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11월 2024 >>
     12
3456789
10111213141516
17181920212223
242526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수필의 허구문제를 알아보다(3)
2017년 05월 05일 23시 16분  조회:2484  추천:0  작성자: 죽림

 

 

 

 

수필에 있어서의 상상과 허구 문제

                              임 병 식 




한국 수필문단에서는 한때 허구(虛構)도입 문제를 두고 찬성과 반대로 나뉘어 열띤 논쟁이 벌어진 적이 있다. 하나, 이 문제는 지금까지도 깔끔하게 정리되지 못한 채 내연(內燃)을 거듭중이며 잠복해 있는 게 사실이다. 양측이 주장하는 논거를 보면 허구도입을 찬성하는 측은 수필도 문학인만큼 문학성을 획득하려면 어느 정도 그 수용은 불가피하며 따라서 용인되어야 한다는 입장이고, 반대측의 주장은 수필은 어디까지나 자기 체험의 세계를 바탕으로 해서 쓰여지는 글인 만큼 만약에 허구가 도입하면 수필 본래의 특성을 훼손할 뿐만이 아니라, 사실로 믿는 독자에게도 배신행위가 될 것이라는 주장을 폈다.

모두에 이 이야기를 꺼내는 것은, 결코 이 주제와 무관치 않은게 뇌리를 스쳐서이다. 많은 사람들은 구리요혜이가 쓴 '우동 한 그릇'이란 작품을 기억할 것이다. 일본 독자들의 심금을 울렸던 이 수필은 매우 큰 파문을 일으켰다. 사실이 아닌 것을 허구로 꾸며낸 것이 밝혀졌던 것이다. 

그렇다면 왜 그랬을까. 그것은 두말 할 것도 없이 책의 내용을 사실로 받아들였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수필과 다른 문학장르와는 어떻게 다른것인가. 여기서 이 문제를 생각해 보지 않을 수 없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그 분기점은 진실을 쓴 글인가, 허구로 꾸민 글인가로서 갈린다고 본다. 예를 들어보자. 다른 장르의 경우는 비록 허구로 쓰여진 글이라도 작가의 기량에 따라 그 영절스런 표현이 오히려 자연스러운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가령 고운 시인이 있지도 않은 여동생이 죽은 것처럼 눈물나게 표현했다하여 시비하는 사람은 없다. 오히려 탁월한 표현력으로 칭찬을 받고 있다.

그렇다면 왜 유독 수필만이 진실이 요구되며 중요시되는가. 그 점을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그것은 다른 것이 아니다. 태생적으로 수필은 '진실을 기초로 하는 문학, 체험의 문학'이기 때문이다. 가령, 어느 수필가가 허구로 '아버지의 별세'에 대하여 글을 써서 발표를 했다고 치자. 아마 모르면 몰라도 아는 사람이라면 그 소식을 듣고 부의금을 전달하거나 위로의 말을 전할 것이다. 나중에 아무리 거짓으로 쓴 글이라고 손사래를 쳐도 곧이 들으려고 하지 않을 것이다. 

실제로 우리나라에서도 그런 사례가 있다. '귀밥파기'라는 작품인데, 작가 스스로 사실이 아닌것을 지어 썼다고 토설을 한 것이다. 그 작품은 부자지간의 살가운 정이 듬뿍 담겨진 글인데, 그로인하여 감동이 반감되어 버린 것이다. 이를 보면 결론은 자명해 지는 것이다.

한데, 여기서 미묘한 문제, 즉 상상의 문제와 허구의 문제가 부딪치게 된다. 그러나 이는 어느 정도는 교통정리가 된다고 본다. 왜냐하면 상상의 경우는 그것이 꿈이 되었건 어떤 사물을 보고 느끼건 간에 그것은 자유로운 범위 내라는 사실이다. 그리고 기법상의 가미 정도에 그친다면 굳지 엄격주의를 표방할 것까지는 없는 것이다.

만약, 중요하고도 명백한 공지의 사실이나, 도덕적으로 비난받을 만한 허구는 당연히 배제가 되어야겠지만, '자기가 자기의 마음도 모르는 마당'에 하나 하나의 일들을 시시비비 가린 것은 무의미하다고 본다. 머리 속의 사상을 처벌할 수 없듯이 양념으로서의 가미는 발설만 하지 않으면 문제소지도 없다는 것이 나의 개인적인 생각이다. 만약에 꿈속에서 옛 애인을 만나 즐겁게 놀다가 그만 잠꼬대하여 아내에게 들켰다고 치자.

아내가 물었을 때 가정의 평화를 위해 '당신과 옛날 데이트 하던 꿈을 꾸었다'고 얘기하고 그런 글을 썼다고 하여 그것을 비난할 것인가. 자기가 말을 않는데 알 수 도 없을 뿐더러 자기만 알고 있는 비밀의 범주를 시비할 수는 없는 것이다. 문제는 그것을 스스로 발설하는데 있다. 그렇다면 그것은 이미 용인되지 않는 부도덕한 범위하고 보아야 한다 . 지금도 윤오영의 수필 '방망이 깎는 노인'은 많은 사람들로부터 진정성에 대해 의심을 받고 있는 게 사실이다. 그렇지만 그것은 인불언귀부지(人不言鬼不知)라는 말과 같이 본인이 가부간 말이 없었기 때문에 우리는 그냥 체험한 사실로 믿을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런 문제 사단은 대개 그 원인이 두 가지에 의해서 드러나는 게 보통이다. 별안간 증언자가 나타나거나 당사자가 연득없이 정직한 척 고백성사 하여 '나는 사실 그 작품을 이렇게 썼다'고 발설하는데서 비롯된 것이다. 따라서 결론적으로 말하면 작품 속의 그 날의 기상이 내리지도 않은 비나 눈이 내렸다고 한다면 모를까, 심상에 비추어 겨울비를 진눈개비가 내렸다는 등의 서술(착오나, 기법 상으로나 )은 그리 크게 문제되지 않는다고 본다 .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250 시와 이미지는 쌍둥이 2017-02-19 0 2158
249 "자화상"으로 보는 낯설음의 미학 2017-02-19 0 2582
248 사랑의 서정시에서 사랑을 풀다... 2017-02-18 0 2569
247 "아리랑꽃" 우리의 것과, 타민족 타지역의 것과, 가슴 넓히기... 2017-02-18 0 2374
246 "매돌"과 "한복"을 넘어서 우주를 보여주다... 2017-02-18 0 2608
245 서정시, 낯설게 하기와 보기 2017-02-18 0 4185
244 시인은 언어라는 무기로 막강한 권력을 행사할수 있다... 2017-02-18 0 2710
243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기괴하다" = "괴기하다" 2017-02-18 0 4972
242 [시문학소사전] - "르네상스"란?... 2017-02-18 0 2423
241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함께하다"의 띄여쓰기는?...(우리 중국 조선어문 문법에서는 어떻게 하는지?...) 2017-02-18 0 2566
240 백명의 시민, 백년의 시인을 노래하다... 2017-02-17 0 2653
239 시조 한수는 마흔 다섯자안팎의 언어로 구성돼 있다... 2017-02-17 0 2773
238 시조문학의 지평선을 더 넓히자... 2017-02-16 0 3016
237 저기 폐지수레 끄는 할배할매들이 저희들의 친지입니다... 2017-02-15 0 2695
236 현대시 100년 "애송 동시" 한 달구지 2017-02-15 0 3944
235 "부끄럼"은 완숙된 시에서 우러나온 맛이다... 2017-02-15 0 2681
234 시는 만들어지는것이 아니라 몸을 찢고 태여나는 결과물이다 2017-02-15 0 2392
233 아일랜드 시인 - 사뮈엘 베케트 2017-02-14 0 3746
232 국어 공부 다시 하자, 시인들을 위하여!... 2017-02-14 0 2537
231 미국 신문 편집인, 발행인 - 퓨리처 2017-02-14 0 3937
230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방방곳곳"이냐? "방방곡곡"이냐!... 2017-02-13 0 4099
229 시작에서 좋지 못한 버릇에 길들면 고치기가 힘들다... 2017-02-13 0 2745
228 방방곡곡으로 못가지만 시로써 아무 곳이나 다 갈수 있다... 2017-02-13 0 2950
227 당신의 도시는 시속에 있어요... 친구의 시인이여!... 2017-02-13 0 2637
226 추천합니다, 노벨문학상 관련된 책 50 2017-02-13 0 2562
225 저항시인 윤동주에게 "명예졸업장"을... 2017-02-13 0 2490
224 동요동시 대문을 열려면 "열려라 참깨야"라는 키를 가져야... 2017-02-11 0 3267
223 동시를 낳고싶을 때에는 동시산실에 가 지도를 받으라... 2017-02-11 0 2424
222 동시인이 되고싶을 때에는 그 누구인가의 도움을 받고싶다... 2017-02-11 0 2767
221 상(賞)에 대한 단상 2017-02-11 0 2461
220 젊은 조선족 문학도 여러분들에게... 2017-02-11 1 3228
219 시란 "자기자신이 만든 세계를 깨부시는" 힘든 작업이다... 2017-02-11 0 2556
218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 - 우리 애들도 발음 좀 정확히... 2017-02-10 0 2759
217 시와 삶과 리듬과 "8복" 등은 모두모두 반복의 련속이다... 2017-02-10 0 2437
216 혁명이 사라진 시대, 혁명을 말하는것이 어색한 시대... 2017-02-09 0 3057
215 세계 47개 언어로 엮어서 만든 "인터내셔널가" 2017-02-09 0 2791
214 시인 백석 한반도근대번역문학사에 한획을 긋다... 2017-02-09 1 3602
213 불후의 명곡 "카츄샤"는 세계만방에 울러 퍼지다... 2017-02-09 0 3627
212 "카츄샤"는 떠나갔어도 "카츄샤"의 노래는 오늘도 불린다... 2017-02-09 0 4060
211 시의 형태는 시가 담겨지는 그릇과 같다... 2017-02-09 0 2480
‹처음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