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한밤중 아롱다롱 詩한컷 보내드리꾸이]- 모란 동백
2016년 04월 02일 22시 25분  조회:4717  추천:0  작성자: 죽림
김영랑, 조두남, 모란, 동백
- 이제하(1937~ )


기사 이미지

 
모란은 벌써 지고 없는데 먼 산에 뻐꾸기 울면

상냥한 얼굴 모란 아가씨 꿈속에 찾아오네

세상은 바람 불고 고달파라,

나 어느 변방에

떠돌다 떠돌다

어느 나무 그늘에

고요히 고요히 잠든다 해도

또 한 번 모란이 필 때까지

나를 잊지 말아요

(…)




가수 조영남이 ‘모란동백’이라는 제목으로 다시 불러 널리 알려진 이 시는 1998년에 작가 이제하가 작시는 물론 작곡·노래까지 해서 세상에 처음 내놓았다. 그는 지금도 시·소설·그림·음악·영화 등 장르를 마구 넘나들며 ‘전방위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팔순의 나이에도 그의 자유로운 영혼은 그냥, 계속 자유롭다. 수많은 가객들이, 시인들이 삶의 아름답고 쓸쓸한 여울에서 이 노래를 부른다. 고달픈 세상과 꽃 그리고 적멸(寂滅)과 그리움이 한꺼번에 어우러져 이 시는, 노래는, 그냥, 온전히, 시다.

<오민석·시인·단국대 영문학과 교수>
------------------------------------------------------------


 

모란,동백

 

노래 이제하

詩,曲 이제하

편곡 이재진

노래 조영남

 

 

 

 

모란은 벌써 지고 없는데
먼산에 뻐꾸기 울면
상냥한 얼굴 모란 아가씨
꿈속에 찾아오네

세상은 바람불고 고달파라,나 어느 변방에
떠돌다 떠돌다 어느 나무 그늘에
고요히 고요히 잠든다해도
또 한번 모란이 필때까지
나를 잊지 말아요

 

 

동백은 벌써 지고 없는데
들녘에 눈이 내리면
상냥한 얼굴 동백 아가씨
꿈속에 웃고 오네
세상은 바람불고 덧 없어라, 나 어느 바다에
떠돌다 떠돌다 어느 모랫벌에
외로이 외로이 잠든다해도
또 한번 동백이 필 때까지
나를 잊지 말아요

 

 

 


- 이제하(李祭夏 시인, 소설가) -

-------------------------------------------------------------


<노을>
시 서정주
노래 이제하

노들 강물은 서쪽으로 흐르고
능수버들엔 바람이 흐르고
새로 꽃이 핀 들길에 서서
눈물 뿌리며 이별을 하는
우리 머리 위에선 구름이 흐르고
붉은 두 뺨도 헐떡이던 숨결도
사랑도 맹세도 모두 흐르고
나뭇잎 지는 가을 황혼에
홀로 봐야 할 연지빛 노을



///
...

이제하 시인의 삽화에 등장하는 소녀나 여인 표정이 참 순한 것.
결국은 작가의 심성이 저렇게 표현되는 것이 아닐까...



이런 삽화도 분위기가 그냥 맘에 듭니다. 굳이 설명이 없어도 정말 좋은 그림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제하 시인의 그림에 말이 자주 등장하는 것에 대해 이러저러하다는 설명도 있습니다만,
굳이 설명 없이도 그냥 좋습니다.





이제하(李祭夏)

1937년 4월 20일 경상남도 밀양에서 출생.
1956년 마산고교를 거쳐 홍익대학교 조각과에 입학했으나 곧 중퇴하고 1961년 홍익대학교 서양화과 3학년에 다시 편입하였다.
1956년 《새벗》에 동화 《수정구슬》이 당선되었으며, 아동문학가 강소천을 만나 정신적인 영향을 받았다.
1957년 미당 서정주의 추천을 받아 《현대문학》에 시 《노을》 등을 발표하였다.
1958년 《소설계》에 소설 《나팔산조》가 준당선되었으며, 이 무렵 작가 포크너와 카뮈, 그리고 표현주의와 초현실주의에 심취해 있었다.
1959년 《신태양》에 소설 《황색의 개》가 당선되고, 《현대문학》 등 잡지에 시를 발표하기 시작하였다.
1961년 한국일보 신춘문예에 소설 《손》이 입선되고, 표현주의풍의 단편 《축하회의 선생님》을 발표하였다.
시인으로 등단한 후 창작영역을 넓혀 소설·그림·영화를 넘나드는 '전방위 예술가'로 불린다.
문학과 미술이라는 전혀 다른 장르를 넘나들며 활발히 활동하여 독특한 성취를 이룬 데에는 나름대로의 이유가 있었다.
청년기 때 미술에 심취한 것은 표현주의와 초현실주의 같은 서양의 첨단 사조(思潮)를 문학보다 더 먼저 흡수하기 위해서였다.
미술사조에서 보이는 강조와 변형 기법을 적극적으로 소설에 담았다.
잠재의식과 무의식에 호소하며, 회화적인 문체와 시적인 상징 수법을 통해 공간 확대와 심화를 노리는 기법을
작가 스스로 '환상적 리얼리즘'이라 부르며 독자적인 자기 세계를 구축하였다.
초기 작품인 《태평양》(1964), 《소경 눈뜨다》(1965), 《불멸의 청자》(1966)를 비롯하여 화가를 주인공으로 한 《유자약전》(1969)과 《광화사》(1987), 《나그네는 길에서도 쉬지 않는다》(1985), 《강설》(1986) 등의 단편,
《소녀 유자》(1987), 《시습의 아내》(1988) 등의 장편과 그림소설 《뻐꾹아씨, 뻐꾹귀신》(1997)에 이르기까지 그의 작품에는 환상과 현실이 역동적으로 작용하여 우리 시대의 현실적 문제들이 여러 가지 이미지로 굴절되어 나타나 있다.
이밖에도 1964년 성찬경·박재삼·구자운 등이 주재하던 《60년대 사화집》에 동인으로 참가하여 시작 활동을 하며,
1977년 《소설문예》 창간에 이청준, 송영과 함께 편집위원으로 참가했다.
1979년 화랑협회의 계간미술지 《미술춘추》의 주간을 맡았고, 1987년 이장호 감독이 영화화한 《나그네는 길에서도 쉬지 않는다》의
시나리오 작업과 영화 주제가를 직접 작곡하기도 했다.
1991년 한국일보와 잡지 등에 영화칼럼을 연재하고, 두 차례의 개인전을 가지는 등 문학, 미술, 음악, 영화에 걸쳐
'전방위 예술가'란 호칭에 걸맞는 다양한 자기표출을 시도하며, 1999년 현재 명지대학 문예창작과 겸임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에 소설집 《초식》(1973), 《기차·기선·바다·하늘》(1978), 《유자약전》(1981), 《밤의 수첩》(1984) 《용》(1986),
《자매일기》(1987), 《광화사》(1987), 《임금님의 귀》(1988), 《소녀 유자》(1988), 《모래틈》(1997) 등이 있고,
시집 《저 어둠 속 등빛들을 느끼듯이》(1982), 《빈 들판》(1998)이 있으며, 수필집 《길 떠나는 사람에게》(1988)와
영화칼럼집 《이제하의 시네마천국》(1992), 《괴짜들 짱구들, 젊은 영화들》(1994) 등이 있다.
1953년 학원문학상을 수상하였고, 1985년 《나그네는 길에서도 쉬지 않는다》로 제9회 이상문학상을,
1987년 《광화사》로 한국일보문학상을 수상했으며, 1999년 편운문학상을 수상하였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843 시는 알면 재미있고, 모르면 재미없고... 2016-01-05 0 4235
842 과소평가 된 시인과 과대평가 된 시인 2016-01-05 0 4619
841 시는 시인의 령혼 2016-01-05 0 4281
840 시읽는 방법 2016-01-05 0 4057
839 아버지는 영웅 /// 영웅을 낳는 어머니 2016-01-05 0 4372
838 시인 김억과 그리고 등 등... 2016-01-04 0 6542
837 현대시 100년, 시인 166명, 시 700편 - 기념시집 2016-01-03 0 4934
836 시에서 이미지만들기 2016-01-03 0 4365
835 난해시와 초현실주의의 교주 - 조향시인 2016-01-03 0 5743
834 충동적으로 쓰고마는 詩는 아마추어들이 하는 짓 2016-01-03 0 4579
833 시에서 아방가르드를 꿈꾸는 시인은 고독자 2016-01-03 0 4516
832 천재 시인 李箱과 조선족 소설가, 시인 金革 2016-01-02 0 4871
831 超現實主義 = 超自然主義 2016-01-02 0 4353
830 캐나다시인들은 시를 어떻게 쓸가... 2016-01-02 0 4540
829 모든 것 없는 것, 없는 것 모든 것... 2016-01-02 0 4285
828 미래파의 형성 2016-01-02 0 5265
827 어느 할아버지 시평 - 김춘수 "꽃", 존재론적에 머문 詩 2016-01-02 0 4630
826 해체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 2016-01-02 0 6252
825 "거시기" 세글자면 모든 것 통하는 것... 2016-01-02 0 4451
824 난해시와 김지하 2016-01-02 0 4336
823 산문시(散文詩)와 그 례... 2016-01-02 0 4051
822 詩史에서의 미래파시인 2016-01-02 0 5296
821 해체시와 박남철, 황지우 /// 시적허용 2016-01-02 0 4670
820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공예디자인론 2016-01-02 0 4147
819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공통점과 차이점 2016-01-02 0 4806
818 포스트모더니즘과 니체 2016-01-02 0 4300
817 난해시와 보들레르 2016-01-02 0 4428
816 난해시를 읽는법 2016-01-01 0 6753
815 왕초보 시짓기에서의 비법 2016-01-01 0 4709
814 난해시의 원조 - 산해경 2016-01-01 0 4200
813 난해시와 목장의 목동 2016-01-01 0 3874
812 난해시와 오세영 2016-01-01 0 4095
811 난해시와 김수영 2016-01-01 1 4473
810 난해시와 김춘수 2016-01-01 0 4643
809 난해시와 조영남가수 2015-12-31 0 4332
808 난해성과 현대성 2015-12-31 0 4451
807 난해시와 어설픈 평론 / 나와 나도 난해시가 좋다... 2015-12-31 0 4443
806 난해시와 신경림 2015-12-31 0 4866
805 난해시와 李箱 2015-12-31 0 4822
804 詩의 넋두리 2015-12-31 1 4293
‹처음  이전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