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6월 2024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29
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우리 고향에서도 "호박벌"을 화분매개곤충으로 리용해야...
2017년 02월 03일 20시 35분  조회:7092  추천:0  작성자: 죽림
   
▲ 호박벌. /예천곤충연구소 제공
 

【경북 예천】 예천곤충연구소가 운영하는 예천군호박벌특화센터의 호박벌 완성봉군 및 우량 여왕벌 보급량이 크게 증가하며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예천군호박벌특화센터는 지난 2013년 농림축산식품부 지역곤충자원산업화지원센터 공모사업으로 건립됐으며, 해마다 호박벌 완성봉군 3천여통과 여왕벌 3만마리를 과수 및 시설채소 재배농가와 전국 호박벌 생산업체 10여 곳에 공급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에는 호박벌특화센터의 시설현대화에 따른 생산능력 확대와 채종포, 체리류, 노지자두 등 새로운 작물 및 시설하우스 재배면적 확대로 예년보다 35% 이상 보급량이 증가했다.

이는 신설 호박벌 생산기업체가 여왕벌 양성기술의 부족으로 여왕벌을 공급받아 완성봉군을 생산하는 경우가 많은 상황에서 우수한 예천군 호박벌이 인기를 끌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또한 호박벌은 이상기온과 환경오염, 자연 상태의 꿀벌 집단폐사, 시설원예작물 재배면적 증가 등으로 화분매개곤충으로서의 중요성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 예천군호박벌특화센터가 생산한 호박벌 완성봉군과 우량 여왕벌을 전국에 공급하기 위해 차량에 싣고 있다.  
▲ 예천군호박벌특화센터가 생산한 호박벌 완성봉군과 우량 여왕벌을 전국에 공급하기 위해 차량에 싣고 있다.

좁은 공간에 적응을 잘해 토마토, 가지, 애호박, 참외, 딸기 등 시설원예작물 수정에 매우 효과적이고 사과, 배, 복숭아, 자두 등 과수에서도 탁월한 수정 능력이 입증된 것. 

그 외에도 호박벌 방사는 결실률 30% 향상, 기형과 및 공동과 25% 감소, 수확량을 20% 이상 증대 등의 효과를 발생시켜 고령화된 농촌 일손부족 해소에 큰 도움이 되고 있다. 

최효열 곤충연구담당은 “1997년부터 시작한 화분매개곤충사업이 호박벌특화센터 건립으로 전국에 호박벌을 보급하는 역할을 성실히 수행하고 있다”며 “향후 생태교란에 문제가 없는 토종호박벌 인공증식기술과 우량여왕벌 개발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한편, 예천군은 2월 초부터 과수 및 시설원예작물 재배 농가를 대상으로 화분매개곤충 주문신청을 받고 있다. 3월부터는 화분매개곤충 방사요령과 화분매개곤충 보호를 위한 방제력 교육을, 4월 말에는 사과꽃의 개화기에 맞춰 전국 사과주산지 농가에 호박벌을 집중 보급할 계획이다. 

/정안진기자

 
분류 절지동물 > 곤충강 > 벌목 > 꿀벌과
원산지 아시아 (대한민국,중국,일본)
크기 약 1.2cm ~ 2.3cm
학명 Bombus ignitus

요약 세계 여러 곳에 분포하지만 온대지방에 가장 흔하다. 둥지를 만드는 뒤영벌과 기생성인 떡벌의 2속이 있다. 한국에는 뒤영벌 16종과 떡벌 5종이 분포한다. 
호박벌은 털이 나 있으며 몸길이가 평균 1.5~2.5㎝이다. 검은 체색에 황색이나 오렌지색의 넓은 띠무늬가 있다. 뒤영벌은 조직적인 군집생활을 하는데, 각 둥지마다 여왕벌·수펄·일벌이 있다. 떡벌은 일벌 계급이 없으며, 뒤영벌 둥지로 들어가 거기에 산란하면 뒤영벌의 일벌이 떡벌의 알을 돌본다. 떡벌과 뒤영벌은 매우 닮았다. 
뒤영벌의 여왕은 겨울 동안 동면을 한 후 둥지에 산란하는데, 처음에 나온 새끼들은 보통 4~8마리의 일벌이 된다. 이른 가을 여왕벌은 산란을 중지하고 이 군집은 점차 사멸한다. 다음 계절의 여왕벌은 후기에 낳은 알들로부터 발달한다.

 
호박벌
호박벌

세계 여러 곳에 분포하지만 온대지방에 가장 흔하다. 아프리카 대부분의 지역과 인도의 저지대에는 살지 않으며, 비록 원산지는 아니지만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에 이입되어 여러 꽃피는식물의 꽃가루받이에 도움을 주고 있다. 분류학적으로 보면 둥지를 만드는 뒤영벌(Bombus)과 기생성인 떡벌(Psithyrus)의 2속(屬)이 있는데, 경우에 따라 어떤 종(種)들은 제3의 속인 봄비아스속(Bombias)에 소속되고 있다.

한국에는 뒤영벌 16종과 떡벌 5종이 분포한다. 호박벌은 튼튼하게 생겼고 털이 나 있으며 몸길이가 평균 1.5~2.5㎝이다. 검은 체색에 황색이나 오렌지색의 넓은 띠들이 있으며 흔히 지상에, 일반적으로 새나 생쥐의 버려진 둥지에 둥지를 튼다. 뒤영벌은 사회성 벌로서 조직적 군집생활을 하는데 각 둥지마다 여왕벌과 수펄, 그리고 일벌이 있다. 떡벌은 일벌 계급이 없는데, 뒤영벌 둥지로 들어가 거기에 산란하면 뒤영벌의 일벌이 떡벌의 알을 돌본다. 떡벌과 떡벌이 기생하는 뒤영벌은 매우 닮았다. 영국산 프시티루스 베스탈리스(P. vestalis)는 때로 뒤영벌의 여왕벌을 침으로 찔러 죽이는데, 그렇게 되면 뒤영벌의 유충이 더이상 나오지 않게 되어 일벌은 기생하는 떡벌의 유충에만 신경쓰게 된다.

뒤영벌의 여왕은 겨울 동안 동면을 한 후 둥지에 산란하는데, 첫번째 배의 새끼들은 일반적으로 4~8마리의 일벌로 발달한다. 이 일벌들은 성충이 된 후 바로 여왕벌로부터 꽃가루를 구하고 둥지를 돌볼 임무를 받는다. 얼마 동안은 일벌들만 산출되며, 군집은 50~600개체가 될 때까지 성장한다.

늦은 여름 대집단의 일벌이 풍부한 먹이를 가져오며 수펄들과 새로운 여왕벌들이 생겨난다. 여왕벌이 낳은 미수정란으로부터 수펄이 발생하는 경우(처녀생식)도 있지만, 대부분의 수펄은 일벌이 낳은 알로부터 부화해 나온다. 이른 가을 여왕벌은 산란을 중지하고, 이 군집은 여왕벌을 포함해 점차 사멸한다. 이 기간 동안 어떤 나방과 딱정벌레의 유충은 둥지에 남아 있는 뒤영벌의 알과 유충을 잡아먹는다. 다음 계절의 여왕벌들은 그 계절의 후기에 낳은 알들로부터 발달하며, 장차의 여왕벌들은 완전히 성장하면 둥지를 떠나, 교미하고 겨울 동안 동면을 할 안전한 장소를 찾는다. 각 여왕벌들은 그뒤 이듬해 봄에 새로운 둥지에서의 생활을 시작한다.
===================================
 

벌은 벌목에 딸린 곤충 가운데 개미과를 뺀 곤충을 통틀어 일컫는 말이다. 곤충 가운데 가장 큰 무리로, 전 세계에 약 10만 종이나 있고, 우리 나라에만도 900종이 있다. 벌은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여 몸길이가 1mm도 안 되는 것부터 7cm가 넘는 것도 있다.
몸은 머리 · 가슴 · 배의 3부분으로 되고, 가슴에 2쌍의 투명한 날개와 3쌍의 다리가 있다. 앞날개는 길고 뒷날개는 짧으며, 날개의 맥은 종류에 따라 다르다. 뒷날개와 앞날개가 연결되어 1장의 날개처럼 펴고 날아다닌다. 머리는 둥글며 1쌍의 겹눈과 3개의 홑눈이 있다. 입틀은 먹이를 물어 핥고 빨아먹는 데 알맞게 생겼다. 가슴과 배 사이가 같은 너비를 이루는 종류도 있으나, 가슴과 배 사이가 가늘어져 가는 허리(배자루라 함)로 되어 있는 것도 있다. 암컷의 배 끝에는 알을 낳는 관인 산란관이 있는데, 이 산란관은 독침으로 쓰이기도 한다. 
벌은 알, 애벌레, 번데기, 성충의 순서로 완전탈바꿈을 한다. 꿀벌 · 말벌 · 쌍살벌 따위는 배의 마디에서 나오는 밀랍으로 정육각형 모양의 집을 짓고, 많은 수가 모여서 사회 생활을 한다. 그러나 대개의 벌은 단독 생활을 한다. 벌은 꽃가루를 옮겨 주거나 해충의 천적으로, 유익한 곤충이다. 또한 벌의 먹이인 꿀은 사람에게도 좋은 약이 된다. 전세계에 약 10만 종, 우리 나라에는 900여 종이 있다.

▶ 벌의 생김새

벌의 생김새
벌의 생김새
수벌 여왕벌 일벌
이미지 이미지 이미지
여왕벌로 하여금 새끼를 낳게 한다. 하루에 약 2,000개의 알을 낳는다. 먹이를 모으고, 집을 지으며, 적을 물리치는 따위의 일을 한다.
벌집의 모습
벌집의 모습
말총벌
말총벌
쌍살벌
쌍살벌
장수말벌
장수말벌
여왕벌과 일벌
여왕벌과 일벌
애벌레
애벌레
벌집
벌집
토종벌통
토종벌통
나뭇가지에 매달린 벌집
나뭇가지에 매달린 벌집
분봉. 여왕벌은 봄이 되면 수벌과 일벌을 데리고 이사를 간다.
분봉. 여왕벌은 봄이 되면 수벌과 일벌을 데리고 이사를 간다.
벌통 입구에 몰려 있는 벌 떼들
벌통 입구에 몰려 있는 벌 떼들


===================================


랑만의 도시 빠리,
로상방뇨 친환경 소변기로 해법 모색
(ZOGLO) 2017년2월 6일
빠리의 친환경 로상방뇨 방지 소변기 '위리트로투아(Uritrottoir)'

사랑과 랑만의 도시라는 이미지와 달리 로상방뇨 문제로 골치를 썩여온 프랑스의 수도 빠리가 이색적인 해법을 찾았다.
세련된 외관에 친환경기능까지 갖춘 소변기를 거리 곳곳에 설치해 로상방뇨에 따른 악취문제를 해결하고 도시의 미관도 개선한다는 발상이다.
4일 르피가로의 자매지인 피가로스코프에 따르면 빠리시는 최근 베르시와 17구 지역에 친환경 소변모음통인 '위리트로투아'의 시범모델을 설치했다.

프랑스의 산업디자인기업 '팔타지'가 제작한 현대적인 느낌의 이 소변기는 물을 사용할 필요없이 톱밥, 목재조각 등으로 구성된 통에 소변을 모은다. 

소변기의 웃부분에는 꽃 등 식물을 재배할수 있는 작은 공간도 마련했으며 심지어 소변을 모아 퇴비를 만들수 있는 기능도 갖췄다. 소변에 포함된 질소성분과 짚더미의 탄소성분이 결합해 비료가 되는것이다.

이 소변기는 또한 락서방지 기능이 있는 페인트로 겉면을 칠했고 오줌이 가득 모이면 원격으로 제어되는 컴퓨터에 통보돼 시정부의 청사에서 빠리 외곽으로 소변을 수거해 퇴비를 만든다.

'위키트로투아'라는 이름은 프랑스어로 소변기(urinal)와 보행로(trottoir)를 합성한것으로서 대형 모델은 최대 600명의 소변을 모을수 있다고 한다. 

빠리는 랑만적인 이미지와 달리 로상방뇨 문제로 골치를 썩여왔다. 빠리의 지하철역이나 도심에서 소변으로 인한 악취는 심심치 않게 마주치는 '복병'이다.

급기야 빠리시는 지난해 가을 로상방뇨와 애완동물의 배설물 투기 등 거리의 반(反)문화적 행위를 근절하기 위한 전문 단속반을 출범시키기도 했다. 

아직 시범설치단계에 불과하지만 비싼 가격(대당 인민페 3만원 상당)에도 '위리트로투아'는 인기몰이를 하고있다고 한다.

사진설명: 친환경 소변기의 원리[프랑스 디자인기업 팔타지 홈페이지 캡처]

스위스의 로잔과 영국의 런던 등 곳에서도 주문이 쇄도하고있다고 한다.

아직은 거리에서 '볼일이 급한' 남성들만 이 소변기를 리용할수 있다는것은 단점이다.

외신/연변일보 뉴미디어부 편집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11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993 [ "부고" ] - "금강이"야! "금강이"야!... 운명을 달리하다... 2017-02-10 0 3282
992 [록색문학평화주의者]백두산호랑이 "금강이"를 인젠 못본다... 2017-02-10 0 4749
991 [록색문학평화주의者]동북호랑이 왈; ㅡ내 친구가 죽어다니... 2017-02-10 0 4767
990 [이런저런] - 돈, 파지재가루가 되다... 2017-02-10 0 3027
989 [이것이 알고싶다] - 돈은 어떻게 제작되나?... 2017-02-10 0 3392
988 "카츄사" 노래 가사가 중국 연변 방천 "장고봉"에서 태여나다... 2017-02-09 0 3162
987 [고향문단소식] - 화룡 출신 김준 "쑥의 향기" 퍼뜨리다... 2017-02-09 0 2900
986 [쉼터] - 도난당한 유니폼 모두 복제품, 다행이네ㅠ... 2017-02-08 0 3261
985 [쉼터] - 스포츠와 유니폼과 경제학... 2017-02-08 0 4315
984 [쉼터] -스포츠스타 유니폼 도적당하다...팔다...소장품 되다... 2017-02-08 0 4919
983 [쉼터] - 수수께끼 100 2017-02-08 0 2745
982 "뜯어보면 두 사람이 죽고, 안 뜯어보면 한 사람이 죽는다?..." 2017-02-08 0 5445
981 [쉼터] - 정월대보름의 유래 2017-02-08 0 4672
980 연변축구의 한획을 그은 최은택교수님의 기념비를 세워야... 2017-02-08 0 5140
979 [고향소식] - "동방의 제1촌"에서 3국의 닭울음소리 듣다... 2017-02-07 0 3357
978 [시문학소사전] - "페미니즘"란?... "페미니스트"란?... 2017-02-05 0 6394
977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자주 보면 좋을 법한 명언 100 2017-02-05 0 3719
976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말(語)" 명언모음 2017-02-05 0 3604
975 커피를 연료로 자동차가 못달리다?... 달린다!... 2017-02-03 0 5054
974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우리 고향에서도 "호박벌"을 화분매개곤충으로 리용해야... 2017-02-03 0 7092
973 [록색문학평화주의者]-100여년만에 백두산호랑이 반도에 오다 2017-02-02 0 4800
972 [록색문학평화주의者]-"백두산호랑이" "38선"을 넘나들기만을... 2017-02-02 0 5506
971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지구에서 보내는 시간을 잘 리용하기 2017-02-02 0 3775
970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지구를 살리는 7가지 물건들 2017-02-01 0 6170
969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일회용품 사용을 자제하기... 2017-02-01 0 3318
968 [이런저런] - "매 팔자 상팔자" (2) 2017-02-01 0 3338
967 [이런저런] - 매가 비행기를 타다... 그것도 80마리씩이나... 2017-02-01 0 4862
966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공연 관람할 때 2017-01-31 0 3669
965 성벽 돌에 키스를 하면 달변가가 된다?... 글쎄ㅠ!... 2017-01-31 0 5173
964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엘리베이터 타고 내릴 때" 2017-01-31 0 3361
963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문 잡아주기" 2017-01-31 0 4974
962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우주인 우주선에서 방귀를 뀌다... 2017-01-31 0 4232
961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화성에 간 우주인 먹거리 = 감자 2017-01-31 0 5071
960 [쉼터] - "손은 인체의 축소판" 2017-01-29 0 3502
959 [그것이 알고싶다] - 영화는 어느 때부터 태여났나?... 2017-01-27 0 4593
958 [그것이 알고싶다] - "지구종말시계=운명의 날 시계"란?... 2017-01-27 0 5232
957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올바른 세배 례절 가르쳐주기 2017-01-27 0 3404
956 [그것이 알고싶다] - 설날 차례상 차리는 법 2017-01-27 0 4810
955 [그것이 알고싶다] - 지방(紙榜) 쓰는 법 2017-01-27 0 5600
954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전 세계 200여개 나라가 합심하여 모든 오염을 줄이기... 2017-01-27 0 3350
‹처음  이전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