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11월 2024 >>
     12
3456789
10111213141516
17181920212223
242526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이것이 알고싶다] - 최초의 신문은?...
2017년 02월 22일 01시 03분  조회:4939  추천:0  작성자: 죽림

외국

 

신문의 원시적 형태는 로마시대의 《악타 디우르나:Acta Diurna》라 할 수 있다. 이는 당시 원로원의 의사록인 《악타 세나투스:Acta Senatus》와 평민원의 의회상황 등의 발표물을 총칭하는 것이다. 중국에서도 8세기경에 당나라 수도 장안[長安]에서 《저보(邸報)》라 부른 정부 발표물의 보도기관이 있었고, 송(宋)나라 후기에는 《조보(朝報)》라 부른 관보를 발행하였으며, 청대(淸代)에 발간된 《경보(京報)》는 그 후신이라 할 수 있다.

 

로마시대 이후 귀족들 사이에는 뉴스의 교환이 성행하여 서한신문이 나오게 되었고, 독일에서도 같은 현상이 있었다. 13, 14세기부터 15, 16세기에 걸쳐서 르네상스 ·종교개혁 ·터키군(軍)의 유럽 침입, 신대륙 발견 등의 여러 사건이 일어나 뉴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고, 제후와 도시, 대학 등에서도 뉴스를 모으는 일이 성행하였다. 또한, 상인들도 상업상의 필요에 따라 각지의 뉴스를 수집하였다. 유명한 것으로는 독일 푸거가(Fugger 家)의 <푸거 차이퉁겐 Fugger Zeitungen>이 있다. 서한신문이 발전하여 규칙적인 필사신문(筆寫新聞)도 발생하였는데, 인쇄술이 발달하자 서한신문이나 필사신문 중에서 흥미를 끄는 내용이나 또는 행상인 ·학자 ·학생 ·급사 ·농노 ·여행자 등으로부터 전해오는 이야기를 모아 인쇄수단을 통해서 발행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부정기 인쇄신문을 신문사상 ‘플루크블라트(Flug-blatt)’라고 부른다. 그 후 17세기로 들어서면서 근대신문으로서의 새로운 형태가 갖추어지기 시작하였다.

 

1609년 독일에서 세계 최초의 주간신문인 《렐라치온:Relation》과 《아비소:Aviso》가 나오고, 이어서 네덜란드(1618년경) ·영국(22) ·프랑스(31) 등에서도 주간신문이 발행되었다. 그러나 초기 신문의 내용은 외국 뉴스를 주로 다루어 국왕의 허가를 받아야 발행할 수 있었다. 17세기의 신문에서 주목되는 나라는 영국이었다. 당시 영국의 신문은 왕당파와 의회파로 나뉘어져 싸우고 있었는데, 이 분쟁의 와중에 요구된 것이 ‘언론의 자유’였다. J.밀턴이 44년 <아레오파기티카 Areopagitica>를 발표하여, ‘사상의 공개시장’ 또는 ‘자동조정 작용(the self-righting process)’과 같은 현대적 언론자유의 개념을 개척하였다. 이후 88년의 명예혁명을 거쳐 95년에는 특허검열법이 폐지됨으로써 영국에서 처음으로 언론의 자유가 확립되었다. 세계 최초의 일간신문인 《라이프치거 차이퉁겐:Leipziger Zeitungen》이 독일에서 나온 것은 60년의 일이었다. 18세기로 넘어오면서 각국에서 일간지가 발행되는 동시에 근대신문의 기초가 구축되었다.

 

영국 최초의 일간지 《데일리 쿠란트:Daily Courant》가 창간된 것은 1702년이었고, 《더 타임스:The Times》의 전신인 《데일리 유니버설 레지스터:Daily Universal Register》의 창간은 85년이었다. 미국에서는 1690년 보스턴에서 발행된 《퍼블릭 오커런시스:The Public Occurrences》가 최초의 것이었으나 이는 한 호만 내고 발행이 금지되었으므로, 1704년에 창간된 주간지 《보스턴 뉴스레터:Boston News Letter》를 최초의 발행지로 볼 수 있다. 미국 최초의 일간신문으로는 《펜실베이니아 이브닝 포스트》지로 83년에 창간되었고, 프랑스에서는 77년에 일간지 《주르날 드 파리:Le Journal de Paris》가 처음으로 창간되었다. 19세기에 접어들면서 신문의 대중화가 시작되었다. 이는 미국과 영국 ·프랑스에서 동시에 일어난 현상으로서 그 원인은 나라에 따라 각각 다르나 교육의 보급과 문자 해독력의 향상 등이 배경이었음을 부인할 수 없다. 대중화의 선구가 된 신문들은 프랑스 지라르딘(Girardin)의 《라 프레스:La Presse》(1836), 미국은 벤자민 데이의 《뉴욕 선》(33), 영국은 인지세(印紙稅)가 폐지(60)된 후에 나온 《데일리 텔레그래프》 등으로 볼 수 있다. 이들 대중신문은 자본주의의 발달과 함께 성립된 것으로, 한편으로는 신문의 기업화를 가져온 원인이 되었고, 다른 한편으로는 다수의 서민계층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지면의 통속화를 초래하였다.

 

특히, 미국에서는 이러한 경향이 심해서 J.퓰리처의 《뉴욕 월드:New York World》, W.R.허스트의 《저널:Journal》이 발행되자 이들은 황색신문(yellow journalism)이라 불리게 되었다. 그러나 프랑스와 영국에서는 미국과는 달리 대중 염가신문이 발행되었으나 그 내용이 저속화하는 등의 변화는 없었다. 독일은 원래 신문의 선진국이었으나 언론자유의 보장이 늦어서 신문의 대중화도 1880년대에 이르러서야 처음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독일 ·프랑스의 신문은 제2차 세계대전까지는 정당적 색채를 완전히 벗어버리지 못하다가 당파신문의 형태를 벗어나 보도신문이 주류를 차지하게 된 것은 전후부터였다. 일본의 초기신문은 62년 막부(幕府)의 양서조소(洋書調所)가 발행한 관판(官板) 《바다비아 신문》이다. 그 밖에도 막부 말기에 발행된 신문들은 외국신문 번역 중심의 해외뉴스가 대부분이었다. 68년에는 본격적인 신문이 각지에서 나오기 시작했는데, 대표적인 것으로 《추가이신문[中外新聞]》이 있다. 71년에는 일본 최초의 일간지인 《요코하마 마이니치신문[橫濱每日新聞]》이 창간된 데 이어, 72년 대표적 신문 《도쿄 니치니치신문[東京日日新聞]》 (현 每日新聞)이 창간되었고, 이어 부녀자와 하층민을 대상으로 한 ‘소신문(小新聞)’이 나오기 시작했다.

 

대표적인 소신문으로는 74년에 창간된 《요미우리신문[讀賣新聞]》, 79년 오사카에서 창간된 《아사히신문[朝日新聞]》 등이 이러한 계통의 것이다. 세계적으로는 20세기 초부터 신문의 기업화와 경영의 합리화가 시작되어 이 때부터 신문의 체인(chain)화, 그룹화 현상이 나타났다. 또한, 통신망의 발달과 함께 뉴스도 세계적으로 확대되어 세계적인 통신사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제1 ·2차 세계대전은 각국 신문의 세력판도와 성격을 크게 변화시켰는데, 특히 제2차 세계대전은 세계 신문의 보도기능을 크게 향상시켰다. 한편, 20세기에 들어서서는 자본주의 사회와는 전연 다른 성격을 가진 신문들이 사회주의 여러 나라들에서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1917년의 러시아혁명으로 공산주의 정권을 수립한 소련에서는 국민에 대한 사상선전의 무기로서 신문을 중시하여 모든 신문을 당과 정부의 기관지로 만들었고, 그 이후에 출현한 사회주의 여러 나라들도 모두 신문을 당과 정부에서 주도하게 되었다. 자본주의 신문이 정부권력을 비롯해서 모든 세력으로부터의 자유를 표방하는데 반해, 사회주의 국가의 신문은 이와는 다른 언론관에 서서 신문을 사회주의 국가 건설의 도구로 여기고 있다는 점에서 큰 차이를 보이게 되었다.


 

 

한국

 

근대신문이 발행되기 전부터 ‘조보(朝報)’또는 ‘기별[奇別]’이라 불리는 관보성격의 필사신문이 있었다. 이 전근대적 신문 형태의 확실한 기원은 알 수 없으나, 조선 전기 또는 15세기 무렵부터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조보는 승정원에서 발표하는 자료들을 각 관청의 기별서리(寄別書吏)들이 손으로 베껴서 서울과 지방의 각 관청과 양반층에게 보내는 것이었다. 조보의 내용은 관보적인 성격으로 국왕의 동정과 관리의 임면 등이 대부분이었으나 일반 사회기사의 성격을 띤 것도 함께 실었다. 조보는 한국 최초의 근대신문인 《한성순보(漢城旬報)》와 《한성주보(漢城周報)》가 발행되기 전까지 존재하다가 1894년 정부가 정식으로 인쇄된 《관보(官報)》를 창간하고, 이듬해에 승정원의 공사청(公事廳)을 폐지하면서 없어졌다.

 

한국 최초의 근대신문은 1883년 10월 31일에 창간된 《한성순보》이다. 이 신문은 정부기구인 박문국(博文局)에서 발간했으나, 당시의 개화파들이 국민에게 외국의 사정을 널리 알려 개화사상을 고취시키려는 데 큰 목적을 두었다. 《한성순보》는 창간 이듬해에 일어난 갑신정변으로 폐간되었으나, 1886년 1월 25일에 다시 《한성주보》를 창간하여 88년까지 발행하였다. 한편, 한국 최초의 민간신문은 1896년 4월 7일에 서재필(徐載弼)이 창간한 《독립신문》이다. 이 신문은 한글전용과 띄어쓰기를 단행하여 그 후의 민간신문 제작에 큰 영향을 주었고, 민중계몽과 자주독립사상을 확립하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독립신문에 자극을 받아 1898년에는 《일신문》 《뎨국신문》 《황성신문(皇城新聞)》 등의 일간지들이 뒤를 이어 창간되었다.

 

1904년에 일어난 러일전쟁 이후에는 일인(日人) 경영의 한국어 또는 일어신문이 늘어났고, 한국인 발행의 친일신문도 생겨났다. 일인(日人)의 신문발행은 1881년 부산에서 창간된 《조선신보(朝鮮新報)》까지 거슬러 올라가지만, 1895년에 창간된 《한성신보(漢城新報)》와 러 ·일전쟁 후의 《대한일보(大韓日報)》(1904.3.10. 발행) 《대동신보(大東新報)》(1904.4.18. 발행)가 그 대표적인 것이었다. 한국인 발행의 친일지로는 《국민신보(國民新報)》(1906.1.6. 발행) 《대한신문(大韓新聞)》(1907.7.18. 발행) 등이 있었다. 그러나 이 무렵에 영국인 E.T.베셀이 창간한 《대한매일신보(大韓每日申報)》는 항일운동의 선봉에 서서 민족진영을 대변하는 논조를 폈다. 이 신문은 국한문판 ·한글판 및 영문판인 《The Korea Daily News》 등을 동시에 발간하여 한말의 최대의 민족지였으나, 1910년 국권피탈 후에는 《매일신보(每日申報)》로 개제하여 총독부의 일개 기관지로 변신하고 말았다. 국권피탈 후 일제는 한국인에게는 단 한 건의 신문발행도 허용하지 않았으므로, 한국어로 발행되는 신문은 매일신보가 유일한 것이었다. 3 ·1운동 후 1920년부터 소위 문화정치를 표방하면서 《조선일보(朝鮮日報)》 《동아일보(東亞日報)》 《시사신문(時事新聞)》의 3개 민간지를 허용하였다. 그러나 이들 민간지들은 일제의 철저한 탄압으로 수많은 압수와 정간처분을 당했음은 물론, 필화로 많은 언론인들이 고통을 겪었다.

 

1920년에 창간된 3대민간지 가운데 《시사신문》은 이듬해에 폐간되었고, 1924년 3월에는 《시대일보(時代日報)》가 창간되었으며, 후에 《중외일보(中外日報)》(1926.11.15) 《중앙일보(中央日報)》(1933.11.27) 《조선중앙일보(朝鮮中央日報)》(1933.3.7)로 몇 차례 제호를 바꾸면서 발행되다가, 1936년 9월 손기정 선수의 일장기 말살사건으로 정간당한 끝에 복간되지 못했다. 후에 《동아일보》와 《조선일보》도 1940년 8월 일제의 강제폐간으로 문을 닫고 말았다. 그 후부터 총독부 기관지인 《매일신보》만이 일제의 전통치기간 동안 중단되지 않고 발간되었다. 36년 동안 일제는 한국인들에게 신문발행의 허가를 극도로 억제했을 뿐만 아니라, 허가해 준 신문에 대해서도 행정처분에 있어서 사전 ·사후 탄압을 자행하였고, 동시에 사법처분(司法處分)으로 언론인의 구속 등이 빈번하였다. 행정처분에 의한 사전탄압은 ① 간담(懇談), ② 주의(注意), ③ 경고(警告), ④ 금지(禁止)의 순으로 제도화되어 있었고, 제작된 신문에 대한 사후탄압으로는 ① 삭제(削除), ② 발매금지 및 압수, ③ 발행정지(정간), ④ 발행금지(폐간)의 4단계가 있었다. 삭제처분은 문제된 기사를 삭제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가장 빈번하게 자행된 탄압 방법이었다. 발매금지 및 압수는 인쇄가 끝난 신문을 발매하지 못하게 하는 것으로서 심한 때에는 1년 평균 매주 한 번씩 인쇄된 신문이 압수되어 민족지는 경영상으로도 많은 타격을 입었다.

 

발행정지는 정간으로서, 일제강점기에 민족지가 발행된 1920년 동안에 《동아일보》와 《조선일보》가 각 1회씩, 그리고 《중외신보》가 1회의 발행정지를 당했다. 발행금지는 폐간으로서 신문지법에 의해 허가되었던 잡지 《신생활(新生活)》이 1923년에, 그리고 《개벽(開闢)》이 1926년에 각각 폐간되었고, 1940년 8월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도 자진폐간의 형식을 취했으나 실제로는 강압에 의한 강제폐간이었다. 1945년 8월 15일 광복이 되자 언론계는 제일 먼저 활기를 되찾았다. 미군정은 언론의 완전한 자유를 약속하여 신문발행을 허가제가 아닌 등기제(登記制)로 바꾸었다. 이에 따라 수많은 신문들이 쏟아져 나오게 되자 가장 기민하게 움직인 것은 좌익계열의 신문들이었다. 1946년 5월 28일 현재로 신문 ·잡지 등 정기간행물은 무려 242종에 달했고, 이 해 9월에는 일간지 57종, 주간지 49종, 통신 13종 그리고 월간 ·격월간지 154종 등으로 정기간행물의 수는 무려 274개로 늘어났다. 이들 신문 가운데는 정론지(政論紙)적인 성격을 띠고 반대파들을 비방하면서 자기파의 주장만을 내세우는 것들이 대부분이어서 언론인에 대한 테러, 신문사 습격, 기물파괴 등의 무질서한 상황으로 급변하게 되었다. 이러한 혼란과 좌익언론의 발호를 막기 위해서 미군정 당국은 1946년 5월 29일에 군정법령 제88호를 공포하여 군정실시 초기에 내세웠던 언론정책을 크게 바꾸어 신문발행을 허가제로 환원시켰다. 이 법령은 미군정이 끝나고 대한민국정부가 수립된 후에도 신문발행을 억제하는 근거가 되었다.

 

1948년 8월 15일에 수립된 대한민국정부의 언론정책은 미군정하의 골격을 대체로 이어받았다. 자유당 정권하에서는 정부가 신문발행 허가를 억제했기 때문에 6 ·25전쟁 이후 신문의 숫자는 점차적으로 줄어들었다. 그러나 60년에 일어난 4 ·19혁명 후에 개정된 헌법은 “모든 국민은 언론 ·출판의 자유와 집회 ·결사의 자유를 제한받지 아니한다”(13조)고 규정함으로써 신문발행에 대한 허가제를 폐지하고 등록제를 실시하도록 하였다. 그 후 8개월 뒤인 1961년 2월 말에는 4 ·19혁명 이전에 41종이던 일간지가 무려 124종으로 3배나 늘어난 것으로 집계되었으며, 언론기관들이 걷잡을 수 없을 만큼 늘어남으로써 커다란 사회문제를 야기시킬 정도였다.

 

그러나 5 ·16군사정변 직후 언론기관의 일제정비와 1980년의 언론통폐합으로 각 도에는 1개의 일간지만 남고, 서울에는 3개씩의 조간과 석간만 발행되었으며, 방송은 공영제로 되었으나 1987년의 6 ·29선언과 1988년 제6공화국의 출범 이후의 언론 자율화정책을 1993년 김영삼 정부가 더욱 확대하여 발행과 편집의 자유는 계속적으로 신장되었고 새로운 신문이 대량으로 창간되었다. 신문 ·잡지 등의 정기간행물의 등록이 자유로워졌으므로 언론 환경은 제5공화국 또는 그 이전과 비교하면 크게 호전된 것이다. 자율화 이전인 1987년에는 전국에서 발행되는 일간신문이 32개였으나 1994년 6월 118개로 86개 신문(369%)이 늘어났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117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2997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환경보호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20-11-19 0 2377
2996 [별의별] - 2.1kg = 20억 2020-11-18 0 2980
2995 [고향문단소식] - 요즘, 우리 조선족문단에서는... 2020-11-14 0 2597
2994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인공조명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20-11-13 0 3121
2993 [세상만사] - 240 = 300 = 8 2020-11-13 0 2786
2992 [세상만사] - 180 = 120 = 270 2020-11-11 0 2717
2991 [세상은 지금]- 그들은 쉽지 않았다... 미래의 세대를 위하여... 2020-11-11 0 2837
2990 [세상만사]: 30 = 14 2020-11-07 0 2755
2989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기후변화 주범", 남의 일이 아니다. 2020-11-05 0 2957
2988 [이런 저런]- "낭" 2020-10-31 0 2748
2987 방언을 살려야... 2020-10-28 0 2681
2986 그가 그런 사람이라고?!... "살아서 죽었고, 죽어서 살았다" 2020-10-15 0 2920
2985 [그것이 알고싶다] - "노벨상 상금" 2020-10-09 0 3407
2984 "진달래문예상" 주인들은 들러리... 2020-10-09 0 3009
2983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식량평화백신", 남의 일이 아니다. 2020-10-09 0 2925
2982 [그것이 알고싶다] - "삼정검" 2020-09-24 0 2973
2981 30여년 = 조선족민속유물 만여점 2020-09-10 0 3141
2980 인민음악가 - 정률성 친필 원고 할빈으로... 2020-09-10 0 3099
2979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기후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20-09-10 0 3354
2978 백년 박바가지와 백년고목 2020-09-08 0 3078
2977 [고향문단소식] - "두루미" 시인을 기리다... 2020-09-08 0 3098
2976 [세상만사] - "미술을 모르는 거 같더라"... 2020-09-08 0 3203
2975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쥐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20-08-24 0 3595
2974 [세상만사] - 가위 바위 보 2020-08-16 0 4063
2973 [세상만사] - 개와 모성애... 2020-08-14 0 3905
2972 [별의별] - "..." 2020-07-19 0 4060
2971 [고향소식] - 화룡에서 대형 가무극 선보인다 2020-07-18 0 3568
2970 [문단시단] - 詩碑와 是非는 계속 되고.../최룡관시비 2020-07-17 0 3360
2969 [고향소식] - 고향 화룡에 비행장 선다... 2020-07-02 0 3700
2968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문화재보호", 남의 일이 아니다... 2020-07-02 0 4223
2967 [그것이 알고싶다] - 송진속 곤충 = 호박 2020-07-01 0 4470
2966 [우리의 것] - 하찮은 벼짚이 문화재 벼짚공예 되다... 2020-06-27 0 3573
2965 [그때 그시절] - 전쟁은 싫다 싫어... 2020-06-27 0 3988
2964 [타산지석] - 우리 연변 미술계에도 이런 "현상" 없는지?... 2020-06-25 0 4076
2963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축구선수평화", 남의 일이 아니다. 2020-06-15 0 2633
2962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축구선수평화", 남의 일이 아니다. 2020-06-15 0 2501
2961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축구선수평화", 남의 일이 아니다. 2020-06-15 0 2266
2960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축구선수평화", 남의 일이 아니다. 2020-06-15 0 2320
2959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축구선수평화", 남의 일이 아니다. 2020-06-15 0 2429
2958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축구선수평화", 남의 일이 아니다. 2020-06-15 0 2373
‹처음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