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6월 2024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29
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시인 지구촌

현대詩史에 수많은 활구(活句)를 낳다...
2016년 01월 09일 04시 39분  조회:3812  추천:0  작성자: 죽림
 

 서정주 ‘冬天(동천)’
 

 
 
 

 

 

내 마음 속 우리님의 고은 눈썹을 

즈믄 밤의 꿈으로 맑게 씻어서 

하늘에다 옮기어 심어 놨더니 

동지 섣달 나르는 매서운 새가 

그걸 알고 시늉하며 비끼어 가네 
 
-----------------------------------------------------------------------
 
 
 
겨울 밤하늘을 올려 본다. 얼음에 맨살이 달라붙듯 차갑고 이빨은 시리다. 문득 궁금해진다. 미당(未堂) 서정주 시인은 왜 한천(寒天)에 사랑의 일과 사랑의 언약과 사랑의 얼굴을 심어 두었을까. 손바닥으로 쓸어보아도 온기라고는 하나 없는 그곳에 왜 하필 사랑을 심어 두었을까. 매서운 새조차 ‘비끼어 가’는 사랑의 결기를 심어 두었을까. 

생심(生心)에 대해 문득 생각해본다. 처음으로 마음이 생겨나는 순간을 생각해본다. 무구한 처음을, 손이 타지 않아서 때가 묻지 않은 처음을. 부패와 작파가 없는 처음을. 신성한 처음을. 미당이 한천을 염두에 둔 것은 처음의 사랑과 처음의 연민과 처음의 대비와 처음의 그 생심이 지속되기를 바랐기 때문은 아니었을까. ‘심어 놨’다고 한 까닭도 생심 때문이 아니었을까. 심는다는 것은 생육(生育)한다는 것 아닌가. 여리디 여린 것, 겨우 자리 잡은 것, 막 숨결을 얻은 것, 젖니 같은 것 이런 것이 말하자면 처음이요, 생양해야 할 것들 아닌가. 미당은 초승달이 점점 충만한 빛으로 나아가듯 처음의 사랑 또한 지속되고 원만해지기를 기도했는지도 모를 일이다. 

미당의 시에는 생명 없는 것을 생장시키는 독특한 영기(靈氣)가 서려 있다. 그는 시 ‘첫사랑의 詩’에서 ‘초등학교 3학년때 / 나는 열두살이었는데요. / 우리 이쁜 여선생님을 / 너무나 좋아해서요. / 손톱도 그분같이 늘 깨끗이 깎고, / 공부도 첫째를 노려서 하고, / 그러면서 산에가선 산돌을 줏어다가 / 국화밭에 놓아 두곤 / 날마다 물을 주어 길렀어요.’라고 하지 않았던가. 산돌을 주워 와서 물을 주어 길렀듯이 이 시에서도 미당은 ‘고은 눈썹’을 생장시키는 재기를 보여준다. 

미당의 시에는 유계(幽界)가 있다. 그는 ‘무슨 꽃으로 문지르는 가슴이기에 나는 이리도 살고 싶은가’라며 황홀을 노래했지만 그는 우주의 생명을 수류(水流)와 같은 것으로 보았다. 흘러가되 윤회하는 것으로 보았다. 이 운행에서 그는 목숨 받은 이들의 만나고 헤어지는 일을 노래했다. 목숨 없는 것에는 목숨의 숨결을 불어 넣었다. 미당의 시의 최심(最深)은 삶 너머의 이승 이전의 유계를 돌보는 시심에 있다. 이 광대한 요량으로 그는 현대시사에 수많은 활구(活句)를 낳았다. 

(문태준·시인)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162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722 詩碑에 是非를 걸다... 2015-09-17 0 3921
721 조선족문학의 개념에 대하여 2015-09-17 0 4218
720 김철 / 장춘식 2015-09-17 0 4511
719 김창영 / 장춘식 2015-09-17 0 4111
718 리옥금 / 장춘식 2015-09-17 0 4318
717 고 송정환 / 장춘식 2015-09-17 0 4167
716 연변지역 시문학 뿌리 및 그 현황 2015-09-17 0 4078
715 한영남 / 장춘식 2015-09-17 0 3596
714 전춘매 / 장춘식 2015-09-17 0 3914
713 ...끝 2015-09-17 0 5027
712 ...이어서 2015-09-17 0 3899
711 ...계속 2015-09-17 0 4156
710 ...이어서 2015-09-17 0 3875
709 ...계속 2015-09-17 0 4230
708 일제 강점기 조선족 시문학 2015-09-17 0 3877
707 리육사의 <<로신추도문>> 2015-09-16 0 5353
706 당신도 디카시 시인 2015-09-12 0 4140
705 <사진> 시모음 2015-09-12 0 4288
704 디카시 모음 2015-09-12 0 3774
703 디카시란? 2015-09-10 0 4145
702 하이퍼시 - 역설의 시 2015-09-10 0 3588
701 하이퍼시 창작기법 2015-09-09 1 3847
700 하이퍼시의 목표 - 고정틀 벗어나기 2015-09-09 0 4113
699 하이퍼시 - 새롭게 디자인한 시 2015-09-09 0 3977
698 하이퍼시란? 2015-09-09 1 3616
697 글쓰기 0도 2015-09-09 0 3377
696 패러디(모방, 표절, 도작...)문학을 인정하느냐 마느냐가 "문제"면 "문제"로다... 2015-09-07 0 3841
695 ...계속 2015-09-07 0 3476
694 남영전 / 최룡관 2015-09-07 0 3493
693 한춘시평 2015-09-07 0 3405
692 토템시에 한마디 2015-09-07 0 3703
691 토템시 - 민족문화브랜드 2015-09-07 0 4804
690 감자 캐는 즐거운 농부 - 남영전시인 2015-09-07 0 3366
689 ...계속 2015-09-07 0 4709
688 남영전 / 김관웅 2015-09-07 1 3928
687 민족문화의 뿌리를 찾아서 2015-09-07 0 3513
686 중국 조선족 시문학의 위상(자료) 2015-09-07 0 4295
685 중국 조선족시문학 정초자 - 리욱 2015-09-07 0 4330
684 시의 가치란? 2015-09-06 0 4219
683 이승훈 시론 2015-09-06 0 3710
‹처음  이전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