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시작할 때 늘 시어(詩語)의 생사존망(生死存亡)문제를 따져야...
2017년 01월 13일 00시 00분  조회:2662  추천:0  작성자: 죽림

퇴고(推敲), 퇴고(推敲)를 



<5> 
< 전문 생략> 
풋풋한 기력으로 살아 튀는 아침 바당 
고기비늘 황금 알갱이 노역의 등짐 한 짐 부려놓고 
이어도, 이어도 사나. 이어도 사나, 이어 이어… 

퉁방울눈 돌하루방 눈빛 저리 삼삼하고 
꽃 멀미 질퍽한 그곳, 그 가멸진 유채꽃 한나절. 

바람 불면 바람소리 속에, 바당 울면 바당 울음 속에 
웅웅웅 신음 같은, 한숨 같은 노랫가락 이어도 이어도 사나 
아련히 바닷바람에 실려 오고 실려 가고. 

이어도 사나, 이어도 사나 
다금바리 오분재기 
상한 그물 손질하며 
급한 물길 물질하며 
캄캄한 침묵의 수렁, 
산호초 덤불 숲을 넘어. 

자갈밭 그물코 새로 그 옛날 바닷바람 솨솨 지나가네. 
천리 남쪽 바당밖에 꿈처럼 생시처럼 허옇게 솟은 피안의 섬, 제주 어부 입에서 입으로 굴려 내려온 오랜 세월 전설의 섬, 가본 사람 아무도 없이 눈에 밟히는 수수께끼 섬, 고된 이승의 생이 끝난 후면 거기 가서 저승 복락 누리는 구원의 섬, 한번 보면 이내 거기 가서 돌아 오지 않는, 영영 다시 이승으로 돌아 오지 않는 동경의 섬이어라. 
이어도, 이어도 사나. 이어도 사나, 이어 이어… 

밀물 들면 수면 아래 뉘엿이 가라앉고 
썰물 때면 건듯 솟아 푸른 허우대 드러내는 
방어빛 파도 헤치며 두둥실 뜨는 섬이어라. 

마른 낙엽 몰고 가는 마파람 쌀쌀한 그해 겨울 
모슬포 바위 벼랑 울타리 없는 서역 천축 머나 먼 길 아기작 걸음 비비닥질 수라의 바당 헤쳐 갈 때 꿈결에 떠오른 이어도, 수평선 훌쩍 건너 우화등선 넘어가버리고 
섬억새 산등성이를 하얗게 하얗게 물들였네. 

*이어도 사나 = 제주 민요의 한 구절. 
바당 = 바다의 제주도 말. 

< 6> 
< 전문 생략> 

등지느러미 나풀대는, 기력 풋풋한 아침 바당 
고기비늘 황금 알갱이 노역의 등짐 한 짐 부려놓고 
이어도, 이어도 사나. 이어도 사나, 이어 이어… 

퉁방울눈 돌하루방 눈빛 저리 삼삼하고 
꽃멀미 질퍽한 그곳, 그 가멸진 유채꽃 한나절. 

바람 불면 바람소리 속에, 바당 울면 바당 울음 속에 
웅웅웅 신음 같은, 한숨 같은 노랫가락 이어도 사나 이어도 사나 
아련히 바닷바람에 실려 오고 실려 가고. 

다금바리 오분재기 
이어도 사나, 이어도 사나 
상한 그물 손질하며 
급한 물길 물질하며 
산호초 꽃덤불 넘어, 
캄캄한 침묵 수렁을 넘어. 

자갈밭 그물코 새로 그 옛날 바닷바람 솨솨 지나가네. 
천리 남쪽 바당밖에 꿈처럼 생시처럼 허옇게 솟은 피안의 섬, 제주 어부 입에서 입으로 굴려온 오랜 세월 전설의 섬, 가본 사람 아무도 없이 눈에 밟히는 수수께끼 섬, 고된 이승 생이 끝난 후면 거기 가서 저승 복락 누리는 구원의 섬, 한번 보면 이내 거기 가서 돌아 오지 않는, 영영 다시 이승으로 돌아 오지 않는 동경의 섬이어라. 
이어도, 이어도 사나. 이어도 사나, 이어 이어… 

밀물 들면 수면 아래 뉘엿이 가라앉고 
썰물 때면 건듯 솟아 푸른 허우대 드러내는 
방어빛 파도 헤치며 두둥실 뜨는 섬이어라. 

마른 낙엽 몰고 가는 마파람 쌀쌀한 그해 겨울 
모슬포 바위 벼랑 울타리 없는 서역 천축 머나 먼 길 아기작 걸음 비비닥질 수라의 바당 헤쳐 갈 때 물이랑 뒤척이며 꿈결에 떠오른 이어도 이어도, 수평선 훌쩍 건너 우화등선 넘어가버리고 
섬억새 산등성이를 하얗게 하얗게 물들였네. 

*이어도 사나 = 제주 민요의 한 구절. 
바당 = 바다의 제주도 말. 


< 7> 
- 긴긴 세월 동안 섬은 늘 거기 있어 왔다. 그러나 섬을 본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섬을 본 사람은 모두 섬으로 가 버렸기 때문이었다. 
아무도 다시 섬을 떠나 돌아온 사람은 없었기 때문이었다. - 
- 이청준 소설 ‘이어도'에서 

지느러미 나풀거리는, 기력 풋풋한 아침 바당 
고기비늘 황금 알갱이 노역의 등짐 부려놓고 
이어도, 이어도 사나. 이어도 사나, 이어 이어… 

퉁방울눈 돌하루방 눈빛 저리 삼삼하고 
꽃멀미 질퍽한 그곳, 가멸진 유채꽃 한나절. 

바람 불면 바람소리 속에, 바당 울면 바당 울음 속에 
웅웅웅 신음 같은, 한숨 같은 노랫가락 이어도 사나 이어도 사나 
아련히 바닷바람에 실려 오고 실려 가고. 

다금바리 오분재기 
이어도 사나, 이어도 사나 
상한 그물 손질하며 
급한 물길 물질하며 
산호초 꽃덤불 넘어, 
캄캄한 침묵 수렁을 넘어. 

자갈밭 그물코 새로 그 옛날 바닷바람 솨솨 지나가네. 
천리 남쪽 바당밖에 꿈처럼 생시처럼 허옇게 솟은 피안의 섬, 제주 어부 노래로 노래로 굴려온 세월 전설의 섬, 가본 사람 아무도 없이 눈에 밟히는 수수께끼 섬, 고된 이승 접고 나면 저승 복락 누리는 섬, 한번 보면 이내 가서 오지 않는, 영영 다시 오지 않는 섬이어라. 
이어도, 이어도 사나. 이어도 사나, 이어 이어… 

밀물 들면 수면 아래 뉘엿이 가라앉고 
썰물 때면 건듯 솟아 푸른 허우대 드러내는 
방어빛 파도 헤치며 두둥실 뜨는 섬이어라. 

마른 낙엽 몰고 가는 마파람 쌀쌀한 그해 겨울 
모슬포 바위 벼랑 울타리 없는 서역 천축 머나 먼 길 아기작 걸음 비비닥질 수라의 바 당 헤쳐 갈 때 물이랑 뒤척이며 꿈결에 떠오른 이어도 이어도, 수평선 훌쩍 건너 우화등선 넘어가버리고 
섬억새 굽은 산등성이 하얗게 물들였네. 

*이어도 사나 = 제주 민요의 한 구절. 
바당 = 바다의 제주도 말. 

- 윤금초의 ‘이어도 사나, 이어도 사나' 

‘이어도 사나, 이어도 사나’를 ‘문학사상’에 발표할 때 이런 시작(詩作) 노트를 쓴 적이 있다. 
'나는, 오늘의 시조문학은 ‘윤회’만 있지 ‘변화’는 없다는 표현을 한 적이 있다. 외중내졸(外重內拙). 밖을 중시하면 속이 쪼잔해진다. 형식에 치중하면 내용이 치졸해진다는 말이다. 

사설시조를 기피하는 몇몇 인사의 사설시조 부정론이 거센 줄 알고 있다. 내가 외면하니까 너도 하면 안 된다? 이만저만한 논리 모순이 아닐 수 없다. 시조 형태 가운데 사설시조 엇시조가 엄존해 왔음에도 굳이 평시조만을 고집하는 것은 사설시조 부정론자의 아킬레스건을 호도하기 위한 비겁한 술책,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다. 

표현의 다양성을 짓누르는 것은 가치 중립의 사고방식이라고 볼 수 없다. 예술의 가장 큰 적인 도식성을 멋지게 극복하기 위해서는 ‘윤회'가 아닌 ’변화'를 꿈꾸는 일이다. ‘이어도 사나…'는 이른바 옴니버스시조다. 시조의 각종 형식미학을 두루 아우르면서 서사구조를 갖추는 등 ’윤회'가 아닌 ‘변화'를 모색한 것이다.' 


사실 ‘이어도 사나, 이어도 사나'는 보기 드물게 형식실험을 모색한 작품이다. 하나의 소재 및 주제를 가지고 평시조+양장시조(2장시조)+엇시조+평시조+사설시조+평시조+사설시조 등 일곱 수로 마무리한 혼작(混作) 연형시조(連形時調)다. 

‘이어도 사나, 이어도 사나'의 <1>과 <7>, <2>와 <6>, <3>과 <5>… 등 글의 변천 과정(퇴고 과정)을 면밀하게 분석해 보라. <1>과 <7> 사이에는 엄청난 변화와 수정·가필이 있었음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이어도 사나…’의 일곱 번에 걸친 변천 과정을 순서대로 열거했지만, 여기에 나타나 있지 않은 수정작업과 퇴고작업이 무수히 뒤따랐다는 점을 밝혀 두고 싶다. 대장간에서 다루는 쇠붙이만 담금질을 거듭하고 연찬(硏鑽)을 거듭하면 시우쇠가 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문학도 마찮가지다. 얼마만큼 끈기를 가지고 연찬작업을 거듭했느냐에 따라 그 작품의 성패가 달려 있다고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닐 것이다. 박목월(朴木月) 선생은 일단 탈고한 시 작품을 원고지에 정서(淨書)한 다음, 한 자 한 자 손가락으로 짚어가면서 그 시어(詩語)의 생사 존망(生死 存亡) 문제를 따졌다는 것이다. 이 시어가 여기에 꼭 필요한 것인지, 이 조사(助詞)가 여기에 꼭 있어야 하는지 일일이 따졌고, 필요 없는 군더더기나 조사(토씨)는 가차없이, 그리고 잔인하게 솎아내고 잘라냈다는 것이다.  

=============================================================

 

 

 

고구마, 고구마들 
―이경림(1947∼)

자, 이 고구마를 먹어치우자

불그죽죽한 껍질을 벗기고
노오란 속살을 먹어치우자
속살같이 들큰한 시간을 먹어치우고
허벅한 뒷맛도 먹어치우자

뽀오얀 접시 위에 놓인, 아니
넓적한 탁자 위에 놓인, 아니
더러운 마룻장 위에 놓인, 아니
컴컴한 구들장 위에 놓인, 아니
수천 겹 지층 위에 놓인, 아니
수끌거리는 용암 위에 놓인
이, 뜨거운 고구마를 먹어치우려고 나는

저 뜨거운 해에서 생겨나
번쩍이는 수천만의 별 사이를 흘러내려
묵 같은 허공을 수세기 떠돌다가
이 비스듬한 지붕 밑
넓적한 탁자 옆
볼기짝만한 의자에 앉아 있는 것

 

 

보라, 아무도 없는 방 안에서 한 섬광이 지금
고구마만한 불덩이를 먹어치우고 있다

보라, 이 불덩이가 식도를 태우며
저수만리용암의길로쏜살같이 달려가는장관을,
이 장엄한 불의 식사를!



 

 

먹어치우다…. 화자는 고구마를 좋아하지 않는 건가. 아니면 고구마가 더 이상 방치하면 못 먹게 될 상태라서 ‘치우자’고 얼른 솥에 올려놨던 걸까. 둘째 연으로 미루건대 현재 화자는 고구마가 썩 당기지 않나 보다. ‘불그죽죽한 껍질’, ‘들큰한’ 속살, ‘허벅한 뒷맛’이란다. 화자와 고구마, 그 뜬 사이가 뜨거운 고구마를 먹는 시간을 ‘장엄한 불의 식사’로 만든다. 고구마가 맛있었다면 딴청을 부리지 않았을 테다. 딴청을 부리지 않았으면 ‘저 뜨거운 해에서 생겨나/번쩍이는 수천만의 별 사이를 흘러내려/묵 같은 허공을 수세기 떠돌다가’ 몸을 얻어 ‘볼기짝만한 의자에 앉아 있는’ 제 생명의 신비를 새삼 깨닫지 못했을 테다.

화자는 혼자서 고구마 하나를 먹을 때도 갓 쪄낸 것을 ‘뽀오얀’ 접시에 담아 탁자 위에 놓는구나. 단정하게 사는 사람이다. 방바닥에 쪼그려 앉아 와사비 발린 완두콩을 깡통째 끼고 오독오독 깨물어 먹으며 추리소설을 읽다가, 전부 들고 침대로 자리를 옮기곤 하는 나와는 대조적인 삶의 자세다. 눈을 뜨면 깡통에서 쏟아진 완두콩이 등짝 아래 즐비하고 목덜미에도 붙어 있지. 동화 속 어떤 공주는 스무 장 매트리스 아래의 완두콩 한 알 때문에 잠 못 이뤘다는데, 둔해도 너무 둔하고 추해도 너무 추하다. 이경림은 자다가도 시가 나오고 먹다가도 시가 나오는 시인!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650 시는 식물과 동물이 말을 걸어 올때 써라... 2017-08-18 0 2282
649 동시로 엮는 어린 시절 색깔들... 2017-08-18 0 2402
648 시는 바람을 그리는 작업이다... 2017-08-17 0 2296
647 쓰는 행위와 읽는 행위는 시간의 증언이며 자아의 확인이다... 2017-08-17 0 1883
646 "풍랑, 아무도 휘파람을 불지 않는다"... 2017-08-17 0 2146
645 나이테야, 나와 놀자... 2017-08-17 0 1997
644 좋은 시는 개성적인 비유와 상징성에서 환기된다... 2017-08-17 0 2110
643 제재를 잘 잡으면 좋은 시를 쓸수 있다... 2017-08-17 0 1967
642 말하지 않으면서 말하기 위하여... 2017-08-17 0 2524
641 "한마디 시어때문에 몇달간 고민 고민해야"... 2017-08-17 0 2151
640 시인은 올바른 시어의 선택에 신경써야... 2017-08-17 0 1892
639 "아름다운 시를 두고 차마 죽을수도 없다"... 2017-08-17 0 1905
638 문학하는 일은 "헛것"에 대한 투자, 태양에 기대를 꽂는 일... 2017-08-17 0 2034
637 문학의 힘은 해답에 있지 않고 치렬한 질문에 있다... 2017-08-17 0 2062
636 남다른 개성을 추구하는 시인은 참다운 시인이다... 2017-08-17 0 2221
635 좋은 음악은 시를 쓰는데 령혼의 교감적 밑바탕이 된다... 2017-08-17 0 1856
634 사람들 놀라게 시를 써라... 2017-08-17 0 1951
633 보여주는 시와 말하는 시... 2017-08-17 0 2008
632 소통 불능의 시는 난해한 시가 될수밖에... 2017-08-17 0 1844
631 산이 태양을 삼키다... 2017-08-17 0 2005
630 남자를 돌려주고... 녀자를 돌려다오... 2017-08-17 0 2035
629 문학은 자기 존재의 정체성을 확인하는 작업이다... 2017-08-17 0 2126
628 시와 산문은 다르다... 2017-08-17 0 2376
627 글쓰는 재주는 비정상과 불당연에서 나온다... 2017-08-17 0 2033
626 하이퍼시 창작론 / 최룡관 2017-08-17 0 2053
625 "죽은 개는 짖어댄다"/ 박문희 2017-08-17 0 1839
624 안개꽃아, 나와 놀쟈... 2017-07-27 0 2222
623 시를 찾아가는 아홉갈래 길이 없다...? 있다...! 2017-07-27 0 2006
622 할미꽃아, 나와 놀쟈... 2017-07-27 0 2187
621 련금된 말과 상상과 이미지화된 말과 만나 만드는 시세계... 2017-07-27 0 1991
620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참새야, 나와 놀쟈... 2017-07-25 0 2230
619 5 + 7 + 5 = 17자 = 3행 2017-07-24 0 2246
618 나팔꽃아, 어서 빨리 띠띠따따 나팔 불며 나와 놀쟈... 2017-07-24 0 2239
617 "이 진흙별에서 별빛까지는 얼마만큼 멀까"... 2017-07-24 0 2172
616 "님은 갔지만은 나는 님을 보내지 아니하였습니다"... 2017-07-24 0 2538
615 시인은 자아를 속박하고 있는 억압을 끊임없이 해방시켜야... 2017-07-24 0 2030
614 나무야, 네 나이테 좀 알려주렴... 2017-07-24 0 2376
613 시는 쉽고 평이한 언어로 독자의 감흥을 불러 일으켜야... 2017-07-24 0 2254
612 여름아, 네가 아무리 더워봐라 내가 아이스크림 사 먹는가... 2017-07-24 0 2573
611 모든 비유는 다 시가 될수는 있다?... 없다!... 2017-07-24 0 1994
‹처음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