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골목대장이 된 바람"
2018년 03월 22일 23시 32분  조회:2425  추천:0  작성자: 죽림

<바람에 관한 동시 모음> 

+ 바람의 고민 

어떡하지? 

바람이 풀숲에 주저앉아 
고민합니다. 

아무리 
살금살금 걸어도 
꽃잎이 흔들립니다. 

어떡하지? 
(이혜영·아동문학가) 


+ 바람이 길을 묻나 봐요 

꽃들이 살래살래 
고개를 흔듭니다. 

바람이 길을 묻나 봅니다. 

나뭇잎이 살랑살랑 
손을 휘젓습니다. 

나뭇잎도 모르나 봅니다. 

해는 지고 어둠은 몰려오는데 
넓은 들녘 저 끝에서 

바람이 길을 잃어 걱정인가 봅니다. 
(공재동·아동문학가) 


+ 같은 바람 중에도 

풍력발전소에 가면 
땀 흘려 일하는 
바람이 있다. 

풍차 날개를 돌려 
열심히 전기를 만드는 
기특한 바람이 있다. 

같은 바람 중에도 
어떤 바람은 
넘쳐나는 힘 다스리지 못해 
무서운 태풍이 되고 

어떤 바람은 
작은 힘 서로 모아 
방아를 찧고 
풍력발전소를 돌린다. 
(민현숙·아동문학가) 


+ 양달과 응달 

겨울에는 
양달에서 응달로 
따뜻한 바람을 보내준다. 

여름에는 
응달에서 양달로 
시원한 바람을 보내준다. 

제가 받은 것이라고 
저 혼자만 갖지는 않는다. 
제가 만든 것이라고 
저 혼자만 갖지는 않는다. 

바람은 
핏줄이다. 
가진 것을 함께 나누는 
이 세상의 핏줄이다. 

단지 며칠 늦어서 그렇지 
응달에도 꽃이 핀다. 
양달에도 
낙엽이 진다. 
(이무일·아동문학가) 


+ 보이지 않아도 

바람 
보이지 않아도 
풀잎을 흔들고 

태풍 
보이지 않아도 
나무를 흔들고 

너 
보이지 않아도 
나를 흔들고 

보이지 않은 게 
보이는 것보다 
힘이 더 세다. 
(정갑숙·아동문학가) 


+ 바람 - 2 

실바람으로 
나무둥치 간질일 순 있어도 

구름자락 불러다 
해와 달과 별들 가릴 순 있어도 

땅덩이 뒤덮는 
태풍이 될 순 있어도 

들어가 잠잘 
제 집은 없다. 
(신새별·아동문학가, 1969-) 


+ 바람 떠안기 

거센 바람이 
강을 건너 달려옵니다. 
나무들이 제일 먼저 
그 바람의 무게를 
온 몸으로 떠안습니다. 
다음으로 
키 큰 수수밭의 수수들이, 
그 다음으론 수수이랑 곁의 
푸른 쑥대들이 
바람의 무게를 조금씩 조금씩 
떠안습니다. 
그리곤 메밀밭을 돌아 
담장 밑의 작은 풀꽃, 
그 위에 앉았을 땐 
바람은 멧새 깃털처럼 작아졌습니다. 
(권영상·아동문학가) 


+ 꽃과 바람 

바람은 
꽃을 몹시 부러워한다. 

꽃은, 
파랑 
노랑 
빨강 
어느 빛깔 부러울 것 없을 만큼 
온갖 빛깔 다 있는데 

바람은 
그 고운 빛깔이 없다. 

그래서 
바람은 심술을 낸다. 

꽃필 무렵이면 
꽃샘을 하고, 

잎 필 무렵이면 
잎샘을 해도 

착한 꽃들은 
바람을 미워하지 않는다. 

얼마나 부럽기에 
저렇게 심술이 났나 하고… 

언제나 
웃는 얼굴로 

꽃은 
바람을 맞이하고 
바람을 배웅하고. 
(김월준·아동문학가)  


+ 여름 

숲에 가면 
바람이 많이 이는 건 

햇볕이 뜨거워 
바람도 
몸을 식히러 온 때문이다. 

때론 
소풍 가듯 
바람도 쉬고 싶은 것이다. 

계곡 물에 
찰방찰방 발 담그고 있다가 

마냥 놀아선 안 되지 
바람은 
마을로 내려간다. 
(정세기·아동문학가, 1961-2006) 


+ 게으름뱅이 

부지런한 햇살이 
젖은 빨래 찾아다니며 
단물을 쪼옥 
빨아먹고 간 뒤 
뒤늦게 달려온 
목마른 바람이 
물기 없는 
빨래를 만져보고 
이마를 탁탁 치며 돌아갑니다 
(신천희·승려이며 아동문학가) 


+ 친해지고 싶어 

바람은 
친해지고 싶은지 
나에게 자꾸 
말을 건네요. 

슬며시 머리카락도 
쓰다듬어 보고 
볼도 사알짝 어루만지고 
옷깃도 자꾸 잡아당기고 

내가 모른 척하면 
몸을 세게 흔들기도 하지요. 

나도 바람을 느끼고 싶어 
깊게 숨을 들이마셨습니다 

친해지고 싶어서 
양팔을 활짝 벌렸습니다. 

바람이 내 가슴속으로 쑤욱 들어왔습니다. 
(오지연·아동문학가, 제주도 출생) 


+ 우리 동네 문제아 

골목대장이 된 바람을 따라 
온 동네를 휩쓸고 다니는 
우리 동네 문제아 

비닐봉지 
신문지 
음료수 캔 
(김혜경·아동문학가) 


+ 바람이 자라나 봐 

잔디밭에서 
앙금앙금 
기어다니던 
봄바람이 

나뭇가지에 매달려 
푸름푸름 
그네를 타던 
여름 바람이. 

낙엽을 몰고 
골목골목 
쏘다니던 
가을 바람이 

어느새 
매끄러운 얼음판을 
씽씽 내닫는 걸 보면 
바람도 우리들처럼 
무럭무럭 자라나 봐. 
(김지도·아동문학가)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850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동시란 "어린이"라고 해요... 2017-11-13 0 3284
849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동시쓰기에 최고가 될수 있어요... 2017-11-13 0 3007
848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동요 동시를 자꾸 써봐야해요... 2017-11-13 0 2772
847 [작문써클선생님께] - 동요 동시에 "꼬까옷" 입히기... 2017-11-13 0 3078
846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이야기 시"란?... 2017-11-13 0 3205
845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유아들에게 읽어줘야 할 동시류형... 2017-11-13 0 3402
844 동시야, 동시야, 어디에 숨었니... 머리꼬리 보인다야... 2017-11-13 0 3092
843 [노벨문학상과 시인]-"20세기후반 영어권에서 추앙"되는 시인 2017-11-13 0 3023
842 [노벨문학상과 시인] - "설교하지 않는" "언어봉사" 교수 시인... 2017-11-13 0 3060
841 [노벨문학상과 시인] - "아프리카인과 유럽인"을 넘나든 시인 2017-11-13 0 3360
840 윤동주눈 "나"를 고백한 시, "너머"를 상상한 시를 쓰다... 2017-11-13 0 2492
839 시작할때 형이상학적 이미지들 언어로 시적성채를 빚어야... 2017-11-13 0 3075
838 우리가 전혀 몰랐던 지구 반대편 아메리카의 시단 알아보기... 2017-11-13 0 2165
837 [노벨문학상과 시인] - 라틴아메리카 대표적인 "외교관"시인... 2017-11-13 0 3473
836 시야, 시야, 넌 도대체 무엇이니?!... 2017-11-13 0 2380
835 시는 "경계의 눈"을 가진 비평가를 만나는것이 즐거운 일이다... 2017-11-13 0 2184
834 시작은 하찮은것에서 소중한것을 길어내야... 2017-11-13 0 2354
833 [노벨문학상과 시인] -"서정적 비가"시인, "학교중퇴생" 시인... 2017-11-13 0 2348
832 [노벨문학상과 시인] - 초현실주의적 "외교관" 시인... 2017-11-13 0 2260
831 [노벨문학상과 시인] - "인민시인"으로 추대되였던 시인... 2017-11-13 0 2001
830 시의 령혼이 빛나고 있는 곳은 실재계, 상징계, 영상계에 있다 2017-11-10 0 2179
829 [노벨문학상과 시인] - 력사를 "시적인 론문"으로 쓴 시인... 2017-11-06 0 4539
828 [노벨문학상과 시인]젊은이들속 "음유시인"으로 알려진 시인... 2017-11-06 0 3790
827 [노벨문학상과 시인] - "자유시의 대가"인 시인... 2017-11-05 0 3527
826 [노벨문학상과 시인] - 음악가로부터 문학의 길을 택한 시인 2017-11-05 0 3939
825 [노벨문학상과 시인]소설가인 년상(年上) 녀인과 재혼한 시인 2017-11-05 0 4273
824 문인들 컴퓨터의 노예가 되다... 2017-11-03 0 3525
823 "가짜 詩"와 "진짜 詩"... 2017-11-03 0 4971
822 [노벨문학상과 시인]"유대인 민족의 비극을 대변한" 녀류시인 2017-11-03 0 3496
821 [노벨문학상과 시인] - "촉망되는, 촉망받은" 외교관 시인 2017-11-02 0 3489
820 [노벨문학상과 시인] - 고향을 "서사적인 힘"으로 노래한 시인 2017-11-02 0 3454
819 [그것이 알고싶다] - 일본 녀고생들은 윤동주를 어떻게 볼가?... 2017-11-02 0 2346
818 "배추잎같은 엄마의 발소리 타박타박"... 2017-11-01 0 2827
817 [노벨문학상과 시인] - 중국 상하이, 베이징 주재 외교관 시인 2017-10-31 0 3707
816 [노벨문학상과 시인] - "모더니즘 시인들 운동"의 지도자 시인 2017-10-31 0 3800
815 [노벨문학상과 시인] "벌거벗은 시"로 리행과 리정표가 된 시인 2017-10-31 0 3393
814 시인 윤동주 탄생 100주년 기념메달 출시되다... 2017-10-31 0 2149
813 시성 타고르의 시와 그리고 오해, 진실... 2017-10-30 0 4018
812 천년의 그리움이 만년의 강 따라 흐르고... 2017-10-30 0 3167
811 [노벨문학상과 시인] - 아세아인 최초로 노벨상을 탄 시인 2017-10-30 0 4427
‹처음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