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11월 2024 >>
     12
3456789
10111213141516
17181920212223
242526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종달새
2018년 12월 21일 23시 37분  조회:3627  추천:0  작성자: 죽림

윤동주 /종달새

 

종달새는 이른 봄날

질디진 거리의 뒷골목이

싫더라.

명랑한 봄 하늘,

가벼운 두 나래를 펴서

요염한 봄노래가

좋더라.

그러나 ,

오늘도 구멍 뚫린 구두를 끌고,

훌렁훌렁 뒷거리 길로

고기새끼 같은 나는 헤매나니

나래와 노래가 없음인가.

가슴이 답답하구나.

 

이 시는 이른 봄에 하늘을 날며 봄노래를 부르는 종달새와는 달리
진 거리의 뒷골목을 헤메는 화자의 답답한 마음을 말하고 있다.

 

이 시의 전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봄이 왔다. 종달새는 이른 봄날에 질디진 거리의 뒷골목이 싫어 명랑한 봄 하늘을 가벼운 두 나래를 펴서 나른다.
종달새는 요염한 봄노래가 좋아서 노래를 부른다. 그러나, 나는 오늘도 구멍 뚫린 구두를 끌고,
질디진 땅에 훌렁훌렁 구두가 벗겨지는 뒷거리 길을 고기새끼처럼 헤맨다.
종달새처럼 나래와 노래가 없기 때문인가? 가슴이 답답하다.

 

이 시를 구절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달새>는 화자가 부럽게 생각하는 존재이다. 이른 봄날 명랑한 봄의 하늘을 요염한 노래를 마음껏 부르는 존재이다.
이에 비하여 화자는 진창인 거리의 뒷골목을 헤매며 다니며 답답해하고 있다.

 

‘종달새는 이른 봄날 / 질디진 거리의 뒷골목이 / 싫더라. /
명랑한 봄 하늘, / 가벼운 두 나래를 펴서 / 요염한 봄노래가 / 좋더라.’는
이른 봄날에 진창인 거리의 뒷골목을 싫어하고 명랑한 봄의 하늘을 가벼운 두 날개를 펴서 날면서
요염한 봄노래를 좋아서 부르고 화자도 그 모습이 좋다는 말이다.
‘질디진 거리의 뒷골목’은 명랑한 봄 하늘’과 대조되는 곳으로 화자가 살고 있는 현실을 의미한다.
진창인 곳으로 살기가 힘든 삶을 상징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 오늘도 구멍 뚫린 구두를 끌고, / 훌렁훌렁 뒷거리 길로 /
고기새끼 같은 나는 헤매나니 / 나래와 노래가 없음인가. / 가슴이 답답하구나.’는
종달새와는 달리 화자인 나는 오늘도 구멍 뚫린 구두를 신고 진창으로 인하여
훌렁훌렁 벗겨지는 진창인 뒷거리 길을 헤매면서 마음이 답답한 상황인데
그 이유가 종달새와는 달리 날개와 노래가 없어서 그런 것인가 생각하고 있다.
‘그러나’는 종달새와는 대조적인 상황에 있는 화자의 처지를 말하기 위한 접속사이다.
‘오늘도 구멍 뚫린 구두를 끌고’에서 ‘구멍 뚫린 구두’는 화자의 경제적인 상황이 매우 어려움을 나타내면서
화자의 신분이 구두를 신고 다녀야 되는 신분임을 알려주고 있다.
‘구멍 뚫린 구두’는 진창을 헤맬 때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구멍을 통해서 진창물이 들어오기 때문이다.
화자는 ‘구두를 끌고’라고 한다. 그 이유는 구두가 헐렁하기 때문이다.
진창에 구두가 빠져서 ‘훌렁훌렁’ 벗겨지니 끌고 다녀야한다.
‘뒷거리 길로 / 고기새끼 같은 나는 헤매나니’는 화자가 가는 ‘뒷거리 길’이 물이 흥건한 상태임을 말한다.
그래서 그 흥건한 물이 있는 진탕을 헤매는 자신을 ‘고기새끼’라고 표현한 것이다.
‘헤매나니’는 화자가 방향을 잃었음을 말한다. 삶의 방향을 잃고 힘든 삶을 살고 있는 것이다.
화자는 이러한 상황에서 ‘가슴이 답답하’다. 그러면서 ‘질디진 거리의 뒷골목’을 헤매는 이유를 생각한다.
그리고 그 이유가 종달새와는 달리 ‘나래와 노래가 없’기 때문인 것인가를 생각한다.
그렇다면 화자의 다음 행동은 종달새처럼 명랑한 하늘을 날을 ‘나래’를 갖고 요염한 ‘노래’를 찾고 익히고 불러야하는 것이다.
계절의 봄은 왔건만 화자가 바라는 봄은 오지 않은 것이다. /전한성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330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창구멍 2018-12-20 0 2651
132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병아리 2018-12-19 0 2680
1328 윤동주와 꿈 2018-12-19 1 2617
1327 ... 2018-12-19 0 3067
1326 ... 2018-12-19 0 2385
1325 ... 2018-12-18 0 2809
1324 ... 2018-12-18 0 2406
1323 ... 2018-12-18 0 2510
1322 ... 2018-12-18 0 2613
1321 ... 2018-12-18 0 2440
1320 ... 2018-12-18 0 2688
1319 시 한수에 그림책 한부 나오다니... 2018-12-18 0 2755
1318 ... 2018-12-18 0 2429
1317 ... 2018-12-18 0 3191
1316 {자료} - 해방전 조선인 시선 2018-12-17 0 3025
1315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꿈은 깨여지고 2018-12-17 0 2948
1314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봄(2) 2018-11-30 0 6502
1313 윤동주와 "이상한 주사" 2018-11-30 0 3036
1312 [작문써클선생님께] - 시를 어떻게 쓸가ㅠ.. 2018-11-27 0 3513
1311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산울림 2018-11-27 0 3384
1310 윤동주와 "원산 송도원" 2018-11-26 0 3801
130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바다 2018-11-26 0 3329
1308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비로봉 2018-11-25 0 3235
1307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산협의 오후 2018-11-25 0 3478
1306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서시" 분석 2018-11-25 0 4182
1305 윤동주, 그 뒷이야기???... 2018-11-24 0 3108
1304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개(2) 2018-11-24 0 2963
1303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나무 2018-11-23 0 2506
1302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황혼이 바다가 되여 2018-11-20 0 3388
1301 백두산 / 조기천 2018-11-18 0 3072
1300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둘 다 2018-11-17 0 3126
1299 "한국의 안데르센" - 강소천 2018-11-17 0 2591
1298 윤동주와 강소천 2018-11-17 0 4528
1297 {자료} - 남영전시인이 보는 중국조선족문학 2018-11-17 0 2521
1296 윤동주가 좋아했던 아동문학가 - 윤석중 2018-11-16 0 2617
1295 윤동주와 윤석중 2018-11-15 0 3086
1294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아침 2018-11-15 0 3188
1293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겨울 2018-11-15 0 3122
1292 한춘&김혁 2018-11-15 0 2514
1291 리상(이상)이 동시를 썼다???!!! 2018-11-14 0 2547
‹처음  이전 2 3 4 5 6 7 8 9 10 11 12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