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11월 2024 >>
     12
3456789
10111213141516
17181920212223
242526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남다른 개성을 추구하는 시인은 참다운 시인이다...
2017년 08월 17일 02시 39분  조회:2098  추천:0  작성자: 죽림

넷째, 자기 또래 수준의 시를 많이 읽어보십시오. 
나보다 잘 쓴 시를 보면 주눅이 들기도 하겠지요만 겸손하게 배울 것이며 
나도 이렇게 한번 써 보리라는 오기를 가져야 합니다. 
또 나보다 못 쓴 글도 읽을 필요가 있습니다. 거기서는 자신감을 얻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내 글만 쓰고 남의 글을 읽지 않으면 발전을 기약할 수 없지요. 

다섯째, 글쓰기의 시작은 데생, 즉 묘사로부터 출발해야 합니다. 
제 어린 시절에 그림을 꽤 잘 그린다는 얘기를 들었습니다. 
미술 선생님이 교탁 위에 세워놓은 석고상을 그리는데, 
나는 두 시간 걸려서 그리는 걸 다른 친구들은 이삼십 분에 다 그렸다면서 내가 그리는 것을 구경합니다. 
눈썹 하나를 세 번 관찰하고 나서 선 하나 긋고, 
여러 번 보고 한 번 그리고 이런 식인데… 딴 애들은 한 번 보고 단숨에 눈·코·입을 그리는 거예요. 
그러니 자연 우스운 꼴의 그림이 되지 뭡니까. 
글쓰기도 이모저모 대상을 살펴본 연후 꼭 거기에 맞을 표현을 찾아야 합니다. 
글쓰기의 데생 방법으로는 감각적인 표현·변용(變容)하는 표현·비유적인 표현 세 가지를 권하고 싶습니다. 
이에 대해서는 좀더 자세히 말해야겠군요. 

감각적인 표현이라 하면 시각, 청각, 미각, 촉각, 공감각의 표현들입니다. 
"잎 지고 잎 피는/ 나뭇가지 사이로/ 반짝반짝 건너가는 햇살" ―시각, 
"나직이 물 끓는 소리가/ 마냥 귀를 적신다" ― 청각, 
"희끗희끗 내리는 일악장의 무반주 첼로 연주곡" ― 공감각 같은 것 말입니다. 

변용하는 표현은 대상을 비틀거나, 현실의 소재를 약간 달리 손질함을 뜻합니다. 
내 이야기를 쓰면서 슬쩍 남의 얘기를 가져와서 보태기도 하고, 비유적인 표현의 방법은 직유, 은유, 의인 등 아주 많지요. 
예를 들어 

사랑을 잃고 나는 쓰네 

잘 있거라, 짧았던 밤들아 
창밖을 떠돌던 겨울 안개들아 
아무 것도 모르던 촛불들아, 잘 있거라 
공포를 기다리던 흰 종이들아 
망설임을 대신하던 눈물들아 
잘 있거라, 더 이상 내 것이 아닌 열망들아 

장님처럼 나 이제 더듬거리며 문을 잠그네 
가엾은 내 사랑 빈 집에 갇혔네 
―기형도, 「빈 집」 


여기서 "…밤들아, …안개들아, …촛불들아"는 의인화한 표현, "장님처럼"은 직유입니다. 
바람 부는 여름날에 청모시 적삼을 입고 나룻배로 강을 건너가는 여인을 박목월 시인은 
"모란 여정(牧丹餘情)"이란 시에서 "강을 건너는/ 청모시 옷고름"이라고 썼습니다. 
은유의 표현입니다. "석탄"을 "검은 침묵에 생성하는 꽃"이라 표현하는 건 공감각과 은유를 곁들인 것입니다. 
구체어+추상어, 비생명+생명의 방법으로 은유를 구사할 수 있습니다. 
현대시의 생명은 은유에 있다고 말한 시인도 있답니다. 

여섯째, 상상력을 확대하기입니다. 
문학은 상상력이 없으면 성립할 수 없는 예술입니다. 시는 더욱 그렇습니다. 
상상력이란 과거에 체험한 어떤 이미지를 되살려내는 능력이지요. 
하나의 이미지가 다른 이미지로 바뀌고 또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 내는 일, 이것이 상상입니다. 
나사 하나가 우연히 주방에서 발견됐다고 합시다. 
이로부터 상상력을 발동하기로 합니다. 
싱크대 여기저기를 살펴보았는데 그 나사가 빠진 구멍이 보이지 않습니다. 
매우 중요한 모임이 있는데 나는 그것을 잊고 있습니다. 
그 모임이라는 나사 구멍에서 빠져 있는 것입니다. 
집에서 나왔는데 어디선가 집으로 내게 중요한 전화가 걸려옵니다. 
나는 그것을 모르는 채 딴 일에 정신이 팔려 있습니다. 
그리고 기억의 한 귀퉁이에서 나사 하나가 슬그머니 빠져 나옵니다. 
연상과 유추의 거듭되는 이러한 상상력이 한 편의 시로 쓰여질 수 있습니다. 


어디서 빠져나왔을까 
아침에 방을 쓸다가 빗자루에 걸려 
뒹구는 나사 하나 

주방에서 발견된 쇠붙이 
팥알만큼 작지만 
아무래도 위험한 누락 

전기밥솥의 수상한 밑창에도 
싱크대의 경첩에도 
빠진 구멍이 없는데 

누가 나를 찾았을까 
내가 외출하고 없는 동안 
빈 아파트에서 울렸을 전화벨 소리 
빠져서는 안 될 중요한 시간에 
나는 빠져나왔을까 

시내버스에 앉아서 
휴대폰을 귀에 대고 껄껄거리는 
낯선 사내의 뒤꼭지를 보다가 

문득 퓨즈가 나가버린 
내 기억의 나사 하나를 들고 
고개를 갸웃거리는 
엘리엘리 나의 하느님. 
― 졸시 「누락」 


일곱째, 시 쓰기는 할 말을 감추는 일입니다. 
꼭 하고 싶은 말을 시에다 직접적으로 쏟아내지 말아야 합니다. 
두 남녀가 있습니다. 남자는 여자의 눈이 맑고 아름답다고 생각합니다. 
그걸 그대로 "너는 눈이 참 맑고 아름답구나." 이러면 코미디가 됩니다. 
"네 눈 속에 내가 빠지고 싶다."고 하는 게 시적 표현입니다. 
시는 할 말을 숨기고 감추는 데 묘미가 있습니다. 
그것을 독자가 생각하면서 찾아낼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자기 감정을 꾹꾹 누르고 참아서 간접적으로 돌려 함축적으로 표현할 때 시를 읽는 이가 공감하는 법입니다. 
그런 점에서 정지용 시인의 "유리창"을 예로 들어봅니다. 


유리에 차고 슬픈 것이 어른거린다 
열없이 붙어서서 입김을 흐리우니 
길들은 양 언 날개를 파닥거린다 
지우고 보고 지우고 보아도 
새까만 밤이 밀려나가고 밀려와 부딪히고 
물먹은 별이 반짝, 보석처럼 박힌다 
밤에 홀로 유리를 닦는 것은 
외로운 황홀한 심사이어니 
고운 폐혈관이 찢어진 채로 
아아, 늬는 산새처럼 날아갔구나. 


이 "유리창"은 어린 자식을 잃고 밤에 창밖을 내다보며 슬퍼하는 애절한 아버지의 심경을 쓴 시입니다. 
"어린 나이에 사랑하는 내 아들은 저승으로 갔구나. 
너는 폐를 앓다가 끝내 내 곁을 새처럼 날아가 버리고, 
여기 남은 아비는 소리 없이 눈물을 흘린다. 
인생이 이렇듯 허무한 것이냐. 
밤 유리창에 비치는 흐린 그림자에서 너를 떠올리니 더욱 가슴 아프구나." 이러면 시가 안 됩니다. 
시를 쓰는 이가 자신의 감정을 숨기고 완곡하게 표현해야 읽는 사람이 제대로 느끼게 됩니다. 

끝으로 한 말씀만 덧붙입니다. 
글을 쓰는 사람은 모름지기 인생이나 현실에 대하여 자기 주관이 확고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자기만의 안목으로 현실을 파악하고 사물의 의미를 해석하는 일, 
그것이 그 사람의 글에 나타날 때 "개성"이 됩니다. 
호박 같은 세상을 호박같이 둥글둥글 살아간다, 
이런 것도 개성이라 할 수 있겠지요. 
자기보다 나이도 한참 아래인 **령을 위해 생신 축하의 시를 써주고 세계 일주 여행의 선물을 받은 어떤 저명한 시인도 있습니다만, 
저는 결단코 그런 개성을 추구하는 시인은 참다운 시인으로 생각지 않습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650 시는 식물과 동물이 말을 걸어 올때 써라... 2017-08-18 0 2237
649 동시로 엮는 어린 시절 색깔들... 2017-08-18 0 2248
648 시는 바람을 그리는 작업이다... 2017-08-17 0 2148
647 쓰는 행위와 읽는 행위는 시간의 증언이며 자아의 확인이다... 2017-08-17 0 1751
646 "풍랑, 아무도 휘파람을 불지 않는다"... 2017-08-17 0 2027
645 나이테야, 나와 놀자... 2017-08-17 0 1926
644 좋은 시는 개성적인 비유와 상징성에서 환기된다... 2017-08-17 0 2014
643 제재를 잘 잡으면 좋은 시를 쓸수 있다... 2017-08-17 0 1909
642 말하지 않으면서 말하기 위하여... 2017-08-17 0 2358
641 "한마디 시어때문에 몇달간 고민 고민해야"... 2017-08-17 0 1990
640 시인은 올바른 시어의 선택에 신경써야... 2017-08-17 0 1779
639 "아름다운 시를 두고 차마 죽을수도 없다"... 2017-08-17 0 1807
638 문학하는 일은 "헛것"에 대한 투자, 태양에 기대를 꽂는 일... 2017-08-17 0 1944
637 문학의 힘은 해답에 있지 않고 치렬한 질문에 있다... 2017-08-17 0 1955
636 남다른 개성을 추구하는 시인은 참다운 시인이다... 2017-08-17 0 2098
635 좋은 음악은 시를 쓰는데 령혼의 교감적 밑바탕이 된다... 2017-08-17 0 1781
634 사람들 놀라게 시를 써라... 2017-08-17 0 1850
633 보여주는 시와 말하는 시... 2017-08-17 0 1881
632 소통 불능의 시는 난해한 시가 될수밖에... 2017-08-17 0 1748
631 산이 태양을 삼키다... 2017-08-17 0 1952
630 남자를 돌려주고... 녀자를 돌려다오... 2017-08-17 0 1871
629 문학은 자기 존재의 정체성을 확인하는 작업이다... 2017-08-17 0 2024
628 시와 산문은 다르다... 2017-08-17 0 2252
627 글쓰는 재주는 비정상과 불당연에서 나온다... 2017-08-17 0 1942
626 하이퍼시 창작론 / 최룡관 2017-08-17 0 1932
625 "죽은 개는 짖어댄다"/ 박문희 2017-08-17 0 1790
624 안개꽃아, 나와 놀쟈... 2017-07-27 0 2119
623 시를 찾아가는 아홉갈래 길이 없다...? 있다...! 2017-07-27 0 1917
622 할미꽃아, 나와 놀쟈... 2017-07-27 0 2131
621 련금된 말과 상상과 이미지화된 말과 만나 만드는 시세계... 2017-07-27 0 1927
620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참새야, 나와 놀쟈... 2017-07-25 0 2159
619 5 + 7 + 5 = 17자 = 3행 2017-07-24 0 2157
618 나팔꽃아, 어서 빨리 띠띠따따 나팔 불며 나와 놀쟈... 2017-07-24 0 2134
617 "이 진흙별에서 별빛까지는 얼마만큼 멀까"... 2017-07-24 0 2102
616 "님은 갔지만은 나는 님을 보내지 아니하였습니다"... 2017-07-24 0 2368
615 시인은 자아를 속박하고 있는 억압을 끊임없이 해방시켜야... 2017-07-24 0 1849
614 나무야, 네 나이테 좀 알려주렴... 2017-07-24 0 2284
613 시는 쉽고 평이한 언어로 독자의 감흥을 불러 일으켜야... 2017-07-24 0 2112
612 여름아, 네가 아무리 더워봐라 내가 아이스크림 사 먹는가... 2017-07-24 0 2415
611 모든 비유는 다 시가 될수는 있다?... 없다!... 2017-07-24 0 1814
‹처음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