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9월 2024 >>
1234567
891011121314
15161718192021
22232425262728
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아름다운 시를 두고 차마 죽을수도 없다"...
2017년 08월 17일 02시 48분  조회:1701  추천:0  작성자: 죽림

나는 왜 문학을 하는가 / 곽재구


"아름다운 詩를 두고 차마 죽을 수도 없었지요" 


와온 바다에 왔습니다. 지난해 3월 처음 이 바다를 만난 이후 이 바다는 내게 정서적인 혹은 정신적인 마음의 고향이 되었습니다. 

처음 이 바다에 들어섰을 때, 저물 무렵이었습니다. 한없이 펼쳐진 개펄 위로 해가 뉘엿뉘엿 넘어가고 있었습니다. 저녁 노을들이 하늘 전체를 꽃밭으로 만들어 놓았더군요. 해 지는 쪽, 해 뜨는 쪽을 가리지 않고 말이지요. 

그것뿐이 아니었습니다. 꽃밭들은 개펄 위에도 찬란히 펼쳐져 있었습니다. 개펄 위에는 여기저기 작은 물웅덩이들이 고여 있었고 그 웅덩이들 위에 노을들은 수없이 많은 꽃밭들을 이루어 놓았지요. 보리새우 새끼들이나 망둥이 새끼들이 조분조분 숨을 쉬고 있는 그곳… 지상 위의 꽃밭인 그곳. 나는 그곳의 방파제 위에 엎드렸습니다. 

수평선을 넘어가는 마지막 햇살이 내 등을 따뜻하게 두드려줄 때 내 허름한 영혼 또한 이 바다의 꽃핀 개펄 위에서 한 마리의 금빛 보리새우가 될 수 있기를 간절히 바랐지요. 

내가 왜 문학을 하는가. 이 질문의 초입에서 내가 지닌 가장 오래된 기억 하나가 떠오르는군요. 그때 나는 기차여행 중이었습니다. 창 밖에는 시퍼런 물감 같은 어둠이 풀어져 있었습니다. 외삼촌의 무릎 위에 앉아 나는 그 어둠을 바라보았지요. 

그때 나는 버려지는 중이었습니다. 무슨무슨 천사의 집이거나 아니면 아주 촌수가 낮은 어떤 친척집에 잠시 위탁되어야 할 형편이었지요. 그때 외삼촌이 내게 과자 한 봉지를 사 주었습니다. 바스락거리는 비닐봉지 안에는 색색의 별사탕들이 들어있었습니다. 

초록색, 분홍색, 하늘색, 흰색, 노란색의 별사탕들을 바라보며 불안하기만 한 어린 영혼의 마음이 한없이 따뜻해졌습니다. 내게 희망이 있다면 언젠가 나는 색색의 별사탕이 될 거라고 생각했습니다. 그 별사탕이 지닌 꿈이 될 거라고 생각했지요. 그 어린 영혼은 별사탕 한 봉지를 가슴에 안고 여행의 목적지가 어디인 줄도 모른 채 푹 잠이 들었습니다. 

세월이 조금 흘렀군요. 고등학교 1학년 가을날 나는 한 무리의 친구들을 만났습니다. 병구, 해철, 동석, 몽구, 용덕… 그들의 이름을 적어보는 이유는 그들이 내 글쓰기의 첫 스승들인 탓입니다. 나보다 두 세 단계 위의 시를 쓰고 있었던 그들은 내게 예술에 대해서, 그 혼에 대해서, 죽음에 대해서, 언어와 이미지들에 대해서 가르쳐 주었습니다. 

어찌 생각하면 나의 모든 글쓰기는, 그 시절 이미 지금의 내가 아는 모든 것들을 다 파악하고 있었는지도 모릅니다. 고등학교를 졸업할 때까지 시 생각만 했습니다. 눈 뜨면 시 생각하고 눈을 감아도 시 생각하고 길을 걸으며 늘 시를 썼지요. 시가 너무 사랑스러웠고 그래서 죽을 수도 없었지요. 

고등학교 2학년 이후 나는 국어 교과서의 표지를 본 적이 없습니다. 가방 안에 문학 서적 외에 어떤 종류의 교과서건 들어 있는 경우도 없었지요. 그런 내가 어떻게 대학 시험에 합격했는지 나로서도 알 수 없습니다. 물증은 없지만 심증은 있습니다. 

시의 신. 오직 그의 덕분이지요. 시 쓰기 외에는 아무것도 하지 않은 내가 대학 시험에 떨어진다면 그것은 순전히 시의 신의 잘못이니까요. 그가 어느 날 입시의 신의 집에 찾아간 거지요. 두 손에 바리바리 선물을 싸들고…. 

대학 시절, 친구들은 다 뿔뿔이 흩어졌고 강의 시간은 아무 재미가 없었습니다. 한 가지의 기억이 가슴을 뭉클하게 합니다. 그것은 나해철과의 두 번째 만남입니다. 의과대학에 진학한 그와 나는 매일 만나 함께 시를 썼습니다. 세 시간의 시간을 함께 비워두고 두 시간은 농과대학의 숲 속에 들어가 그 날 정한 제목으로 시를 쓰고 나머지 한 시간은 서로의 작품들을 바꿔 읽으며 둘만의 토론시간을 가졌지요. 아카시아 꽃향기가 가득 날리고 다시 싸리꽃이 은은하게 피어나던 그 숲길…. 

등록금 마련할 길이 더 이상 없어 군대를 가게 되었을 적 나는 전투경찰대에 지원했습니다. 남쪽 바다에서 서치라이트를 돌렸지요. 하늘 가득 원고지가 펼쳐져 있었고 그 깊은 먹물의 바다 속에 눈부신 서치라이트 광선으로 시를 썼습니다. 습작의 광기와 국방의 의무가 결합된, 나로서는 견딜 만한 의미가 있는 시간들이 지나갔습니다. 

다시 학교로 돌아왔을 때 처음으로 내가 써야 할 시가 무엇인지에 대해서 골몰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때 톨스토이와 타고르에 몰입했지요. 1905년쯤으로 기억됩니다. 눈보라가 펄펄 날리는 겨울날 톨스토이는 모스크바에서 자신의 장원이 있는 야스나야 폴랴나까지 도보여행을 합니다. 200㎞에 가까운 길이지요. 그 쪽의 살인적인 겨울 추위는 나폴레옹의 군대를 다 얼려 죽인 이력이 있지요. 

며칠 전 해외뉴스 시간에도 모스크바 일대에서 수 백 명의 사람들이 얼어죽었다는 뉴스가 나오더군요. 인생의 모든 쓴맛 단맛을 다 경험한 그가 그 눈보라 길을 죽지 않고 보름 동안 걸어, 자신의 장원에 도착하여 한 일은 농노 해방이었습니다. 오체투지… 육체를 스스로 학대할 수 있는 사람만이 순결한 영혼의 주인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그때 처음 깨달았지요. 

1995년 겨울, 야스나야 폴랴나에 찾아갔을 때 잠시 나도 모스크바에서 그곳까지 도보여행을 할까 하는 생각을 한 적이 있지요. 허름하기 이를 데 없는 나의 영혼이 그런 용기를 내게 불어넣어 줄 리 없었습니다. 어렵사리 숲길을 뒤져 장원 귀퉁이의 그의 묘소에 이르렀을 때 그 흔한 돌비석 하나 없더군요. 마른 꽃다발이 몇 개. 

눈송이가 하나 둘 날리는 하염없이 낮고 작은 묘지에서 나는 그가 내쉬는 따뜻한 숨결들을 느끼고 또 느끼곤 했습니다. 자신의 영혼과 세상의 모든 생령들을 다 사랑한 그 꿈만으로 더 이상 치장할 수 없는 아름다운 묘역을 그는 이 지상에 마련한 것이지요. 그곳에 더 이상의 어떤 표지도 서 있을 필요가 없는 것입니다. 

타고르의 시들은 그 자체가 꿈결이었지요. 신비하고 아름다웠습니다. 그의 시에 나오는 달빛과 강물, 나룻배와 어린 소년의 노래, 엄마의 자장가, 라마야나 이야기와 챔파꽃 향기… 그런 모두가 떨리는 꽃 이파리처럼 가슴에 닿아왔습니다. 지상에 시가 있어서 행복했고 타고르가 있어서 지상 위의 어떤 길이건 끝없이 걸어갈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매일 아침 눈을 떠 처음 쓴 시의 한 줄을 타고르에게 보여주고 싶었지요. 바람이 슬쩍 내 옷깃을 스치고 지나가면, 이것 좀 봐, 그가 왔어, 타고르의 혼이 내 곁을 바람처럼 스치고 지나간 거야, 라고 생각했지요. 

밤하늘에 뜬 무수한 별들이 그의 빛나는 눈빛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내가 쓴 허름한 시들은 그의 형형한 눈빛의 체에 걸러져 단 한 줄도 지상에 남지 않을 거라 생각했지요. 그렇지만 언젠가는 그의 성긴 체에도 걸러지지 않고 남은 시를 꼭 써서 보여주고 싶은 마음은 깊었습니다. 이봐, 타고르… 지금 얼른 내게 와요 내 시 좀 봐줘요…. 

어쩌자고 이런 위대한 두 영혼의 이름들을 지금 내가 붙들고 이야기하는지 모르겠군요. 기실은 꿈, 아닐런지요. 어릴 적 비닐봉지 안의 빛나던 별사탕들처럼 어떤 두렵고 쓸쓸한 영혼들에게도 따뜻함과 아름다움으로 남는 시. 삶이 너무 비참하고 굴욕적이어서 더 이상 존재라는 말 자체가 존재하지 않는 한심한 시간들 속에서도 먼 포구 마을의 불빛들처럼 가슴 안으로 안겨오는 그런 시. 그리운 그 시들을 나는 지금 여전히 꿈꾸고 있는 것입니다. 

와온 바다의 선착장에는 모두 18개의 가로등이 서 있습니다. 나는 그 가로등들에게 각각의 번호와 이름들을 붙여 주었지요. 그리고는 아침이거나 저녁이거나 눈이 오거나 바람 불거나 꽃이 지거나 가리지 않고 이 가로등 사이를 걷습니다. 

걷다가 그 번호와 이름들에 걸맞은 시를 생각하고 잠시 주저앉아 음악을 듣다가 또 시 생각을 합니다. 지상에 언제부터 시가 있었을까요. 왜 내가 시를 쓰게 되었을까요. 왜 시를 쓰는 시간만 살아 있다는 느낌이 들까요. 아무것도 알 수 없습니다. 그렇지만 단 한 가지, 내가 당신들을 사랑하고 당신들이 우리 모두를 사랑하는 그 시간들이 지상 위에 지속되는 한 시는 우리들 마음 안에 영원한 집이 되어 줄 것입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650 시는 식물과 동물이 말을 걸어 올때 써라... 2017-08-18 0 2127
649 동시로 엮는 어린 시절 색깔들... 2017-08-18 0 2151
648 시는 바람을 그리는 작업이다... 2017-08-17 0 2019
647 쓰는 행위와 읽는 행위는 시간의 증언이며 자아의 확인이다... 2017-08-17 0 1666
646 "풍랑, 아무도 휘파람을 불지 않는다"... 2017-08-17 0 1899
645 나이테야, 나와 놀자... 2017-08-17 0 1841
644 좋은 시는 개성적인 비유와 상징성에서 환기된다... 2017-08-17 0 1918
643 제재를 잘 잡으면 좋은 시를 쓸수 있다... 2017-08-17 0 1819
642 말하지 않으면서 말하기 위하여... 2017-08-17 0 2265
641 "한마디 시어때문에 몇달간 고민 고민해야"... 2017-08-17 0 1897
640 시인은 올바른 시어의 선택에 신경써야... 2017-08-17 0 1688
639 "아름다운 시를 두고 차마 죽을수도 없다"... 2017-08-17 0 1701
638 문학하는 일은 "헛것"에 대한 투자, 태양에 기대를 꽂는 일... 2017-08-17 0 1847
637 문학의 힘은 해답에 있지 않고 치렬한 질문에 있다... 2017-08-17 0 1861
636 남다른 개성을 추구하는 시인은 참다운 시인이다... 2017-08-17 0 1997
635 좋은 음악은 시를 쓰는데 령혼의 교감적 밑바탕이 된다... 2017-08-17 0 1686
634 사람들 놀라게 시를 써라... 2017-08-17 0 1758
633 보여주는 시와 말하는 시... 2017-08-17 0 1781
632 소통 불능의 시는 난해한 시가 될수밖에... 2017-08-17 0 1659
631 산이 태양을 삼키다... 2017-08-17 0 1857
630 남자를 돌려주고... 녀자를 돌려다오... 2017-08-17 0 1778
629 문학은 자기 존재의 정체성을 확인하는 작업이다... 2017-08-17 0 1933
628 시와 산문은 다르다... 2017-08-17 0 2166
627 글쓰는 재주는 비정상과 불당연에서 나온다... 2017-08-17 0 1842
626 하이퍼시 창작론 / 최룡관 2017-08-17 0 1841
625 "죽은 개는 짖어댄다"/ 박문희 2017-08-17 0 1694
624 안개꽃아, 나와 놀쟈... 2017-07-27 0 2051
623 시를 찾아가는 아홉갈래 길이 없다...? 있다...! 2017-07-27 0 1858
622 할미꽃아, 나와 놀쟈... 2017-07-27 0 2076
621 련금된 말과 상상과 이미지화된 말과 만나 만드는 시세계... 2017-07-27 0 1881
620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참새야, 나와 놀쟈... 2017-07-25 0 2098
619 5 + 7 + 5 = 17자 = 3행 2017-07-24 0 2084
618 나팔꽃아, 어서 빨리 띠띠따따 나팔 불며 나와 놀쟈... 2017-07-24 0 2058
617 "이 진흙별에서 별빛까지는 얼마만큼 멀까"... 2017-07-24 0 2053
616 "님은 갔지만은 나는 님을 보내지 아니하였습니다"... 2017-07-24 0 2310
615 시인은 자아를 속박하고 있는 억압을 끊임없이 해방시켜야... 2017-07-24 0 1788
614 나무야, 네 나이테 좀 알려주렴... 2017-07-24 0 2226
613 시는 쉽고 평이한 언어로 독자의 감흥을 불러 일으켜야... 2017-07-24 0 2039
612 여름아, 네가 아무리 더워봐라 내가 아이스크림 사 먹는가... 2017-07-24 0 2358
611 모든 비유는 다 시가 될수는 있다?... 없다!... 2017-07-24 0 1726
‹처음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