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토템과 남영전 시인 6
2020년 07월 18일 00시 03분  조회:3314  추천:0  작성자: 죽림

지상토론(6)인간 존재의 근원 의식의 뿌리를 더듬어

편집/기자: [ 리철수 ]  [ 길림신문 ] [ 2020-07-02 ] 

맑게 개인 밤하늘에서는 수많은 별들이 각자 자기 길을 가면서 서로 인사를 나누며 밤새 이야기꽃을 피운다. 아침이면 사계절에 따라 진달래, 개나리, 라일락, 백일홍, 들국화…들이 다투어 피여서 이 지구의 모퉁이들을 환히 밝혀주고 있다.

그런가 하면 양, 소, 말, 닭, 개 등 가축가금들이 뒤뚱거리며 생명활동을 이어가고 있으며 정글에서는 코뿔소, 표범, 이리 등 야생동물들이 그 신성한 존재를 알리고 있으며 하다 못해 발아래를 잘 살펴보면 개미들도 부지런히 움직이면서 생명의 노래를 힘차게 부르고 있다.

그렇다. 지구라는 이 푸른 별에서는 왕성한 생명활동들이 벌어지고 있으며 그런 생명들은 각자 나름대로의 존재의 리유를 가지고 이 지구촌에 더욱 생기를 북돋아주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문명시대에 접어들면서 인류를 계속 괴롭혀오는 명제가 있다. 그것이 바로 저 유명한 <우리는 어디서 왔으며 우리는 누구이며 우리는 어디로 가고 있는가>라는 질문이다. 인간이라면, 지성적인 인간이라면 누구라도 한번쯤 고민해봤을 법한 이 질문은 바로 인간 존재의 근원이자 의식의 뿌리를 찾아보려는 인류의 모지름에 다름아닌 것이다.

문학의 아버지로서 시 역시 이와 같은 질문에 대한 끊임없는 탐구와 고민을 숙명적인 숙제로 떠안고 그것을 풀어나가기 위해 어제도 오늘도 앞으로도 계속 탐구에 탐구를 거듭해왔고 하고 있으며 해나가야 할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토템문화에 대한 연구는 매우 필요하며 어쩌면 상기 원색적인 질문에 가장 근접하는 접근법이 아닐가 싶다.

개혁개방과 더불어 신주의 대지에 세차게 불어쳤던 상처문학, 뿌리찾기, 의식의 흐름 등 사조들도 나름 인류의 존재 근원과 의식의 뿌리를 찾기 위한 몸부림이였을 것이고 자아성찰을 위한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출현은 굉장히 자연스러운 일이라 해야겠다.

그러나 남들이 모두 큰 흐름을 따라갈 때 조선족 저명한 시인인 남영전선생은 토템문화연구를 평생의 연구테마로 삼고 토템문화를 연구하는 한편 그에 걸맞는 토템시들을 륙속 펴내 장안의 화제가 되기도 했다. 남시인의 토템문화연구는 마침내 중국문단을 놀래웠고 학계를 놀래웠다. 그리하여 남영전현상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였고 각종 연구서적들이 출판되였으며 전문세미나들도 줄기차게 열려왔었다.

그렇다. 우리(인류)는 과연 어디서 왔으며 어디로 가고 있으며 우리는 누구란 말인가? 이 명제는 시가 탐구해야 할 영원한 주제일 뿐만 아니라 문학에서도 광범위하게 론의되여야 할 과제이며 문명사회에서는 더욱 보편적으로 거론되고 연구되여야 할 테마인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남영전 시인의 토템시 및 토템문화연구는 일독을 권장할만한 연구성과라 할 수 있다.

/한영남(흑룡강조선민족출판사 편집, 《민족문학》상, 연변작가협회 진달래문학상 수상)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210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동시를 잘 지으려면?... 2017-02-08 0 3307
209 젓가락 두짝 = ㅣㅣ톡!.. ㅣ ㅣ톡!... 2017-02-08 0 2572
208 하늘 날던 새가 땅을 내려다보며 왈; ㅡ질서 공부 좀 해... 2017-02-08 0 2488
207 눈사람 왈; ㅡ느네집 따듯하니?... 2017-02-08 0 2385
206 역술(易術), 학술(學術), 의술(醫術), 시술(詩術), 저술(著術)... 2017-02-08 0 3627
205 시인은 시작에서 첫행을 어떻게 잘 쓸것인가를 늘 고민해야... 2017-02-08 0 2809
204 시의 제목에서도 이미지가 살아 있어야... 2017-02-08 0 2817
203 두보, 그는 두보, 두보인거야... 2017-02-08 0 4150
202 가난은 시로 가난을 못막는다?... 2017-02-08 0 3895
201 담시(談詩)란 서사시 범주에 속하는 이야기시이다... 2017-02-07 0 2686
200 패러디할 때 원작을 충분히 존중해야... 2017-02-07 0 3197
199 시의 제목을 무제(無題) 혹은 실제(失題)라고도 달수 있다... 2017-02-07 0 2680
198 시의 제목은 바로 시의 얼굴... 2017-02-07 0 3104
197 [이것이 알고싶다] - "아버지"와 "어머니" 유래 2017-02-05 0 2937
196 [이것이 알고싶다] - "~습니다"의 유래 2017-02-05 0 2942
195 시를 쓰는 사람은 많지만 시를 읽는 사람은 많을손가 많지않도다... 2017-02-05 0 3021
194 시는 벼락치듯 독자들을 전률시켜야... 2017-02-05 0 2910
193 109명 현역시인과 "최고의 시구"(2) 2017-02-05 0 3013
192 109명 현역시인과 "최고의 시구"(1) 2017-02-05 0 3074
191 시인에게시를 묻다... 2017-02-05 0 2703
190 좋은 시의 조건 10 2017-02-05 0 3026
189 "사랑하라 그러면 시는 써질지니..." 2017-02-05 1 2618
188 중국 唐代 녀류시인들 思夫曲 알아보다... 2017-02-05 0 2922
187 [자료] - 중국 현대시의 일단면 /이육사 2017-02-05 0 3765
186 "한반도의 반쪽 반도"의 현대시 문제점을 알아보다... 2017-02-05 0 2810
185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침묵" 명언모음 2017-02-05 0 3021
184 100명 詩民, 100년 詩人 노래하다... 2017-02-05 0 2792
183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덮혀"와 "덮여", "높히다"와 "높이다" 2017-02-04 0 3269
182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주락펴락"과 "쥐락펴락" 2017-02-04 0 2744
181 시는 아름답기만 해서는 모자라고 독자들의 령혼을 뜻대로 쥐락펴락 해나감과 동시에 독자들의 마음을 뒤흔들어야... 2017-02-04 0 2917
180 그 무슨 사건, 그 무슨 혁명, 그 무슨 전쟁과 詩는 싸워야... 2017-02-04 0 3007
179 [시문학소사전] - "판타지"란?... 2017-02-04 0 4212
178 동시의 상상력과 그리고 동시의 "판타지" 세계 2017-02-04 0 3106
177 시적 상상력으로 즐거움을 찾기... 2017-02-04 0 4125
176 시에서 아이디어를 얻을수 없다?... 있다!... 2017-02-04 0 2568
175 "립춘대길" = <봄맞이 시모음> 2017-02-04 0 2631
174 "동시집"을 돗자리로 깔고 "동시놀이" 알콩달콩 하자야... 2017-02-04 0 2641
173 쇠사슬은 노예의 령혼까지 묶어 놓는다... 2017-02-04 0 2844
172 시를 말하는 산문, 산문으로 된 시 2017-02-04 0 2382
171 모든 시관(詩觀)은 그 시인의 우주관에서 비롯된다... 2017-02-04 0 2632
‹처음  이전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