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부 부부상
               (박재삼)

흥부 부부가 박덩이를 사이 하고
              가난한 삶
가르기 전에 건넨 웃음살을 헤아려 보자
웃음의 물살 --> 안분지족의 서민의 삶
이 문제리.
금 보다도
황금 벼이삭이 문제리,
누렇게 익은 벼이삭보다도
웃음의 물살이 반짝이며 정갈하던
그것이 확실히 문제다
박덩이가 좋아서 웃는 순수한 웃음
박덩이를 사이 한 흥부 부부의 정갈한 웃음

없는 떡방아 소리도
있는 듯이 들어 내고
손발 닳은 처지끼리

같이 웃어 비추던 거울면들아.
서로 함께 웃어 마치 거울 면과도 같은 이들아
가난하지만 서로를 잘 이해하는 흥부 부부

웃다가 서로 불쌍해
서로 
구슬을 나누었으리
      눈물 --> 연민의 눈물
그러다 금시
절로 면에 온 구슬까지를 서로 
부끄리며
                             부끄러워 하며
먼 물살이 가다가 소스라쳐 반짝이듯
                     깜짝 놀라 몸을 떨며
서로 소스라쳐
본웃음 물살을 지었다고 헤아려 보라
눈물을 극복한 후의 웃음
그것은 확실히 문제다
가난한 삶의 한까지도 진정한 사랑으로 극복하고자 하는 삶의 자세
흥부 부부의 진정어린 눈물과 웃음

 [개관정리] 
◆ 성격 : 전통적, 인유적, 회상적 
◆ 표현 : 인유(허구적이든 실제적이든, 유명한 인물이나 고사나 문구를 따오는 문학적 기교) 
             상징(인유의 형태를 빌어서, 물질 숭배에 젖어 있는 인간상과는 달리, 정신적 행복을 추구하는 소박한 인간상을 암시) 
             묘사적 심상 
◆ 중요시어 및 시구풀이 
    * 박덩이 → 가난한 생활의 상징 
    * 가르기 전에 건넨 웃음살 → 안분지족할 줄 아는 서민들의 삶을 느끼게 해주는 웃음. 
                                               가난하지만 사심이 없는 웃음의 아름다움 
    * 그것이 → 가난하지만 사심이 없는 소박한 삶의 태도 
    * 없는 떡방아 소리도 / 있는 듯이 들어 내고 → 먹을 것이 없는 적빈(赤貧)의 상황에서도 사랑으로 소박한  행복을 누리며 살아가는 모습을 그린 부분. 
    * 거울면들 → 서로에 대한 이해와 사랑으로 살아가는 흥부 부부를 가리키는 말. 
                        마치 거울에 자신의 얼굴을 비추어 보는 것처럼, 서로에 대한 이해와 사랑으로 닮아가는 사람. 
    * 웃다가 서로 불쌍해 / 서로 구슬을 나누었으니 → 가난한 생활 속에서 서로에 대한 연민으로 눈물을 흘림 
    * 본웃음 물살 → 눈물을 극복한 후의 진정한 웃음 
    * 그것은 확실히 문제다 → 단순히 소박한 생활에 만족하는 차원이 아니라, 가난한 삶의 한까지도 진정한 사랑으로 극복하고자 하는 삶의 자세가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임을 단정적인 어조로 나타낸 표현임.
◆ 주제 : 가난한 흥부 부부의 삶의 애환과 소박한 행복
    [시상의 흐름(짜임)] 
◆ 1연 : 박덩이를 사이에 둔 흥부 부부의 정갈한 웃음살 
◆ 2연 : 서로에 대한 이해와 사랑 
◆ 3연 : 흥부 부부의 진정한 눈물과 웃음
[이해와 감상의 길잡이]
이 시는 가난으로 인한 한(恨)을 지니면서도 그것을 사랑으로 극복해 내는 서민들의 삶의 애환을 박 타는 '흥부 부부'를 소재로 하여 표현하고 있다.
제 1연에서 흥부 부부는 안분지족(安分知足)하며 행복한 웃음을 짓고 사는 인간상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시적 화자는 이러한 인간상을 소중하다고 단정적으로 말한다. 제 2연에서는 시적 화자는 가난 속에서도 서로를 이해하면서 살아 온 흥부 부부를 서로의 '거울'과도 같은 존재로 일컫고 있다. 제 3연에서는 시적 화자는 흥부 부부가 가난 생활에서 오는 한을 사랑으로 극복하였음을 말해 준다.
구체적으로 시적 화자는 가난으로 인한 고통 속에서 흥부 부부가 서로 울었을 것이라고 추측한다. 그러한 울음은 바로 가난으로 인한 한(恨)을 가리킨다. 그러나 흥부 부부는 그러한 울음을 불현듯 느껴지는 서로에 대한 사랑 속에서 웃음으로 승화시킨다. 이 시가 궁극적으로 주장하고 있는 것은 가난한 삶의 애환과 그 극복이다. 이를 위해서 시인은 흥부 부부의 '웃음'을 '물살'에 비유하고 있다. 물론, 그 '물살'은 '한'을 바탕으로 하는 것이다. 결국, 이 시에서 '한(눈물)'과 '웃음'은 서로 혼융되어 있는데, 시인은 이러한 비유를 통해서 서민들의 삶의 애환을 복합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흥부전의 권선징악(勸善懲惡)이라는 비교적 단순한 주제를 변형하여 행복의 의미를 추구하고 있다. 행복이란 흥부가 보답을 받아 부자가 되기 이전 가난한 때, 부부간에 존재하던 진정한 사랑을 간직한 바로 그 때 존재한다는 것이다. 박을 타려 할 때의 순수한 웃음, 없는 떡방아 소리로 듣던 순수한 사랑, 마주보며 웃음을 나누고 또한 상대와 슬픔을 함께하며 부끄러운 마음을 간직한 그 때가 진정으로 아름다운 것이 아니겠는가고 시인은 질문하고 있다. 황금보다도 벼이삭보다도 더욱 소중한 것이 부부간의 진정한 사랑이며, 물욕 이전의 인간의 순수함이 진실된 것이라는 가치관을 보여 주고 있다
 

관련 Q&A

질문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