽게 했을 것이다. 내가 태극기의 그러한 유래에 관심을 가지고 독자적으로 최초의 태극기를 찾겠다고 나선 것은 1978년 부터였다. 틈나는 대로 태극기의 각종 문헌과 자료를 열심히 수집하였으나 최초의 태극기는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1882년 수신사 박영효가 그렸다는 최초의 태극기에 대한 실물은 처음부터 기대하지 않았지만 그림마저 나타나지 않은데 대해서는 분통이 터질 일이었다. 일단 국내에는 최초의 태극기 그림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일본에서 찾기로 하였다. 1993년에 일본을 방문하여 최초의 태극기를 찾아 나섰다. 비록 짧은 일정이었지만 몇 군데의 도서관과 박물관을 방문하여 나름대로 유익한 자료들을 수집하였다.
1882년 당시에 발행되었던 신문과 잡지 목록을 수집한 것은 아주 큰 수확이었다. 그 동안 수집해 온 자료들을 토대로 정리한 「태극기 변천 5단계」를 국민일보(1995년 4월 5일자)에 발표하기도 하였다. 끈질긴 집념과 오기를 발동한 끝에 드디어 1997년 8월 8일 동경도립중앙도서관에서 최초의 태극기 그림이 실린 시사신보(1882년 10월 2일자)를 찾아냈다. 이 기사속에서 또 하나의 획기적인 발견은 고종황제가 최초의 태극기를 창안했다는 점이다. 박영효는 단순히 고종황제의 지시대로 그렸을뿐이다. 이러한 사실이 새롭게 밝혀진 이상 과거의 태극기 관련 기록들은 마땅히 수정되어야 할 것이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117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2917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비닐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20-04-07 0 3861
2916 [민속] - 이남박 2020-04-05 0 3862
2915 [민속] - 함지박 2020-04-05 0 3755
2914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식량위기", 남의 일이 아니다... 2020-04-04 0 3602
2913 [그것이 알고싶다] - "짝짓기" 몇초 사이 호박속에... 2020-04-04 0 3724
2912 [세계속에서] - 애매불쌍한 유채꽃들... 2020-04-03 0 3526
2911 [민속] - 탈 2020-03-28 0 7590
2910 [민속] - 대장간 2020-03-28 0 4694
2909 [세계속에서] - 비상사태속에서의 은정... 2020-03-28 0 3792
2908 [민속] - 올개심니 2020-03-25 0 3521
2907 [그때 그시절] - 추억 영화 "꽃파는 처녀" 2020-03-24 0 4172
2906 [세상만사] - "가짜세상"... 2020-03-22 0 3573
2905 [민속] - 비녀 2020-03-21 0 5587
2904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핵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20-03-21 0 4061
2903 [세계속에서] - 100배... 2020-03-19 0 3881
2902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비닐쓰레기", 남의 일이 아니다... 2020-03-18 0 3735
2901 [세계속에서] - 올림픽 "연기"? "연기"!... 2020-03-17 0 3394
2900 [세계속에서] - ...다면???... 2020-03-13 0 3454
2899 [별의별] - "원숭이 패싸움"... 2020-03-13 0 3663
2898 [민속] - 우물 2020-03-11 0 4057
2897 [세계소에서] - "악수금지령"... 2020-03-11 0 4179
2896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동물보호", 남의 일이 아니다... 2020-03-11 0 3759
2895 [민속] - 한복 2020-03-10 0 6715
2894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마스크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20-03-10 0 3875
2893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세균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20-03-10 0 3630
2892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환경오염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20-03-09 0 3576
2891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온난화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20-03-07 0 3951
2890 [민속] - 방아 2020-03-07 0 5543
2889 [민속] - 바가지 2020-03-06 0 3741
2888 [세계속에서] - "나는 고발한다"... "그는 고발당하다"... 2020-03-06 0 3726
2887 [세계속에서] - 지나간 100, 앞으로 100... 2020-03-05 0 3474
2886 [별의별] - 세월, 시간, 시계, 시시비비... 2020-03-04 0 4041
2885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력사의식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20-03-01 0 4239
2884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문화재보호", 남의 일이 아니다... 2020-02-27 0 3693
2883 [별의별] - "평평"... "둥글"... 2020-02-25 0 3702
2882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전염병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20-02-24 0 3862
2881 [그것이 알고싶다] - "윷놀이" 2020-02-24 0 5207
2880 [타산지석] - 우리는 언제부터 "저작권문제"를 중시할려나... 2020-02-23 0 3581
2879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백두호랑이보호", 남의 일이 아니다... 2020-02-22 0 2857
2878 [그것이 알고싶다] - "베를린 국제영화제" 2020-02-21 0 3828
‹처음  이전 1 2 3 4 5 6 7 8 9 10 11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